대체요법/동양의학

다겁 ~루타

나비채 2010. 6. 3. 13:03

다겁 ~루타

다겁(多怯) ; 겁이 많은 것.

다골(多骨) ; [동의어] 백두구.
다골저(多骨疽) ; [동의어] 부골저. 여러 부위에 부골저가 생긴 것.
다뇨(多尿) ; 오줌을 보통 때와 달리 많이 누는 것.
다래 ; [동의어] 미후도, 등리, 목자, 미후리. 다래나무과에 속하는 다래나무(Actinidia arguta Planchon et Miquel)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다래나무뿌리 ; [동의어] 미후근. 다래나무과에 속하는 다래나무의 뿌리를 말린 것.
다릅나무껍질 ; 콩과에 속하는 다릅나무(Maackia amurensis Rupr. et Maxim.)의 줄기껍질을 말린 것.
다리운동감각구역 ; [참조] 머리침요법.
다망(多忘) ; [동의어] 건망.
다매 ; [동의어] 기면.
다병(多病) ; ①몸에 여러 가지 병이 있다는 말. ②병에 자주 걸린다는 뜻.
다산(多産) ; 아이를 많이 낳았다는 말.
다소문(多所聞) ; [동의어] 수태양소장경의 청궁혈.
다시마 ; [동의어] 곤포. 다시마과에 속하는 다시마(Laminaria japonica Aresch.)의 엽상체를 말린 것.

다시마단묵 ; 펠라그라로 피부, 위장장애증상과 가벼운 정도의 정신장애에 쓰는 동약묵.
다시마차 ; 어린이의 성장과 발육이 늦은 데, 고혈압병과 동맥경화증, 방사선병 등의 예방치료에 쓰는 동약차.
다시마해조환 ; 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갑상선이 비대해지고 가슴두근거림과 신경계통의 기능장애가 있는 데, 고혈압병 등에 쓰는 동약처방. 
다식(多食) ; 많이 먹는 것.
다식증(多食症) ; 입맛이 병적으로 좋아져 지나치게 많이 먹는 증.
다연(多涎) ; 침을 많이 흘리는 병증.
다엽(茶葉) ; [참조] 찻잎.
다와(多臥) ; [동의어] 기면.
다적(茶積) ; 적의 하나. 차를 너무 마셔서 생김.
다제(茶劑) ; [동의어] 동약차.
다타(多唾) ; 침이 많아지는 것.
다투라(曼陀羅葉) ; [참조] 독말풀잎.
다한(多汗) ; 땀이 정상 때보다 많이 나는 것.
다한증(多汗症) ; 땀을 많이 흘리는 증.
다황(茶黃) ; 옛날 병명의 하나. 어린이의 온몸이 누리면서 붓는 병증.
닥나무열매 ; [동의어] 저실, 곡실, 반곡수, 반곡. 뽕나무과에 속하는 닥나무(Broussonetia kkazinoki Sieb.)와
                   꾸지나무(Broussonetia papyrifera Vent.)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닥풀뿌리 ; [동의어] 황촉규근. 무궁화과에 속하는 닥풀(Abelmoschus manihot Medicus)의 뿌리를 말린 것.
단(丹) ; ①피부색이 붉어진 것(발적). ②[동의어] 단독. ③가루 또는 알약형태의 동약.
단( ) ; [동의어] 단제. 동약법제방법의 하나.
단( ) ; ①[동의어] 황달. ②열사 또는 열기가 성한 것. ③[동의어] 허로병.
단각기(單脚氣) ; 한쪽 다리에만 생긴 각기병.
단간단(斷 丹) ; 전간 발작이 잦은 데 쓰는 동약처방.
단계보화환(丹溪保和丸) [참조] 보화환③.
단고(單鼓) ; [동의어] 단복창.
단고기 ; [동의어] 개의 고기.
단국화 ; [동의어] 감국, 국화, 감국화, 절화, 일정, 주영, 부연년, 여절, 여경, 갱생, 음성. 국화과에 속하는 단국화 곧
             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의 꽃을 말린 것.
단기(短氣) ; 숨결이 빠르면서 이어지지 못하고 숨이 찬 증.
단너삼 ; [동의어] 황기, 대심, 대삼, 독심, 지초, 촉지, 백본. 콩과에 속하는 단너삼[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ge.]의 뿌리를 말린 것.
단너삼닭곰 ; [참조] 닭곰. 단너삼죽 노인성부종, 만성간염, 만성콩팥염, 헌데가 아물지 않는 데 등 일체 기혈이 부족한 병증에 쓰는 동약죽.
단독(丹毒) ; [동의어] 단표, 화단, 천화, 금사창. 살갗이 벌겋게 되면서 달아 오르고 열이 나는 병증. 
단류(丹瘤) ; 돌림성 병독(시독)으로 얼굴, 귀, 목덜미, 인후 등이 벌겋게 붓는 것.
단맥(短脈) ; 맥상의 하나. 관부위에서만 비교적 똑똑하게 나타나고 촌부위와 척부위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맥.
단목(疸目) ; [동의어] 초창. 단물약 동약제형의 하나. 동약 우림액이나 현탁액에 단물이나 사탕을 넣어서 만든 걸쭉한 먹는 약.
단반슬(單盤膝) ; 도인법의 기본 체위의 하나.
단방(單方) ; 한 가지 약재로 이루어진 처방.
단법(端法) ; 정골수법의 하나. 뼈어김 때 뼈마디의 위치가 달라진 것을 제자리에 맞추기 위한 방법.
단복(單伏) ; 한쪽 팔목의 촌구부위에서만 복맥이 나타나는 것.
단복(單腹) ; [동의어] 단복창.
단복고(單腹 ,單腹蠱) ; [동의어] 단복창.
단복고창(單腹鼓脹) ; [동의어] 단복창.
단복창(單腹脹) ; [동의어] 단복고창, 단고, 단복, 지주고. 창만의 하나. 배만 몹시 불러 오르고 얼굴과 팔다리는 붓지 않는 것.[참조] 창만.
단복창대(單腹脹大) ; [동의어] 단복창.
단분(丹粉) ; [동의어] 황단.
단사(丹砂) ; [동의어] 주사.
단사(丹 ) ; ①발진의 하나. [참조] 난후단사. ②[동의어] 난후단사.
단산(斷産) ; ①임신되지 않게 하는 것. ②임신을 인공적으로 중절시키는 것.
단삼(丹蔘) ; [동의어] 분마초. 꿀풀과에 속하는 단삼(Salvia miltiorrhizaBge.)의 뿌리를 말린 것.
단삼고(丹蔘膏) ; 유옹으로 몹시 아프거나 옹이 터져 아물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단삼산(丹蔘散) ; 빈혈 일반에 쓰는 동약처방.
단삼음자(團蔘飮子); 허로로 폐, 비가 허하여 점차 몸이 여위는 데 쓰는 동약처방.
단삼팅크 ; 특발성 괴저에 쓰는 동약처방.
단서(斷緖) ; [동의어] 불임증.
단석(鍛石) ; [동의어] 석회.
단설(斷泄) ; 몸이 여위고 발만 붓고 땀이 나면서도 정강이가 싸늘한 것.
단속(斷續) ; [동의어] 불임증.
단쇄(緞續) ; [동의어] 쇄(불에 달구어서 액체보조재료에 담그는 것).
단순보사법(單純補瀉法) ; [참조] 보사법.
단아(單蛾) ; [동의어] 단유아.
단아풍(單蛾風) ; [동의어] 단유아.
단안(單按) ; 맥보는 방법의 하나.
단어산(團漁散) ; 음허화동으로 미열과 식은땀을 흘리며 가슴이 답답하여 잠을 자지 못하는 데, 손발바닥이 달아 오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단열( 熱) ; 온병 때 나는 열.
단오(端午) ; 음력 5월 5일.
단욕매 ; 신기(神氣)가 쇠약해서 정신이 혼몽한 상태.
단월(端月) ; [동의어] 음력 정월(1월).
단유(斷乳) ; [동의어] 소유.
단유법(斷乳法) ; 어린이 젖떼는 방법.
단유아(單乳蛾) ; [동의어] 단아, 단아풍. 유아의 하나. 유아가 목안 한쪽에 생긴 것.
단윤(湍潤) ; [동의어] 습윤한 것.
단자(短刺) ; 옛날에 쓰던 침법인 12자의 하나.
단자(斷子) ; 임신되지 않게 하는 것.
단자법(斷刺法) ; 침놓는 방법의 하나. 침을 꽂고 침감이 나타나면 이내 뽑는 방법.
단적(蛋積) ; 적의 하나.
단전(丹田) ; ①[동의어] 석문, 음교, 기해, 관원 혈. 일반적으로는 관원혈. ②배꼽 아래의 신간동기. ③기공요법 때 정신을 집중시키는 곳.
단전후풍(單纏喉風) ; 후풍의 하나. 전후풍 때 목안의 한쪽만 벌겋게 붓고 아픈 증.
단제( 製) ; [동의어] 단( ).
단제(斷臍) ; [동의어] 탈제, 전제. 갓난아이 탯줄을 끊는 것.
단중( 中) ; ①[동의어] 심포락. ②가슴의 두 젖 사이의 중간부위. ③혈 이름.

단중저( 中疽) ; 저의 하나. 단중혈부위에 생긴 저. [참조] 저.
단지생( 地生) ; [동의어] 역산.
단진(丹疹) ; ① 붉은 색의 충혈성 및 출혈성 발진. ②[동의어] 단사. ③[동의어] 단독. ④단독과 마진(홍역)을 합해 이른 말.
단첨아(單尖牙) ; [동의어] 견치(송곳니).
단치소요산(丹梔逍遙散) ; 간울, 혈허로 열이 나는 데,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 등 여러 가지 병증에 쓰는 동약처방.
단침(斷針) ; [동의어] 절침.
단탁법(蛋托法) ; 달걀을 삶아서 껍질을 벗긴 다음 배꼽 위에 올려놓는 치료방법.
단탄( 炭) ; [동의어] 민단, 민과단. 동약법제방법의 하나.
단태(斷胎) ; [동의어] 반산(半産).
단표(丹標) ; [동의어] 단독.
단풍터리풀 ; 장미과에 속하는 단풍터리풀[Filipendula palmata (Pallas) Maxim.]의 옹근풀을 말린 것.
단피(丹皮) ; [동의어] 모란뿌리껍질.
단하삼습탕(斷下滲濕湯) ; 설사로 아랫배가 무직하고 항문이 빠져 나오는 것같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단학(  ) ; 학질의 하나.
단행(單行) ; 7정의 하나. 한 가지 동약재만 써서 예방치료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것.
단향(檀香) ; 백단향.
단향나무 ; [동의어] 백단나무. [참조] 백단향.
단홍원(斷紅元) ; 장풍, 장독으로 장출혈이 계속되면서 얼굴색이 누래지고 몸이 점차 여위는 데 쓰는 동약처방.
단환(檀桓) ; [동의어] 황경피.
단후비(單喉痺) ; 후비의 하나. 목안 한쪽이 붓고 아픈 것.
단후옹(單喉癰) ; 후옹의 하나. 후관의 한쪽에 생긴 옹.
달 ; [동의어] 갈풀. 벼과에 속하는 달 곧 갈풀[Phalaris arundinacea (L.) Rauschert]의 옹근풀을 말린 것.
달(疸) ; [동의어] 황달.
달(達) [동의어] 투사(透邪).
달걀 ; [동의어] 계란, 계자. 식품동약.
달걀노른자위연고 ; 신수장고, 검현적란, 자유적란에 쓰는 동약처방.
달거리 ; [동의어] 월경.
달구지풀 ; 콩과에 속하는 달구지풀(Trifolium lupinaster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달래 ; [동의어] 소산. 나래과에 속하는 달래(Allium grayi Regel.)의 비늘줄기.
달사(達邪) ; ①표에 있는 사기를 몸 밖으로 내보내는 치료방법. ②병을 앓는 과정에서 있던 사기가 표로 나오는 것.
달사투표(達邪透表) ; [동의어] 투사.
달생(達生) ; 해산을 순조롭게 하는 것.
달생산(達生散) ; [동의어] 축태음. 해산달에 쓰면 쉽게 해산할 뿐 아니라 산후에 합병증이 생기지 않게 하는 동약처방.
달원음(達原飮) ; 습열이 막원(가름막)에 울체되어 나타나는 여러 증상에 쓰는 동약처방.
달피나무꽃 ; [동의어] 피나무꽃.
닭[달]개비 ; [동의어] 압척초, 닭의장풀. 닭[달]개비과에 속하는 닭[달]개비(Commelina communis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닭고기 ; [동의어] 계육. 꿩과에 속하는 닭(Gallus gallus domesticus Briss.)의 고기.
닭고기죽 ; 몸이 허약한 늙은이, 앓고 난 뒤 여위는 데 그 밖에 기혈이 손상되어 몸이 쇠약한 일체 병증에 쓰는 동약죽.
닭곰 ; 민간에서 몸이 허약한 때나 병후 쇠약 때 널리 써온 보약의 하나.
닭위속껍질 ; [동의어] 계내금. 꿩과에 속하는 닭의 위 속껍질을 말린 것.
닭의장풀 ; [동의어] 닭개비.
담(淡) ; ①싱거운 맛. ②희끄무레한 색.
담(痰) ; ①몸 안의 진액이 일정한 부위에 몰려 걸쭉하고 탁하게 된 것. ②[동의어] 가래.
담(擔) ; ①침놓는 방법의 하나. [참조] 투침법. ②침놓는 방법에서 사법.
담(膽) ; [동의어] 중정지부, 중청지부, 청정지부, 중정지관. 6부 또는 기항지부의 하나.
담간 ; 전간의 하나.
담결(痰結) ; 담이 몰린 것.
담결실(痰結實) ; 담이 명치 밑에 몰린 증.
담결흉(痰結胸) ; 담연(痰涎)이 가슴에 몰린 것.
담경(膽經) ; [동의어] 족소양담경.
담경(膽驚) ; 장부경증의 하나.
담경실열(膽經實熱) ; [동의어] 담실.
담괴(痰塊) ; [동의어] 담핵. 피하에 담으로 멍울이 생긴 병증.
담구(痰嘔) ; [동의어] 담음구토.
담궐(痰厥) ; 궐증의 하나.
담이 성해서 생긴 궐증.
담궐두통(痰厥頭痛) ; 습담으로 청양의 기가 위로 오르지 못하여 생긴 머리아픔.
담기(膽氣) ; [동의어] 담의 기능.
담기부족(膽氣不足) ; [동의어] 담허증.
담기열(膽氣熱) ; [동의어] 담열.
담기허한(膽氣虛寒) ; [동의어] 담허증.
담남성(膽南星) ; [동의어] 우담남성.
담다말(痰多沫) ; 거품침이 많이 섞인 가래.
담단(膽 ) ; 담병의 하나.
담도(膽導) ; 도변법의 하나. 열물을 항문에 넣어주어 대변을 누게 하는 방법.
담독(痰毒) ; 담이 오래되어 독으로 된 것.
담두시(淡豆 ) ; [동의어] 약전국.
담라(痰 ) ; 앞목의 족양명위경 순행부위에 생긴 나력.
담력(痰 ) ; 나력의 하나. 담으로 생긴 나력.
담료오림산(擔療五淋散) ; 임증에 쓰는 동약처방.
담룡무른고약 ; 무좀으로 몹시 가렵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담마(蕁痲) ; [동의어] 쐐기풀.
담말(痰沫) ; 거품침. 가래에 거품이 섞여 나오는 것.
담모(膽募) ; [동의어] 족소양담경의 일월혈.
담몽심포(痰蒙心包) ; [동의어] 담미심규.
담미(淡味) ; 동약의 맛. 5미에 속하지 않는 슴슴한 맛.
담미(痰迷) ; 의식이 장애된 증.
담미심규(痰迷心竅) ; [동의어] 담몽심포, 담조심규. 습담이 심규를 장애하여 의식이 장애된 증.
담미심포(痰迷心包) ; [동의어] 담미심규.
담반(膽礬) ; 황산동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석 또는 화학적으로 만든 함수황산동(CuSO4.5H2O).
담배풀열매 ; [동의어] 학슬. 국화과에 속하는 담배풀(Carpesium abrotanoides L.)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담백후옹(淡白喉癰) ; 후옹의 하나. 목안에 생긴 옹종의 겉면이 희끄무레한 색을 띠는 것.
담벽(痰癖) ; 벽의 하나. 수음이 오래되어 생긴 담이 옆구리고 가서 때로 옆구리가 아픈 것. [참조] 음벽.

담병(膽病) ; 담에 생긴 병.
담부도인법(膽腑導引法) ; 도인법의 하나.
담부편(淡附片) ; 부자법제품.
담비(痰秘) ; 변비의 하나.
담비(痰 ) ; 비만의 하나. 담기가 몰려서 속이 그득하고 더부룩한 증.
담사(痰瀉) ; [동의어] 담설(痰泄).
담사(膽邪) ; 담병을 일으킨 사기.
담삼이습(淡滲利濕) ; 이습법의 하나. 맛이 슴슴한 이수약을 써서 오줌으로 습을 나가게 하는 방법.
담석증(膽石症) ; 급성복증의 하나. 열주머니나 열물길에 결석이 생겨 산통발작을 비롯한 여려 가지 증상을 일으키는 병증.
담설(淡舌) ; 희끄무레한 색을 띠는 혀.
담설(痰泄) ; [동의어] 담사, 담적설사. 설사의 하나.
담성(膽星) ; [동의어] 우담남성.
담소(痰嗽) ; 해소의 하나. 습담이 폐에 침범하여 생긴 기침.
담수(淡水) ; ①[동의어] 담음. ②[동의어] 민물.
담수(膽水) ; 담에 병이 있어 생긴 부종.
담습(痰濕) ; ①병인으로 담과 습이 함께 작용했다는 뜻. ②병증으로 담습증을 말함.
담습대하(痰濕帶下) ; 대하의 하나.
담습두통(痰濕頭通) ; 두통의 하나. 습담이 성해서 생긴 머리아픔.
담습조폐(痰濕阻肺) ; 담조폐락의 하나. 폐에 습담이 몰려 폐기가 잘 퍼지지 못하는 병리현상.
담습해소(痰濕咳嗽) ; [동의어] 담음해소.
담실(膽實) ; [동의어] 담실증.
담실다와(膽實多臥) ; [동의어] 담열다수.
담실열(膽實熱) ; ①담에 사열이 몰려서 담기가 잘 퍼지지 못하여 생긴 증. ②담에 사열이 성하다는 뜻.
담실증(膽實證) ; [동의어] 담실. 담병의 하나.
담애(痰 ) ; 애역의 하나. 담이 흉격에
막혀서 생김.
담연(痰涎) ; ①어린이가 느침을 흘리는 증. ②가래, 침, 담 또는 거품이 섞인 느침.
담연옹성(痰涎壅盛) ; 담연이 가슴속에 몹시 몰린 것.
담연천소(痰涎喘嗽) ; 담연이 몹시 성해서 숨이 차면서 기침을 하는 것.
담연혈(痰涎血) ; 가래에 피가 묻어 나오는 증.
담열(痰熱) ; 담증의 하나. 담으로 열이 나는 증.
담열(膽熱) ; 담에 사열이 왕성한 증.
담열결흉(痰熱結胸) ; [동의어] 소결흉.
담열경풍(痰熱驚風) ; 급경풍의 하나.
담열다수(膽熱多睡) ; [동의어] 담실다와. 잠을 많이 자는 병증.
담열옹폐(痰熱壅肺)
;  담열이 폐에 몰린 병증.
담열조폐(痰熱阻肺) ; 담조폐락의 하나. 폐에 열담이 몰려서 천해가 생기는 병리현상.
담옹유정(痰壅遺精) ; 유정의 하나.
담울(痰鬱) ; 울증의 하나. 담기가 몰려서 생김.
담울담요(膽鬱痰擾) ; 기울로 담이 생겨 담(膽)의 기능을 장애하는 것.
담유(膽兪) ; 족태양방광경의 혈. 담의 배유혈.
담음(淡飮) ; [동의어] 담음(痰飮).
담음(痰飮,澹飮) ; ①넓은 의미에서 여러 가지 수음 병을 통틀어 이른 말. ②좁은 의미에서 4음의 하나. ③병인으로서의 담음.
담음구토(痰飮嘔吐) ; [동의어] 담적구토, 담구. 구토의 하나.
담음복통(痰飮腹痛) ; [동의어] 정담통. 복통의 하나.
담음요통(痰飮腰痛) ; 요통의 하나. 담음이 허리경맥에 몰려서 생김.
담음위완통(痰飮胃脘痛) ; 위완통의 하나.
담음유주(痰飮流注) ; 담음의 하나.
담음천급(痰飮喘急) ; [동의어] 담음천역.
담음천역(痰飮喘逆) ; [동의어] 담음천급. 천증의 하나. 담음이 폐에 몰려 기가 치밀어 생긴 숨찬 증.
담음해소(痰飮咳嗽) ; ①[동의어] 습담해소. 해소의 하나. ②[동의어] 담소.
담음현훈(痰飮眩暈) ; 현훈의 하나. 비가 허해서 생긴 담음이 머리에 몰려서 생김.
담음협통(痰飮脇痛) ; [동의어] 정음협통. 협통의 하나.
담장[쟁]이덩굴 ; 포도과에 속하는 담장[쟁]이덩굴[Parthenocissus tricuspidata (Sieb. et Zucc.) Planch.]의 뿌리와 줄기를 말린 것.
담적(痰積) ; 적의 하나. 담이 가슴에 몰려서 생김.
담적구토(痰積嘔吐) ; [동의어] 담음구토.
담적복통(痰積腹痛) ; ①복통의 하나. 담이 몰려서 생김. ②[동의어] 담음복통.
담적설사(痰積泄瀉) ; [동의어] 담설(痰泄).
담적심통(痰積心痛) ; 심통의 하나. 담이 몰려 기가 통하지 못하여 생김.
담적혈붕(痰績血崩) ; 붕루의 하나. 담이 포맥에 작용하여 경혈을 문란시켜 생김.
담절(膽絶) ; 10절증의 하나. 담기가 거의 끊어져가는 증상.
담제(淡劑) ; 18제의 하나. 맛이 슴슴한 약 또는 약재로 조성된 처방.
담제남성(膽製南星) ; [동의어] 우담남성.
담조심규(痰阻心竅) ; [동의어] 담미심규.
담조월경후기(痰阻月經後期) ; 월경후기의 하나.
담조폐락(痰阻肺絡) ; 담에 의하여 폐락이 막힌 것.
담족소양지맥(膽足少陽之脈) ; [동의어] 족소양담경.
담종(痰腫) ; 담으로 인해서 생긴 종기.
담종용 ; 육종용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것. [참조] 육종용.
담주결단(膽主決斷) ; 담은 결단하는 것을 주관한다는 것.
담주발(痰注發) ; 등에 생긴 담종. [참조] 담종.
담주요통(痰注腰痛) ; 요통의 하나. 담이 허리경맥에 몰려서 생긴 허리아픔.
담죽력(淡竹瀝) ; [동의어] 참대기름.
담죽여(淡竹茹) ; [동의어] 참대속껍질.
담죽여탕(淡竹茹湯) ; 심이 허한 데와 심장 신경증 등에 쓰는 동약처방.
담죽엽(淡竹葉) ; [동의어] 조리대풀잎.
담죽피여(淡竹皮茹) ; [동의어] 참대속껍질.
담중(痰中) ; [동의어] 습중. 유중풍의 하나.
담증(痰證) ; 담이 몸 안에 머물러 생긴 병증.
담증(膽蒸) ; 증병의 하나.
담창(膽脹) ; 창만의 하나. 담에 한사가 침범해서 생김.
담천(痰喘) ; ①천증의 하나. 담이 성해서 생긴 숨찬 증. ②경외기혈의 하나.
담체오조(痰滯惡阻) ; 오조의 하나. 비위허약으로 담음이 정체되어 생김.
담취(膽聚) ; 6취의 하나. 취가 담에 생긴 것. [참조] 취.
담타(痰唾) ; ①가래와 침을 합해 이른 말. ②가래가 섞인 침.
담탁(痰濁) ; [동의어] 습담.
담탁내폐(痰濁內閉) ; ①습담에 의하여 생긴 폐증(閉證) [참조] 폐증. ②정신신경장애 증상이 나타나는 증. [참조] 담미심규, 담화요심.
                                ③온열병 때 습과 열이 합쳐져서 훈증하여 폐증을 일으킨 것.
담탁조폐(痰濁阻肺) ; 습담이 폐기를 막아서 생긴 병증.
담통(痰痛) ; 담으로 인한 아픔.
담폐(痰閉) ; [동의어] 담탁내폐.
담폐경궐(痰閉驚厥) ; 풍담이 경락에 막혀서 생긴 경련증.
담폐해역(痰閉咳逆) ; [동의어] 담애.
담포(痰包) ; [동의어] 포설, 설하담포. 혀 밑에 생긴 낭종.
담풍(膽風) ; 잠을 잘 자지 못하는 것.
담풍독기(膽風毒氣) ; 몸이 노곤해서 잠을 많이 자는 증.
담학(痰 ) ; 학질의 하나. 담이 몰려서 생긴 학질.
담한(膽寒) ; 담이 허한한 증.
담해(膽咳) ; 해소의 하나. 담병으로 오는 기침.
담핵(痰核) ; [동의어] 담괴.
담핵괴(痰核塊) ; ①[동의어] 담괴. ②담핵이 크다는 뜻.
담허(膽虛) ; [동의어] 담허증.
담허기겁(膽虛氣怯) ; [동의어] 담허.
담허열(膽虛熱) ; [동의어] 담허증.
담허증(膽虛證) ; 담병의 하나. 7정내상으로 담기가 허해서 생김.
담허한(膽虛寒) ; 담의 양기가 부족한 증.
담혈(痰血) ; [동의어] 혈담.
담홍설(淡紅舌) ; 연붉은 색을 띠는 혀, 정상 혀색. 
담홍후비(淡紅喉痺) ; 후비의 하나. 후풍 때 목안이 분홍 색을 띠는 것.
담홍후풍(淡紅喉風) ; 후비의 하나. 후풍 때 목안이 분홍 색을 띠는 것.
담화(痰火) ; ①담을 낀 화나 담에 의하여 생긴 화. ②목이나 귀 뒤, 겨드랑이 밑에 염주알 같은 매듭이 생긴 병증. [참조] 나력.
담화(膽火) ; [동의어] 담실. 담열이 화로 된 것.
담화경(痰火痙) ; [동의어] 담화치.
담화두통(痰火頭痛) ; 두통의 하나. 담화가 치밀어 생긴 머리아픔.
담화요심(痰火擾心) ; 담화가 위로 치밀어서 심신(心神)을 장애하여 생긴 증.

담화이명(痰火耳鳴) ; 이명의 하나. 담화가 위로 올라가 귀에 작용하여 생긴 귀울음.
담화정충(痰火  ) ; 담화가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 [참조] 경계.
담화치(痰火 ) ; [동의어] 담화경. 경증(痙證)의 하나.
담화현훈(痰火眩暈) ; 현훈의 하나. 담화가 위로 치밀어서 생김.
담황(膽黃) ; 황달의 하나. 7정으로 담이 상하여 생김.
담효(痰哮) ; 효증의 하나. 담음이 성해서 생긴 효증.
담훈(痰暈) ; 현훈의 하나. 7정으로 기가 몰려서 생긴 담음이 기를 따라 올라가 생김.
답염생(踏鹽生) ; [동의어] 족위해산. 해산할 때 태아의 발이 먼저 나오는 이상해산.
당 ; [참조] 엿.
당( ) ; ①대변이 묽은 것. ②[동의어] 당설.
당가설(  泄) ; [동의어] 당설가. 설사의 하나.
당격상목(撞擊上目) ; [동의어] 피물당파, 피물당타. 목정 손상의 하나. 둔한 물체에 의하여 생긴 눈좌상.
당구자(棠毬子) ; [동의어] 찔광이.
당귀(當歸) ; 미나리과에 속하는 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말린 것.
당귀강활탕(當歸羌活湯) ; 습열독으로 온몸에 옹저가 생겨 달아 오르거나 곪아터진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건중탕(當歸建中湯) ; 중기가 허하고 차거나 혈이 부족한 여성에게 쓰는 동약처방.
당귀고(當歸膏) ; 5로7상으로 미열이 나고 기침을 하며 몸이 점차 여위는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기생탕(當歸寄生湯) ; 기혈부족으로 충임맥이 허하여 임신 때 아래로 피가 보이면서 배와 허리가 몹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노회탕(當歸蘆 湯) ; [동의어] 당귀용회환.
당귀도기탕(當歸導氣湯) ; 농혈리로 설사를 하면서 아랫배가 아프고 무직한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두(當歸頭) ; 당귀의 윗부분 즉 대가리부분만 잘라낸 것.
당귀미(當歸尾) ; 당귀의 꼬리부분(잔뿌리)만 잘라낸 것.
당귀백출탕(當歸白朮湯) ; 술을 지나치게 마셔 생긴 여러 가지 증세와 음벽(陰癖)으로 생긴 병에 쓰는 동약처방.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당귀비해산(當歸  散) ; 심근염 때 심장부위가 아프고 답답하며 몸이 붓고 무거우며 심음이 약하고 혈압이 낮은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사역탕(當歸四逆湯) ; 상한궐음병과 한증으로 달거리가 고르지 못한 데 몸이 차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산(當歸散)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당귀수산(當歸鬚散) ; 타박으로 기혈이 몰려 가슴이 결리고 배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승기탕(當歸承氣湯) ; 몸에 열감이 있으며 목안과 코안이 마르고 대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장위의 실열로 배가 팽팽히 불어 오르고 대변이 굳으면서 피가 섞여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신(當歸身) ; 당귀의 윗부분과 꼬리부분을 잘라버린 나머지 부분.
당귀아교산(當歸阿膠散) ; 임신 2-3달에 갑자기 명치 밑과 배가 아프면서 불안한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양육탕(當歸羊肉湯) ; 해산 후 춥다가 열이 나거나 어지러우며 소화가 잘 안되고 몸이 여위는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양혈탕(當歸養血湯) ; 늙은이가 담이 맺히고 혈이 모자라 게우고 입 안이 마르는 등의 여러 가지 증상에 쓰는 동약처방.
당귀연교음(當歸連翹飮) ; 풍한에 의해 이빨이 쑤시는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용담탕(當歸龍膽湯) ; 눈에 흰 예막이 생긴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용회환(當歸龍 丸) ; [동의어] 당귀노회탕. 실열이 성하여 나타나는 병증에 쓰는 동약처방.
당귀우슬산(當歸牛膝散) ; 월경부조증에 쓰는 동약처방.
당귀욱리인탕(當歸郁李仁湯) ; 치루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 ; 잠잘 때 식은땀과
열이 나는 음허도한에 쓰는 동약처방.
당귀윤조탕(當歸潤燥湯) ; [동의어] 윤조탕. 음혈부족이나 혈열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에 쓰는 동약처방.
당귀음(當歸飮) ; 타박으로 폐가 상한 데다 풍한을 받아서 기침이 나고 검은 색의 피를 게우는 데,
                         임신부가 음혈부족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번조증이 나서 안타까워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참조] 청심보혈탕.
당귀음자(當歸飮子) ; 온몸에 버짐이 생겨 가려우며 진물이 흐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잇꽃팅크 ; 월경곤란증, 불임증 등에 쓰는 동약처방.

당귀작약산(當歸芍藥散) ; 해산 전후에 생기는 여러 가지 병증에 쓰는 동약처방.
당귀작약탕(當歸芍藥湯) ; 중기하함으로 달거리가 안 멎고 계속되면서 기운이 없고 기허발열이 있으면서 온몸이 노곤하고 절로 땀이 나며
                                      입맛이 없고 때로 설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점통탕(當歸拈痛湯) ; 위축성 각기, 다발성 신경염, 류머티즘성 관절염 등 때 쓰는 동약처방.
당귀지황원(當歸地黃圓) ; 부인이 기혈부족으로 달거리가 고르지 못하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지황탕(當歸地黃湯) ; 기혈이 허하여 식은땀이 나며 얼굴이 핏기가
없고 맥이 없으면 몸이 여위고 입맛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탕(當歸湯) ; 간과 신이 허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통경탕(當歸通經湯) ; 달거리가 없거나 달거리를 하는 사이에도 아랫배와 허리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혈갈환(當歸血竭丸) ; 해산 후 오로가 나오지 않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환(當歸丸) ; 반진이 생기면서 뒤가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활혈탕(當歸活血湯) ; 혈울로 나타나는 증상과 헛배가 부르며 변이 검은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귀황기탕(當歸黃 湯) ; 산후에 피를 많이 흘려 기운이 없고 허리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당근열매 ; [동의어] 홍당무열매.
당뇨알약 ; [동의어] 백강알약.
당도(當道) ; [동의어] 길짱구씨.
당랑자(螳螂子) ; [동의어] 투유, 협지점. ①어린이가 나서 한 달 안팎에 입 안이 허는 증. ②자시(  ). ③사마귀알집.
당륙(當陸) ; [동의어] 자리공.
당마가목 ; [동의어] 마가목.
당몽(唐蒙) ; [동의어] 새삼씨.
당문자(當門子) ; 사향 안에 들어 있는 알갱이.
당삭(堂朔) ; [동의어] 임산(해산달).
당산(堂産) ; [동의어] 해산 직전.
당삼(糖蔘) ; 사탕으로 가공한 인삼. [참조] 인삼.
당삼(黨參) ; [참조] 만삼.
당설( 泄) ; ①설사의 하나. ②대변이 묽은 것.
당설가( 泄 ) ; [동의어] 당가설.
당약(唐藥) ; [동의어] 당재.
당약 (當藥) ; ①[동의어] 쓴풀. ②[동의어] 자주쓴풀.
당약재(唐藥材) ; [동의어] 당재.
당양(當陽) ; 경외기혈.
당용(當容) ; [동의어] 경외기혈인 태양혈.
당월(當月) ; [동의어] 임산(해산할 달).
당위(當位) ; 운기론에서 쓰는 말. 5운이 자기 위치에 간 것.
당유(當乳) ; [동의어]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의 유중혈.
당자생예막(撞刺生 膜) ; 목정손상의 하나. 눈을 둔한 물체에 맞거나 예리한 물체에 찔려 예막이 생긴 병증.
당재(唐材) ; 지난날에 당나라에서 나거나 들여온 동약재.
당추 ; [동의어] 고추.
당효(糖哮) ; 효증의 하나.
대(帶) ; [동의어] 대하.
대가설(大 泄) ; [동의어] 가설. 설사의 하나. 이급후증이 있으면서 자주 변소에 가나 뒤를 보지 못하며 뱃속이 끌어당기는 것 같고 음경이 아픈 것.
대갑(代甲) ; [동의어] 대지(代指).
대강풍(大剛風) ; 8풍②의 하나. 북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풍사로 된 것.
대강활탕(大羌活湯) ; 풍습으로 팔다리의 뼈마디가 붓고 아파서 잘 움직이지 못하는 데, 풍한습으로 생긴 감기 때 오슬오슬 춥고 열이 나며
                               머리가 아프고 가슴이 답답하여 목안이 마르고 온몸이 무거운 데 쓰는 동약처방.
대개(大疥) ; 개창의 하나. 벌겋게 달아 오르고 가렵고 아프며 헌데가 생겨 고름이 나오는 것.
대거(大巨) ; [동의어] 액문. 족양명위경의 혈.
대건골(大楗骨) ; [동의어] 넓적다리뼈(대퇴골).
대건골행골갈탈갈(大楗骨 骨 脫 ) ; [동의어] 슬관절탈구.
대건중탕(大建中湯) ; 허열로 나른하고 아픈 데, 오후마다 미열이 나는 등에 쓰는 동약처방.
대겁(大怯) ; 몹시 겁을 내는 것, 크게 겁을 먹는 것.
대견(擡肩) ; [동의어] 견식. 숨이 몹시 차서 어깨를 들먹거리는 것.
대결명산(大決明散) ; 눈에 피가 지고 부으면서 아프고 눈물이 나오는 데와 예막이 생기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결흉(大結胸) ; 열실결흉의 하나. 상한 때 사열이 속으로 들어가서 가슴 속에 있는 담음과 결합하여 생긴 결흉증.
대경(大經) ; ①비교적 큰 경맥. ②12개의 정경(正經). ③본경(本經)의 경맥.
대경(大驚) ; 몹시 놀라는 것,
크게 놀라는 것.
대경불어(大驚不語) ; 몹시 놀란 다음 말을 못하는 것.
대경수(大經隧) ; 굵은 경맥.
대경원(大驚元) ; [동의어] 대안신원. 경풍으로 자주 놀라면서 경련을 일으키는 등에 쓰는 동약처방.
대계(大 ) ; [참조] 엉겅퀴.
대계산(大 散) ; [동의어] 대계음자.
대계음자(大 飮子) ; [동의어] 대계산. 폐저로 열이 나면서 기침을 하는 등에 쓰는 동약처방.
대고(大苦) ; [동의어] 황약자.
대고삼환(大苦蔘丸) ; 창양이 생겨 아프며 잘 아물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고양탕(大固陽湯) ; 식상으로 양기가 허해져 숨이 차고 정신이 흐린 데 쓰는 동약처방.
대골(大骨) ; ①몸에 있는 큰 뼈들. ②요추, 척추 가운데서 요추가 비교적 크다는 뜻.
대골고고(大骨枯槁) ; 큰 뼈들이 오랜 병으로 마르고 위축되어 몸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말.
대골공(大骨空, 大骨孔) ; [동의어] 대공골. 경외기혈.
대공(大孔) ; [동의어] 항문.
대공골(大空骨) ; [동의어] 경외기혈인 대골공.
대관절(大關節) ; 몸에 있는 비교적 큰 뼈마디를 가리키는 말.
대관절불리(大關節不利) ; 뼈마디를 제대로 폈다 굽혔다 하지 못하는 것.
대구(對口) ; [동의어] 대구저.
대구산(代灸散) ; 나력이 터져 역한 냄새가 나며 진물이 흐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구저(對口疽) ; [동의어] 정뇌저.
대구치(大臼齒) ; [동의어] 대아, 진근아, 큰어금니.
대국(大菊) ; [동의어] 패랭이꽃.
대궁궁산(大芎窮散) ; 여성들이 혈풍으로 뼈마디가 아프고
가슴이 답답하며 입맛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궐(大厥) ; ①중풍의 하나. ②[동의어] 폭궐.
대극(大戟) ; [참조] 버들옻.
대금(大禁) ; [동의어] 수양명대장경의 수오리혈.
대기(大氣) ; ①[동의어] 공기. ②[동의어] 종기. ③큰 경맥의 기. ④[동의어] 사기.
대기입장(大氣入臟) ; 비교적 센 6음의 사기가 내장장기에 침입한 것.
대나물뿌리 ; [동의어] 은시호. 패랭이꽃과에 속하는 대나물(Gypsophyla oldhamiana Miq.)의 뿌리를 말린 것.
대녕소탕(大寧嗽湯) ; 허로로 오랫동안 기침을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뉵(大 ) ; [동의어] 대뉵혈. 피가 많이 나오는 증.
대뉵혈(大 血) ; [동의어] 대뉵.
대단하환(大斷下丸) ; 이질로 대변을 자주 보고 몸이 여위며 노곤한 데 쓰는 동약처방.
대당문근(大當門根) ; [동의어] 천문동.
대대(對待) ; 서로 반대되는 성질을 가진 맥상을 대비해서 이른 말.
대도(大都) ; ①족태음비경의 혈. ②경외기혈.
대도두(大刀豆) ; [동의어] 작두콩.
대독(大毒) ; ①약물 독성이 심한 것. ②동약의 성미와 약효가 몹시 센 것.
대돈(大敦) ; [동의어] 대순, 수천. 족궐음간경의 혈.
대두(大 ) ; [동의어] 대복(윗배).
대두권(大豆卷) ; [동의어] 갯완두싹.
대두병(大頭病) ; [동의어] 대두온.
대두상한(大頭傷寒) ; [동의어] 대두온.
대두온(大豆瘟) ; [동의어] 대두풍, 대두병, 대두종. 온독의 하나.
대두온역(大頭瘟疫) ; [동의어] 대두온.
대두종(大頭腫) ; [동의어] 대두온.
대두풍(大頭風) ; [동의어] 대두온.
대두황(大豆黃) ; [동의어] 약전국.
대두황권(大豆黃卷) ; [동의어] 갯완두싹.
대라조환(大蘿 丸) ; 풍, 한, 담 등으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과 밀가루 음식에 체한 데 쓰는 동약처방.
대락(大絡) ; 경맥에서 갈라진 큰 낙맥.
대란(大蘭) ; [동의어] 패랭이꽃.
대랭(大冷) ; 기후가 찬 것.
대려(大旅) ; [동의어] 구루(  ).
대력자(大力子) ; [동의어] 우엉씨.
대령보단(大靈寶丹) ; 여러 가지 풍병으로 몸 절반을 잘 쓰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루(大 ) ; [동의어] 구루(  ).
대릉(大陵) ; [동의어] 귀심, 심주. 수궐음심포경의 혈.
대마 ; [동의어] 역삼.
대마인(大麻仁) ; [참조] 역삼씨.
대마인환(大麻仁丸) ; 대변이 굳어서 뒤 보기 힘들어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마자(大麻子) ; [참조] 역삼씨.
대마풍(大麻風) ; [동의어] 뇌풍.
대만월(大滿月) ; [동의어] 해산 후 2달.
대맥(大脈) ; 맥상의 하나.
대맥(代脈) ; [동의어] 지대맥. 맥상의 하나.
대맥(帶脈) ; ①기경8맥의 하나. ②족소양담경의 혈.
대맥모(大麥毛) ; [동의어] 보리길금.
대맥아(大麥芽) ; [동의어] 보리길금.
대맥얼(大麥蘖) ; [동의어] 보리길금.
대명사(大明砂) ; [동의어] 붕사.
대모( 瑁, 玳瑁) ; 바다거북과에 속하는 대모(Eretmochelys imbricata L.)의 등딱지.
대모지두(大拇指頭) ; 경외기혈.
대방(大方) ; 7방의 하나. ①처방조성에서 약재의 작용이 세고 가짓수와 용량을 많이 한 것. ②처방조성에서 주약 1가지, 신약 3가지, 좌, 사 약 9가지로 된 처방.
대방맥(大方脈) ; 옛날에 어른들의 질병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던 분과.
대방풍탕(大防風湯) ; 학슬풍이나 허벅다리와
무릎이 아픈 데 등에 쓰는 동약처방.
대변간난(大便艱難) ; 대변 보는 시간이 길어지고 대변이 굳어 보기 힘든 것.
대변난(大便難) ; [동의어] 변비. 대변 보기 힘든 것.
대변불통(大便不通) ; [동의어] 변비. 여러 날 대변을 보지 못하는 것.
대변비(大便秘) ; [동의어] 변비.
대변비결(大便秘結) ; [동의어] 변비.
대변조결(大便燥結) ; 대변이 마르고 굳어서 보지 못하는 것.
대변하혈(大便下血) ; 대변으로 피가 나오는 증상.
대병(大病) ; ①[동의어] 중한 병. ②[동의어] 상한.
대보원전(大補元煎) ; 기혈부족, 신허로 몸이 약한 데 등에 쓰는 동약처방.
대보음환(大補陰丸) ; [동의어] 대보환. 음이 허하고 양이 성한 탓으로 뼈가 저리고 아프며 오후마다 미열이 나고 식은땀을 흘리며
                               기침과 함께 가래가 나오거나 피를 게우며 잠을 자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보환(大補丸) ; ①음허화동 또는 담화로 귀가 잘 들리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②[동의어] 대보음환.
대보황기탕(大補黃 湯) ; 허약한 사람이 식은땀을 흘리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복(大腹) ; ①윗배. ②부종이나 창만으로 배가 커진 것.
대복모(大腹毛) ; [동의어] 빈랑껍질.
대복수종(大腹水種) ; 배에 물이 고여서 배가 커진 것.
대복피(大腹皮) ; [참조] 빈랑껍질.
대복피산(大腹皮散) ; 각기로 붓고 아프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봉수단(大鳳髓丹) ; [동의어] 봉수단. 조루증과 유정 등에 쓰는 동약처방.
대부(大府) ; [참조] 대장(大腸)①.
대분(大分) ; ①근육들이 비교적 많이 합쳐진 곳. ②넓적다리나 팔죽지의 근육들 사이의 경계가 뚜렷한 것.
대분청음(大分淸飮) ; 습열이 쌓여 나타나는 증상과 황달과 함께 설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비(大痺) ; 비증이 중한 것.
대사(大邪) ; ①사기가 왕성한 것. ②풍사.
대사자(大瀉刺) ; 옛날에 쓰던 9가지 침놓는 방법의 하나.
대사중표(大邪中表) ; 6음의 사기가 표에 침범한 것.
대산(大産) ; [동의어] 정산.
대산(大蒜) ; [참조] 마늘.
대산고(大蒜膏) ; 폐렴으로 오한이 있거나 입맛이 없으며 온몸이 나른한 데 쓰는 동약처방.
대산우원(大山芋元) ; 비위허약과 원기가 회복되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삼(戴滲) ; [동의어] 단너삼.
대서(大暑) ; 24절기의 열두번째.
대설(大雪) ; 24절기의 스물한번째.
대성초(戴星草) ; [동의어] 고위까람.
대성탕(大成湯) ; [동의어] 통도산.
대성풍탕(大省風湯) ; 중풍으로 몸 절반을 쓰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대소변을 누지 못하는 것.
대소변혈(大小便血) ; 대변과 오줌으로 피가 나가는 증상.
대소비환(大消 丸) ; [동의어] 황련소비환.
대소역(大小疫) ; 두창(마마)과 마진(홍역)을 합해서 이른 말.
대소장(大小腸) ; 대장과 소장을 합해서 이른 말.
대소장교(大小腸咬) ; [동의어] 교장증.
대소증(大小蒸) ; 옛날에 소아변증을 날짜로 계산한 것. [참조] 변증(變蒸).
대소피(大小避) ; [동의어] 대변과 오줌.
대수(大 ) ; 대변.
대순(大順) ; [동의어] 족궐음간경의 대돈혈.
대순산(大順散) ; 여름철 더위에 상한 데 쓰는 동약처방.
대승기탕(大承氣湯) ; 양명부실증으로 열이 몹시 나고 배가 아프면서 대변을 누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시호탕(大柴胡湯) ;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면서 가슴과 옆구리가 답답하고 명치 밑이 아프고 뒤가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대신효활락단(大神效活絡丹) ; [동의어] 대활락단.
대실(大室) ; [동의어] 꽃다지씨.
대심(大心) ; [동의어] 심(心).
대심(大 ) ; [동의어] 여름국화.
대심(戴 ) ; [동의어] 단너삼.
대심발(對心發) ; [동의어] 중발배. 대싸리 [참조] 댑싸리.
대아(大牙) ; [동의어] 대구치(큰어금니).
대아교원(大阿膠元) ; 허로로 피를 게우며 열이 나고 몸이 여위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안(戴眼) ; 눈을 위로 치뜨고 눈알이 돌아가지 않는 것.
대안신원(大安神元) ; [동의어] 대경원.
대안신환(大安腎丸) ; 원양과 신기부족으로 허리가 아프고 귀가 잘 들리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안환(大安丸) ; 식상으로 가슴과 배가 그득하고 뜬뜬하면서 만지지도 못할 만큼 아파하며 대변은 굳도 입맛이 없으며 썩은 냄새가 나는 트림을 하는 데,
                         어린이가 체기를 받다 헛배가 부르고 게우거나 설사하면서 머리에 열이 나는 데 등에 쓰는 동약처방.
대약풍(大弱風) ; 8풍②의 하나.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풍사로 된 것.
대양(戴陽) ; 하초에는 한증증상, 상초에는 가열증상이 나타나는 병증.
대역(大疫) ; ①소역과 상대되는 말. ②큰돌림을 일으키는 전염병.
대연교음(大連翹飮) ; 여러 가지 헌데와 풍사나 열독 등에 쓰는 동약처방.
대영(大迎) ; [동의어] 수공. 족양명위경의 혈.
대영전(大營煎) ; 간, 신이 허하여 달거리 주기가 늦고 양이 적어지는 데, 기혈이 허한 탓으로 명치 밑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대오보환(大五補丸) ; 허로로 노곤하고 기운이 없는 데, 건망증이 심한 데 쓰는 동약처방.
대온경원(大溫驚元) ; 어린이가 심열로 가슴이 답답하고 자주 울며 때로 경련이 일어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온경탕(大溫經湯) ; [동의어] 온경탕.
대온비환(大溫脾丸) ; 비위가 허해 소화가 되지 않고 명치 밑이 아프며 설사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온중환(大溫中丸) ; 황달과 황반으로 피부가 누렇게 되면서 정신이 흐리고 온몸이 붓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왐풀 [동의어] ; 백급.
대우(大羽) ; [동의어] 독맥의 강간혈.
대운예내장(大雲 內障) ; 원예내장의 하나. 정주(렌즈체)가 미만성으로 연하게 흐려진 내장눈병.
대육(大肉) ; 넓적다리, 팔죽지, 엉덩이 등 비교적 큰 근육들을 가리키는 말.
대육함하(大肉陷下) ; 넓적다리 등에 있는 비교적 크고 두드러져 올라온 근육들이 여위어 우묵하게 들어간 상태.
대음(大陰) ; [동의어] 족태음비경의 삼음교혈.
대의(大醫) ; 지난날 뛰어난 의술을 가진 의사를 가리키던 말.
대이륜(對耳輪) ; 귀테의 안쪽 맞은편에 귀테와 평행으로 달리는 부분.
대이륜상각(對耳輪上脚) ; 대이륜은 위로 올라가면서 둘로 갈라졌는데 그 가운데서 윗부분.
대이륜하각(對耳輪下脚) ; 대이륜은 위로 올라가면서 둘로 갈라졌는데 그 가운데서 아랫부분.
대이병(對耳屛) ; [동의어] 대이주(귀구슬의 맞은편 아래쪽 두드러진 부위).
대이주(對耳珠) ; [동의어] 대이병. 귀구슬의 맞은편 아래쪽에 있는 두드러진 부위.
대이향산(大異香散) ; 곡창, 기창으로 명치 밑이 트적지근하고 뜬뜬하며 배가 불러 오르면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대자(大 ) ; [동의어] 내자(눈구석).
대자(代 ) ; [동의어] 대자석.
대자루(大 漏) ; 누정의 하나. 눈구석 살갗이 부으며 아프다가 고름이 나오는 것.
대자석(大 石) ; [동의어] 수환, 혈사. 삼방정계의 적철광인 삼산화이철(Fe2 O3)

대자적맥(代 赤脈) ; [동의어] 대자적맥전정.
대자적맥전정(大 赤脈傳睛) ; 핏줄이 눈구석에서 시작하여 백정(구결막)이나 흑정(각막)으로 자라 들어가는 것. [참조] 적맥전정.
대장(大腸) ; ①6부의 하나. ②안마하는 부위. ③[동의어] 대변.
대장(大臟) ; [동의어] 5장.
대장경(大腸經) ; [동의어] 수양명대장경.
대장경(大腸驚) ; 장부경증의 하나. 팔다리에 경련이 일면서 목구멍에서 가래끓는 소리가 나는 것.
대장기허(大腸氣虛) ; [동의어] 대장허증.
대장모(大腸募) ; 대장의 모혈. 족양명위경의 천추혈.
대장병(大腸病) ; 대장에 생긴 병.
대장불고(大腸不固) ; [동의어] 장허불고. 대장병의 하나.
대장비(大腸痺) ; 대장의 마비로 대변을 누지 못하거나 설사하는 것.
대장설(大腸泄) ; 설사의 하나.
대장수(大腸水) ; 대장에 병이 있어 부종이 생긴 증.
대장수양명지맥(大腸手陽明之脈) ; [동의어] 수양명대장경.
대장습열(大腸濕熱) ; 대장병의 하나.
대장실(大腸實) ; [동의어] 대장실증.
대장실열(大腸實熱) ; 대장에 사열이 왕성한 증.
대장실증(大腸實證) ; [동의어] 대장실. 대장병의 하나.
대장액휴(大腸液虧) ; [동의어] 대장진휴. 대장병의 하나.
대장열(大腸熱) ; [동의어] 대장열증.
대장열결(大腸熱結) ; 열사가 대장에 몰려서 생기는 병리적 변화.
대장열증(大腸熱證) ; [동의어] 대장열. 대장병의 하나.
대장옹(大腸癰) ; 대장에 생긴 옹.
대장유(大腸兪) ; 족태양방광경의 혈. 수양명의 배유혈.
대장저(大腸疽) ; 대장에 생긴 저. 천추혈부위가 은근히 아픈 것.
대장절(大腸絶) ; 설사가 몹시 심한 것.
대장조결(大腸燥結) ; 대장병의 하나. 대장진액이 줄어들어 대변이 굳어진 것.
대장증(大腸蒸) ; 증병의 하나.
대장지원(大腸之源) ; 대장의 하합혈. 족양명위경의 상거허혈.
대장진휴(大腸津虧) ; [동의어] 대장액휴.
대장창(大腸脹) ; 창만의 하나.
대장취(大腸聚) ; 6취의 하나. 취가 대장에 생긴 것. [참조] 취.
대장한(大腸寒) ; [동의어] 대장한증.
대장한결(大腸寒結) ; 대장병의 하나.
대장한습(大腸寒濕) ; [동의어] 대장한증.
대장한증(大腸寒證) ; [동의어] 대장한. 대장병의 하나.
대장해(大腸咳) ; 해소의 하나. 대장과 관련된 기침.
대장허(大腸虛) ; [동의어] 대장허증.
대장허랭(大腸虛冷) ; [동의어] 대장허한.
대장허증(大腸虛證) ; 대장병의 하나. 대장의 기가 허해지고 중기가 하함된 병증.
대장허한(大腸虛寒) ; 대장병의 하나.
대장화(大腸火) ; 대장에 화가 왕성한 증.
대쟁(大爭) ; 학질 때 오한과 열이 몹시 나는 것.
대저(大 ) ; [동의어] 배유. 족태양방광경의 혈.
대적(大適) ; [동의어] 꽃다지씨.
대절(大節) ; ①몸에서 제일 큰 뼈마디. ②손가락과 발가락의 첫번째 뼈마디.
대절해(大節解) ; [동의어] 큰 뼈마디.
대접경(大接經) ; 침놓는 방법의 하나.
대정(大丁) ; 정창이 큰 것. [참조] 정창( 瘡).
대정기산(大正氣散) ; 풍, 한, 서, 습이 상하여 열이 나고 추우면서 소화가 안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제(大劑) ; 약의 용량을 많게 해서 쓰는 것.
대제발(對臍發) ; [동의어] 하발배.
대제자(大薺子) ; [동의어] 말냉이씨.
대조(大棗) ; [참조] 대추.
대조각(大 角) ; [동의어] 주염나무열매.
대조경산(大調經散) ; 산후에 오줌이 잘 나가지 않고 온몸이 부으면서 배가 그득하고 숨이 찬 데 쓰는 동약처방.
대조중탕(大調中湯) ; 몸이 허약한 데 담이 있으면서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어지럽고 때로 피를 게우는 등의 증상에 쓰는 동약처방.
대조협(大 莢) ; [동의어] 주염나무열매.
대종(大鐘) ; ①족소음신경의 혈. ②[동의어] 족소음별락.
대중극(大中極) ; [동의어] 임맥의 관원혈.
대즙(大 ) ; [동의어] 말냉이.
대즙자(大 子) ; [동의어] 말냉이씨.
대증(大蒸) ; 대소증의 하나. [참조] 대소증.
대증시치(對證施治) ; 증에 따라 병을 치료하는 것.
대증취혈(對症取穴) ; [동의어] 수증취혈.
대지(大指) ; [동의어] 엄지손가락.
대지(大趾) ; [동의어] 엄지발가락.
대지(代指) ; [동의어] 대갑. 손발톱 밑이 곪는 병증.
대지갑(大指甲) ; [동의어] 엄지발가락의 발톱.
대지갑근(大指甲根) ; [동의어] 삼상. 경외기혈.
대지차지(大指次指) ; [동의어] 식지(둘째손가락).
대지황환(大地黃丸) ; 임신기나 산후에 혈부족으로 허리와 배가 아프며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진교탕(大秦 湯) ; 중풍으로 몸 절반을 못 쓰며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말을 잘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천궁환(大川芎丸) ; 두풍증으로 어지럽고 편두통, 정두통이 있으며 온몸이 나른한 데 쓰는 동약처방.
대천남성환(大天南星丸) ; 어린이가 급경풍과 만경풍으로 느침을 흘리며 경련이 이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청(大靑) ; [동의어] 대청잎.
대청룡탕(大靑龍湯) ; 춥고 열이 나며 온몸이 무겁고 아프며 입 안이 마르며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찬 데 쓰는 동약처방.
대청뿌리 ; 배추과에 속하는 대청(Isatis tinctoria L.)의 뿌리를 말린 것.
대청엽(大靑葉) ; [참조]
대청잎.
대청잎 ; [동의어] 대청엽, 대청. 배추과에 속하는 대청의 잎을 말린 것.
대초(大椒) ; [동의어] 조피열매.
대추 ; [동의어] 대조, 건조, 미조, 양조.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대추나무(Zizyphus jujuba Mill. var. inermis Bge.)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대추(大椎) ; [동의어] 백로, 십추, 상저. 독맥의 혈. 독맥과 수족 3양경의 교회혈.
대추골(大椎骨) ; ①[동의어] 천주골(제4, 5, 6경추). ②[동의어] 제7경추.
대추사화(大椎四花) ; 경외기혈.
대추죽 ; 늙은이들의 위 기능이 약해지면서 입맛이 없고 대변이 지나치게 무르거나 빈혈이 올 때, 혈소판감소증과 만성간염,
             과민성 자반병, 영양부족, 온몸 쇠약 등에 쓰는 동약죽.
대추잎알약 ; 고혈압병 일반에 쓰는 동약처방.
대충장(大蟲杖) ; [동의어] 범싱아뿌리.
대칠기탕(大七氣湯) ; 적취로 명치 밑이 당기면서 아프고 헛배가 부르며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침(大針) ; 옛날에 쓰던 9가지 침(고대 9침)의 하나.
대탁(帶濁) ; ①대하. ②적탁과 백탁을 합해서 이른 말.
대탈혈(大脫血) ; [동의어] 혈탈. 코피, 변혈, 피게우기 등 떼에 많은 양의 피가 나온 것.
대택란(大澤蘭) ; 향등골나물을 말린 것.
대토사자원(大 絲子元) ; 신, 방광이 허한하여 오줌을 자주 누는 데, 유정, 몽설 또는 음위증 등 때 쓰는 동약처방.
대퇴(大腿) ; [동의어] 넓적다리.
대퇴골(大腿骨) ; [동의어] 고골, 건골, 대건골, 넓적다리뼈.
대퇴관절탈구(大腿關節脫臼) ; 대퇴관절의 관절두와 관절와가 정상적인 접촉상태에서 벗어난 것.
대퇴옹 ; [동의어] 퇴옹. 넓적다리에 생긴 옹. [참조] 외옹.
대평(大 ) ; [동의어] 네가래.
대포(大包) ; ①혈 이름. ②15맥락의 하나. [참조] 비지대락. 
대포(大砲) ; [동의어] 비지대락.
대풍(大風) ; ①[동의어] 뇌풍(문둥병). ②몹시 센 풍사. ③혈이 허해서 생긴 풍.
대풍뢰(大風癩) ; [동의어] 뇌풍.
대풍악질(大風惡疾) ; [동의어] 뇌풍.
대풍자(大風子) ; 대풍자과에 속하는 대풍자(Hydnocarpus anthelmintica Fiar.)의 여문씨를 말린 것.
대풍질(大風疾) ; [동의어] 뇌풍.
대풍창(大風瘡) ; [동의어] 뇌풍.
대하(帶下) ; [동의어] 대. ①여성성기에서 흘러 나오는 이슬. ②옛날에 부인과 질병을 통틀어 이른 말.
대하무자(帶下無子) ; 불임증의 하나. 성기이슬이 많으면서 임신을 못하는 것. [참조] 대하.
대하백(帶下白) ; [동의어] 백대하.
대하삼십육질(帶下三十六疾) ; [동의어] 부인삼십육질. 옛사람들이 여성들에게 생긴다고 보았던 36가지의 질병.
대하의(帶下醫) ; 산부인과 질병을 전문으로 치료하는 의사를 가리켜 부르던 이름.
대하적(帶下赤) ; [동의어] 적대하.
대하청후(帶下靑候) ; [동의어] 청대하.
대하황(帶下黃) ; [동의어] 황대하.
대하흑(帶下黑) ; [동의어] 흑대하.
대한(大汗) ; 한증의 하나. 땀을 많이 흘리는 것.
대한(大寒) ; 24절기의 스물네번째. 매해 1월 20일이나 21일에 해당.
대함흉탕(大陷胸湯) ; 가슴에서 배꼽까지 뜬뜬하고 아프며 뒤가 잘 나가지 않으면서 오후마다 조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함흉환(大陷胸丸) ; 급성열성병 때 잘못하여 가슴이 아프고 명치 밑이 아픈 데, 열실결흉으로 배가 불러 오르면서 대소변을 보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해(大海) ; ①자궁이 있는 부위. ②[동의어] 하단전.
대혁(大赫) ; [동의어] 음유, 음관. 족소음신경의 혈. 족소음과 충맥의 교회혈.
대현호색산(大玄胡索散) ; 달거리 때와 해산 뒤에 배가 아프며 숨이 차고 가슴이 답답한 데, 징가, 현벽, 적취에 쓰는 동약처방.
대홍후옹(大紅喉癰) ; 후옹의 하나. 목안에 생긴 옹종의 겉면이 몹시 벌겋게 부은 것.
대화(大火) ; ①[동의어] 소음군화, 심화. ②화가 몹시 왕성해진 것.
대화중음(大和中飮) ; 음식에 체하여 위부위가 뜬뜬하면서 입맛이 없으며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환후생예(大患後生 ) ; 외장눈병의 하나. 중병을 앓고 있거나 앓고 난 다음 흑정(각막)에 예가 생기는 눈병.
대활락단(大活絡丹) ; [동의어] 대신효활락단. 중풍담궐로 생긴 반신불수, 허리와 무릎이 아파서 걷기 힘든 데, 타박을 받아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대황(大黃) ; [동의어] 재배대황, 활량. 여뀌과에 속하는 조선대황(Rheum coreanum Nakai)의 뿌리와 뿌리줄기를 말린 것.
대황감수탕(大黃甘遂湯) ; 산후에 혈실에 수와 혈이 서로 엉켜 아랫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하여 오줌이 적게 나가면서 목마름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황감초산(大黃甘草散) ; 습관성 변비로 뒤가 늘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대황고(大黃膏) ; 헌데가 생기려는 징조가 나타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황당귀산(大黃當歸散) ; 외상으로 혈관동신이 생긴 데 쓰는 동약처방.
대황목단탕(大黃牧丹湯) ; [동의어] 대황탕. 장옹으로 오른쪽 아랫배가 뜬뜬하고 아프며 춥고 열이 나며 식은땀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황봉과(大黃蜂 ) ; [동의어] 말벌집.
대황부자탕(大黃附子湯) ; 음한이 몰려서 배가 아프면서 변비가 있고 때로 한쪽 옆구리가 아프며 열이 나고 맥이 침하고 현긴한 데 쓰는 동약처방.
대황산(大黃散) ; 풍랭을 받았거나 관격이 되어 배가 불러 오르고 아프면서 대변과 오줌을 누지 못하는 데, 습진으로 가렵고 진물이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황알약 ; 급성 및 만성 간염으로 황달이 오고 오른쪽 옆구리 아픔이 있으며 때로 열이 올랐다 내렸다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황음자(大黃飮子) ; 열비(熱 )로 속이 답답하고 갈증이 나면서 대변이 굳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황자충환(大黃 蟲丸) ; 허로로 몸이 여위는 데, 달거리 양이 적어지거나 중단되고 식은땀이 나며 머리가 아프고 골증조열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황좌경탕(大黃左經湯) ; 풍, 한 서, 습으로 허리와 다리가 아프고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황탕(大黃湯) ; 음식을 먹은 뒤 소화되지 않는 것 느침과 함께 게우고 몸이 여위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황환(大黃丸) ; 어린이가 풍열로 갈증이 있어 찬물을 마시려고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황황련사심탕(大黃黃連瀉心湯) ; [동의어] 황련사심탕. 열비(熱 )로 명치 밑이 트적지근하고 그득한 감이 있으며,
                                                    심화로 코피를 흘리거나 피를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회향(大茴香) ; ①[동의어] 팔각회향. ②[동의어] 회향.
대횡(大橫) ; [동의어] 신기, 인횡. 족태음비경의 혈.
댑[대]싸리씨 ; [동의어] 지부자, 지맥, 지규, 낙추자, 천두자. 능쟁이과에 속하는 댑[대]싸리(Kochia scoparia Schrad.)의 여문씨를 말린 것.
댕강쑥 ; [동의어] 생당쑥.
댕댕이덩굴 ; [참조] 방기. 곧 대전.
더덕 ; [동의어] 사삼, 고심, 지취, 호수, 식미, 문희. 도라지과에 속하는 더덕[Codonopsis lanceolata (Sieb. et Zucc.) Benth. et Hook.]의 뿌리를 말린 것.
더운찜질 ; 살갗이나 점막에 더운 자극을
주어 병을 치료하는 방법.
더위지기 ; [동의어] 생당쑥.
덕수 ; 몸 단련이나 치료를 위하여 떨어지는 물을 맞는 치료법.
덩굴메밀 ; 여뀌과에 속하는 덩굴메밀[Polygonum convolvulus L. 또는 Bilderdykia convolvulus (L.) Dumorttier]의 옹근풀을 말린 것.
덩굴별꽃 ; 패랭이꽃과에 속하는 덩굴별꽃[Cucubalus baccifer L. var. japonicus Miquel 또는 C. japonicus (Miq.) Worosch]의 옹근풀을 말린 것.
덩굴백부 ; [동의어] 파부초. [참조] 백부.
덩굴찔레나무열매 ; [동의어] 용가시나무열매.
도(淘) ; 정선의 하나. 열매류 동약에 섞인 동과 모래, 흙, 그 밖의 섞임물질을 물에 일어서 없애는 것.
도(搗) ; [동의어] 도쇄.
도개화(倒開花) ; [동의어] 경단복행.
도경(倒經) ; [동의어] 역경.
도경백피(桃莖白皮) ; [동의어] 복숭아나무속껍질.
도경환(導經丸) ; 달거리가 없으면서 배와 허리가 아픈 데, 달거리가 고르지 못하고 검붉은 핏덩이가 나오며 아랫배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도계(掉 ) ; 떨리면서 오그라드는 증.
도계기보환(桃溪氣寶丸) ; 적취, 징가로 배와 옆구리가 불러 오르고 몸이 여위며 대변이 굳은 데, 기적, 식적 등에 쓰는 동약처방.
도계당귀환(桃桂當歸丸) ; 해산 후 오로가 계속 흐르다가 갑자기 멎으면서 오한과 열이 나고 배꼽주위로부터 아랫배까지 아프면서 온몸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도교연고(桃膠軟膏) ; 골관절결핵 때 누공이 생긴 데, 임파절결핵, 피부결핵 등에 쓰는 동약처방.
도규(刀圭) ; 지난날에 가루약의 양을 계량할 수 있게 만들어 쓰던 약숟가락의 하나.
도규가(刀圭家) ; 옛날에 의학부문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이르는 말.
도규술(刀圭術) ; [동의어] 엣날의 의술.
도기법(導氣法) ; ①호흡복기법의 하나. ②[동의어] 행기법(行氣法). ③침놓는 방법의 하나.
도기지각환(導氣枳殼丸) ; 위기가 치밀어 속이 그득하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도기지실환(導氣枳實丸) ; [동의어] 지실도체환(枳實導滯丸).
도기탕(導氣湯) ; 농혈, 이질에 쓰는 동약처방.
도꼬로마 ; [동의어] 큰마. [참조] 비해.
도꼬마리열매 ; [동의어] 창이자, 창이실, 시이실, 호시, 지규, 시일, 상사. 국화과에 속하는  도꼬마리(Xanthium strumarium L.)의 열매를 말린 것.
도깨비바늘 ; [동의어] 털가막살이.
도노(桃奴) ; [동의어] 도효.
도노산(桃奴散) ; 혈고나 어혈로 달거리를 제때에 하지 않으면서 또한 배가 불러 오르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도둑놈의지팡이 ; [참조] 너삼.
도담탕(導痰湯) ; 중풍 때 담이 성하여 말을 더듬고 어지럼증이 나는 데, 담이 심을 장애하여 정신이 혼미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귀가 잘 들리지 않고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와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데 등에 쓰는 동약처방.

도도(陶道) ; 독맥의 혈. 독맥과 족태양의 교회혈.

도독(導毒) ; 오줌이나 대변으로 병독을 내보낸다는 말.
도두(刀豆) ; [동의어] 작두콩.
도두자(刀豆子) ; [동의어] 작두콩.
도라지 ; [동의어] 길경, 방도, 백약, 경초, 이여. 도라지과에 속하는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 또는 Platycodon graucum Nakai)의 뿌리를 말린 것.
도라지오미자단물약 ; 가슴이 아프며 기침과 가래가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도란(搗爛) ; [동의어] 도쇄.
도량원(都梁元) ; [동의어] 백지환.
도렴정(刀  ) ; 정창의 하나.
도령(兜鈴) ; [동의어] 방울풀열매.
도령근(兜鈴根) ; [동의어] 방울풀뿌리.
도룡입해(導龍入海) ; ①치료법에서 쓰이는 말마디. ②[동의어] 인화귀윈.
도루래 ; [동의어] 누고, 곡, 혜고, 천루. 도루래과에 속하는 도루래(Gryllotalpa africana Palisot de Beauvois)를 말린 것.
토마토 ; [동의어] 일년감. 가지과에 속하는 토마토 곧 일년감(Lycopersicon esculentum Miller)의 익은 열매.
도미(稻米) ; [동의어] 찹쌀.
도백피(桃白皮) ; [동의어] 복숭아나무속껍질.
도법(導法) ; [동의어] 도변법.
도변(導便) ; [동의어] 도변법.
도변법(導便法) ; [동의어] 도변, 도법. 대변을 누게 하는 방법.
도부법(塗敷法) ; 신선한 약물을 짓찧어 붙이거나 약에 물이나 식초를 넣어 골고루 섞은 다음 겉에 바르는 치료방법.
도산(倒産) ; [동의어] 역산.
도생(倒生) ; [동의어] 역산.
도생독(桃生毒) ; 식중독의 하나.
도생초(道生草) ; [동의어] 마디풀.
도선(刀癬) ; ①선창의 하나. ②[동의어] 첩와선.
도쇄(搗碎) ; [동의어] 도, 도란. 동약가공방법의 하나. 굳은 동약재의 유효성분이 잘 우러나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계적 압력으로 눌러 부스러뜨리는 것.
도수복령탕(導水茯 湯) ; 온몸이 붓고 숨이 차며 때로 기침을 하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도수환(導水丸) ; [동의어] 장용화, 현인환. 방광에 습열이 몰려 오줌이 잘 나가지 않고 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도시옹(兜 癰) ; 후옹의 하나. 목안의 한쪽 또는 양쪽에 생긴 옹.
도시후옹(兜 喉癰) ; 후옹의 하나. 뺨 아래 목부위에 생긴 옹.
도신법(塗 法) ; 치료의 목적으로 경련, 해로 때에 일정한 약물을 숫구멍에 발라주는 치료방법.
도씨도담탕(陶氏導痰湯) ; [참조] 도담탕②.
도씨보중익기탕(陶氏補中益氣湯) ; [참조] 보중익기탕②.
도씨생지금련탕(陶氏生地芩連湯) ; [참조] 생지금련탕②.
도씨승양산화탕(陶氏升陽散火湯) ; [참조] 승양산화탕②.
도어(陶於) ; [동의어] 철쭉꽃.
도인(桃仁) ; [참조] 복숭아씨.
도인법(導引法) ; [동의어] 교인. 몸을 튼튼하게 하고 병을 치료하는 방법의 하나.
도인승기탕(桃仁承氣湯) ; 하초축혈증으로 아랫배가 불러 오르고 대변색이 검고 오줌은 맑으며 때로 헛소리를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도인전(桃仁煎) ; 혈가, 혈고 등으로 달거리가 없어지면서 배가 아프고 이슬이 많이 내리는 데 쓰는 동약처방.
도인환(桃仁丸) ; 현벽으로 배꼽부위와 옆구리가 뜬뜬한 데 어린이가 하초에 기가 몰려 음낭이 뜬뜬하고 부은 데 쓰는 동약처방.
도적산(導赤散) ; 심, 소장의 열이 성하여 오줌이 잘 나가지 않고 오줌길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도적승기탕(導赤承氣湯) ; 양명병, 온병으로 대변이 잘 나가지 않고 오줌을 눌 때마다 아프며 번갈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도적원(導赤元) ; 방광열로 오줌이 잘 나오지 않고 오줌길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참조] 도적산.
도적지유탕(導赤地楡湯) ; 열이 나고 배가 아프며 뒤가 무직하고 피곱이 섞인 설사를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도적청심(導赤淸心) ; 청법의 하나. 심화를 내리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는 약으로 심화가 성한 것을 치료하는 방법.
도적탕(導赤湯) ; 습열로 뿌연 오줌을 누면서 오줌길이 아프고 열이 나며 가슴이 답답한 데 쓰는 동약처방.
도제고(塗臍膏) ; 수종 때 온몸이 부으면서 오줌을 잘 누지 못하고 숨이 찬 데 쓰는 동약처방.
도창법(倒倉法) ; 위장에 몰려 있는 사기를 몰아내는 치료방법.
도첩(倒睫) ; [동의어] 도첩권모.
도첩권모(倒睫拳毛) ; [동의어] 권곡, 첩모도입, 권모도첩, 권모도삽. 외장눈병의 하나. 속눈썹이 배열이 불규칙하여 그 일부가 흑정(각막)에 닿는 것.
도체(導滯) ; 막힌 것을 통하게 하는 치료방법.
도체탕(導滯湯) ; 이질로 배가 아프고 뒤가 무직하면서 피곱이 섞인 설사를 자주 하고 입 안이 마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도체통경탕(導滯通經湯) ; 오줌량이 적어지면서 온몸이 붓고 무거우며 속이 트적지근하고 소화가 안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도체통부(導滯通腑) ; 하법의 하나. 행기소도약과 설사약으로 위장에 생긴 적체증을 치료하는 방법.
도침법(搗針法) ; ①침을 놓는 방법의 하나. ②[동의어] 제삽법.
도토리 ; [동의어] 상실. 참나무과에 속하는 참나무(Quercus acutissima Carr.)와 같은 속식물의 여문 열매를 말린 것.
도토리지유싸락약 ; 급성위장염, 만성소대장염, 입안염 등에 쓰는 동약처방.
도포약(塗布藥) ; 살갗이나 점막에 바르는 약.
도피(桃皮) ; [참조] 복숭아나무껍질.
도한(盜汗) ; [동의어] 침한. 한증의 하나. 잠잘 때에만 땀이 나다가 잠에서 깨어나면 곧 땀이 멎는 것.
도핵승기탕(桃核承氣湯) ; [동의어] 도인승기탕.
도핵인(桃核仁) ; 복숭아씨〔도인(挑仁).
도현(掉眩) ; [동의어] 현도. 현훈의 하나.
도홍사물탕(桃紅四物湯) ; 일체의 어혈증에 쓰는 동약처방.
도화(桃花) ; ①[동의어] 태고. ②복숭아꽃.
도화선(桃花癬) ; [동의어] 면상풍선, 취화선. 선창의 하나. 봄철에 여자나 아이들의 얼굴에 연한 반점을 나타내는 표재성인 홍반성 인실성 피부병.
도화탕(桃花湯) ; 소음병 때 입 안이 마르고 온몸이 노곤하며 손발이 차고 피곱이 섞인 설사를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도화환(桃花丸) ; 적백리로 배꼽 주위가 아프면서 설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도효(桃梟) ; [동의어] 도노, 귀촉루. 복숭아나무에 붙은 채로 겨울을 난 복숭아를 말린 것.
도훈(刀暈) ; 창상에 의한 출혈과 아픔, 정신적 긴장 등으로 까무러치는 것.
독(禿) ; 대머리 또는 머리칼이 빠지거나 끊어져 없어진 것.
독(毒) ; ①[동의어] 병인, 독기(毒氣). ②[동의어] 독증. ③약물의 독성.
독(瀆) ; ①도랑 또는 개울. ②살갗과 살이 말라서 윤기가 없는 상태.
독각련(獨角蓮) ; 천남성과에 속하는 독각련(Typhonium giganteum Engl.)의 덩이뿌리를 말린 것.
독공(毒公) ; [동의어] 바꽃.
독기(毒氣) ; [동의어] 여기(戾氣).
독기내함(毒氣內陷) ; 병독이 속으로 들어간 것.

독기토(毒氣吐) ; 어린이가 약을 먹으면 게우는 병증.
독담치통(毒痰齒痛) ; 치통의 하나.
독두(禿頭) ; 대머리.
독두병(禿頭病) ; 머리털이 점차적으로 빠져서 대머리가 되는 병.
독두산(獨頭蒜) ; [동의어] 마늘.
독롱(毒聾) ; 이롱의 하나. 약물을 잘못 쓰거나 독초를 잘못 먹어서 생긴 난청.
독리(毒痢) ; 이질의 하나. 열독으로 생긴 이질.
독말풀꽃 ; [동의어] 만타라화. 가지과에 속하는 독말풀을 비롯한 독말풀속 식물의 꽃을 말린 것.
독말풀꽃알약 ; 기관지천식으로 기침이 심하고 숨가쁨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독말풀잎 ; [동의어] 만타라엽. 가지과에 속하는 독말풀(Datura tatula L.). 양독말풀(D. stramonium L.). 기타 독말풀속(Datura sp.) 식물의 잎을 말린 것.
독맥(督脈)  ; 기경 8맥의 하나.
독맥락(督脈絡) ; [동의어] 독맥지별락.
독맥지별(督脈之別) ; [동의어] 독맥지별락.
독맥지별락(督脈之別絡) ; [동의어] 독맥지별, 독맥락. 15낙맥의 하나.
독모근(獨茅根) ; [동의어] 선모.
독비(毒秘) ; 약물독과 음식물독에 의하여 오는 변비.
독비(犢鼻) ; 족양명위경의 혈.
독사(毒蛇) ; [참조] 살모사.
독산(獨蒜) ; [동의어] 마늘.
독삼탕(獨蔘湯) ; 머리가 무겁고 띵하면서 의식이 똑똑하지 못하고 숨이 차며 기운이 없고 맥이 몹시 약한 데 쓰는 동약처방.
독서환(讀書丸) ; [동의어] 주자독서환. 심비가 허손되어 건망증이 심해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독승환(獨勝丸) ; [참조] 대보환①.
독신(獨腎) ; [동의어] 잠복고환. 고환이 한쪽에만 있는 증.
독심(獨 ) ; [동의어] 단너삼.
독약(毒藥) ; 독성을 가지고 있어서 적은 양으로도 건강과 생명에 해를 주는 약.
독약공사(毒藥攻邪) ; 독이 있는 약으로 사기를 몰아내는 것.
독어(獨語) ; 환자가 정신은 맑으나 혼자서 중얼거리다가도 사람이 나타나면 곧 멈추는 증상.
독연(毒涎) ; 6연의 하나.
독요초(獨搖草) ; [동의어] 따두릅.
독유(督兪) ; [동의어] 고개, 고익. 족태양방광경의 혈.
독음(獨陰) ; ①음만 있고 양이 없는 것. ②경외기혈.
독종입복(毒腫入腹) ; [동의어] 종독입복.
독주(毒酒) ; ①알코올 함량이 높은 독한 술. ②독약을 탄 술.
독주(毒 ) ; [동의어] 노채.
독질(毒疾) ; 중독성 질병.
독질(篤疾) ; 위독한 병.
독창(禿瘡) ; ①머리가 헐면서 머리털이 끊어지거나 빠져 없어지는 병증. ②[동의어] 백독창.
독초(毒草) ; ①독성이 있는 풀. ②몹시 독한 담배.
독충교상(毒蟲咬傷) ; [동의어] 독충상.
독충상(毒蟲傷) ; 여러 가지 독벌레에게 상한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
독풀뿌리 ; [동의어] 낭탕근, 미치광이풀뿌리. 가지과에 속하는 독풀 곧 미치광이풀(Scopolia parviflora Nakai)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
독풍(毒風) ; 풍독으로 얼굴에 헌데가 생기는 것.
독행(獨行) ; 병이 위중할 때는 주되는 증상이나 병증에 가장 알맞는 한 가지 약이나 처방으로 구급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치료원칙.
독행근(獨行根) ; [동의어] 방울풀뿌리.
독행목향(獨行木香) ; [동의어] 방울풀뿌리.
독행환(獨行丸) ; [동의어] 비급환.
독활(獨活) ; [참조] 따두릅.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 ; 간, 신이 허하거나 풍습으로 허리와 다리, 무릎의 힘줄이 당기고 아프며 힘이 없고 차며 저린 데,
                                      임신부의 허리, 배, 등이 시린 데, 해산 후에 배가 몹시 아프고 팔다리가 오그라들며 저리고 힘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독활령선싸락약 ; 신경통, 관절염, 류머티즘 등에 아픔멎이약으로 쓰는 동약처방.
독활주(獨活酒) ; 풍한습비로 온몸의 뼈마디가 아픈 데 쓰는 동약술.
독활지황탕(獨活地黃湯) ; 소양인이 체기를 받아 명치 밑이 트적지근하고 그득한 데, 음이 허하여 오후마다 열이 나는 데,
                                      중풍으로 게우거나 멀건 침을 흘리고 눈과 입이 비뚤어진 초기에 쓰는 동약처방.
독활탕(獨活湯) ; 간이 허한 때 풍사를 받아서 정신을 안정할 수 없고 불안해 하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잠을 잘 자지 못하는 데,
                         지나치게 일을 힘들게 하여 허리가 몹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독회(獨會) ; [동의어] 경외기혈인 독음혈.
돈 ; 지난날의 질량 단위의 하나.
돈복(頓服) ; 많은 양의 약을 단번에 먹는 것.
돈부(頓 ) ; 갑자기 넘어진 것.
돈부(敦阜) ; 운기론에서 쓰는 말. 토운(토세)이 해당한 해를 주관하는 데서 태과한 것. [참조] 태과.
돈사(敦瀉) ; [동의어] 돈설. 설사의 하나.
돈설(頓泄) ; [동의어] 돈사.
돈소(頓嗽) ; [동의어] 역해. 갑자기 발작적으로 연속성 기침을 한다는 뜻.
돈저(敦疽) ; 저의 하나. 발가락이나 손가락에 생기는 저.
돈제(墩製) ; 동약법제방법의 하나. 동약을 액체 보조재료와 함께 그릇에 담아 푹 삶는 것.
돈창 ; [동의어] 역해(백날기침).
돈해(頓咳) ;[동의어] 역해.
돈해추휵(頓咳抽 ) ; 역해(백날기침) 때에 경련이 이는 것.
돌개침 ; ①침 종류의 하나. 침 끝이 좁쌀알처럼 둔하게 생긴 굵은 침. ②침놓는 방법의 하나.
돌기정고(突起睛高) ; 외장눈병의 하나. 눈알이 벌겋게 붓고 아프면서 두드러져 나오는 병증.
돌나물 ; 돌나물과에 속하는 돌나물(Sedum sarmentosum Bge.)의 옹근풀을 말린 것.
돌률( 慄) ; 오한이 나서 몸이 떨리는 것.
돌반향 ; [동의어] 고본.
돌배 ; 배나무과에 속하는 돌배나무(Pyrus montana Nakai)의 익은 열매.
돌부채 ; 범의귀풀과에 속하는 돌부채(Bergenia pacifica Komar. 또는 B. coreana Nak.)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
돌침 ; [동의어] 폄석.
동(洞) ; ①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도로 올라오는 것. [참조] 반위. ②속이 빈 것. ③허하고 부족하다는 뜻.
동(胴) ; ①[동의어] 대장. ②[동의어] 몸통.
동(疼) ; 아픈 것, 아픈 증.
동(動) ; ①병으로 몸을 떨면서 요동치는 증상. ②맥상의 하나인 동맥.
동(童) ; [동의어] 동자(미성년 아이).
동(瞳) ; [동의어] 동인(눈동자).
동갑(同甲) ; ①같은 나이 또는 나이가 같은 사람. ②어떤 양과 같은 양.
동계(動悸) ;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
동공(瞳孔) ; [동의어] 동인(눈동자).
동공산대(瞳孔散大) ; [동의어] 동신산대.
동과인(冬瓜仁) ; [참조] 동아씨.
동과자(冬瓜子) ; [참조] 동아씨.
동과자인산(冬瓜子仁散) ; 주사비로 코에 부스럼이 생겨 벌겋게 되면서 아프고 긁으면 누런 진물이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동과피(冬瓜皮) ; [참조] 동아껍질.
동관(童 ) ; 11살부터 14살까지의 어린이.
동구(動口) ; 입맛을 다시는 것.
동규자(冬葵子) ; [참조] 아욱씨.
동규자탕(冬葵子湯) ; 건곽란 때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고 손발바닥이 달아 오르며 가슴이 답답한 데, 방광염으로 오줌이 잘 나가지 않고 몸이 부으며
                               오줌 눌 때 달아 오르는 감이 있으면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동기(同氣) ; 6음의 사기가 몸에 침입하여 6경의 기와 합쳐진 것.
동기(動氣) ; ①맥박이 뛰는 상태. ②배꼽부위에서 뛰는 맥.
동남(童男) ; 미성년 남자아이.
동녀(童女) ; 미성년 여자아이.
동뇨(童尿) ; [동의어] 동변.
동두할미 ; [동의어] 할미꽃뿌리.
동란창(凍爛瘡) ; [동의어] 동창.
동로(童 ) ; 달거리를 하던 처녀에게서 달거리가 없어지고 얼굴색이 누르스름해지며 몸이 여위고 속에 열이 있는 것.
동록(銅綠) ; [동의어] 동청.
동록산(銅綠散) ; 풍습으로 가렵고 진물이 나오는 습진, 그 밖의 피부병에 쓰는 동약처방.
동률(凍慄) ; 추워서 몸을 떠는 것.
동리(洞痢) ; 어린이 설사가 밤낮 멎지 않는 것.
동맥(動脈) ; ①맥상의 하나. ②온몸 경맥상에서 짚이는 맥.
동맥여영(冬脈如營) ; 겨울철에 맞게 맥이 나타나는 것.
동방삭(東方朔) ; 옛날에 오래 사는 사람을 이르던 말.
동방숙(東方宿) ; [동의어] 소리쟁이.
동백나무꽃 ; 차나무과에 속하는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의 꽃을 말린 것.
동변(童便) ; [동의어] 동뇨. 12살 아래 남자어린이의 오줌.
동병이치(同病異治) ; 같은 병이라도 병이 생긴 원인, 개체의 특성, 계절, 지역적 특성에 따라 병의 경과와 증상이 다르기 때문에 그에 맞게 치료해야 한다는 것.
동사(凍死) ; 얼어서 죽는 것.
동산(凍産) ; [동의어] 동생. 산부가 찬 곳에서 해산할 때 해산이 장애되는 것.
동삼(冬三) ; ①겨울. ②겨울철의 3달. 음력 10월, 11월, 12월.
동삼삭(冬三朔) ; 겨울철의 3달. 음력 10월, 11월, 12월.
동생(凍生) ; [동의어] 동산.
동석(冬石) ; 겨울에는 석맥이 나타난다는 말. 석은 침중(沈重)하다는 뜻.
동설(洞泄) ; 설사의 하나.
동설주하(洞泄注下) ; [동의어] 주하리. 어린이의 설사가 멎지 않는 병증.
동설한중(洞泄寒中) ; 설사의 하나.
동세회(同歲會) ; 운기론에서 쓰는 말. 음년에 불급한 중운의 기가 재천의 객기와 서로 합쳐진 해라는 말.
동소(冬嗽) ; 해소의 하나. 겨울철에 발작하는 기침.
동신(瞳神) ; [동의어] 동인(눈동자).
동신건결(瞳神乾缺) ; [동의어] 동인건결, 동신결함. 외장눈병의 하나. 동신축소(홀체모양체염)로 황인이 정주(렌즈체)와 유착되어 눈동자가 찌그러지는 병증.
동신결함(瞳神缺陷) ; [동의어] 동신건결.
동신반배증(瞳神反背症) ; [동의어] 동안반배. 눈알이 한쪽으로 몹시 기울어져 흑정(각막)은 거의 보이지 않고 백정(공막)만 보이는 것.
동신부정(瞳神不正) ; [동의어] 동신의측증.
동신산대(瞳神散大) ; [동의어] 동공산대, 동인산대, 동인산향. 눈동자의 신축성이 장애되어 눈동자가 커진 병증.
동신세소(瞳神細小) ; [동의어] 동신축소.
동신의측증(瞳神 側症) ; [동의어] 동인의측, 동신부정, 동인부정, 동신편사. 눈동자가 황인(무지개막)의 중심에 있지 않고
                                    그 형태가 변하면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증.
동신초소(瞳神焦小) ; [동의어] 동신축소.
동신촌(同身寸) ; [동의어] 동신촌법.
동신촌법(同身寸法) ; 혈의 위치를 정하는 방법.
동신축소(瞳神縮小) ; [동의어] 동인긴소, 동신세소, 동신초소, 동인쇄긴. 눈동자의 신축성이 장애되어 눈동자가 작아지는 병증.
동신편사(瞳神扁射) ; [동의어] 동신의측증.
동심(洞心) ; 심장부위가 빈 것 같은 감을 느끼는 것.
동아껍질 ; [동의어] 동과피, 지지피. 박과에 속하는 동아[Benincasa hispida (Thunb.) Cogn.]의 열매껍질을 말린 것.
동아씨 ; [동의어] 동과자, 동과인, 백과자, 수지. 동아의 여문씨를 말린 것.
동약(東藥) ; 동의치료수단의 하나.
동약연구자료집 ; 동약의 성분과 약리작용에 관한 연구자료, 임상에 적용한 경험 등을 묶어놓은 책(저자 최태섭. 1975년 초판. 1978년 재판).
동약처방집 ; 우리나라에서 오랜 기간 사람들의 건강장수와 병치료에 써온 동약처방들을 묶은 책(편찬 조선의학과학원 동의학연구소).
동약처방학  ;오랜 기간 사람들의 건강장수와 병치료에 써온 동약처방들을 체계화하여 써놓은 동의처방학 교과서(저자 이기남. 1981년 초판. 1983년 재판).
동약학 ; 동의치료의 주요 수단으로 되는 동약의 약성과 채취가공 및 이용에서 제기되는 이론과 방법을 연구하는 동의학의 한 분과.
동온(冬溫) ; 신감온병의 하나.
동음맥(同陰脈) ; 족소양담경의 별락.
동음지맥(同陰之脈) ; [동의어] 동음맥.
동응중권(冬應中權) ; 겨울철에 맞게 맥이 나타나는 것.
동의 ; [동의어] 동신의측증.
동의내과학 ; 내과질병에 대한 동의학적인 진단과 예방치료법을 취급하는 동의학의 임상분과.
동의내과학 ; 내과질병에 대한 동의학적인 진단과 예방치료법을 체계화하여 써놓은 동의내과학 교과서(저자 김낙헌. 1968년 초판. 1980년, 1985년에 재판).
동의노년보양처방집 ; 늙은이들의 건강장수에 쓰이는 보양처방들을 묶어놓은 책(저자 김규동. 1977년 출판).
동의보감(東醫寶鑑) ; 3대 동의고전의 하나. 16세기까지의 우리나라 동의학 발전성과를 집대성한 의학백과전서적인 책.
동의부인과학 ; 부인과 질병에 대한 동의학적인 진단과 예방치료법을 취급하는 동의학의 임상분과.
동의4상진료의전(東醫四象診療醫典) ; 4상의학에 관한 책.
동의소아과학 ; 어린이병에 대한 동의학적인 진단과 예방치료법을 취급하는 동의학의 임상분과.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 동의고전의 하나. 4상의학에 관한 이론과 치료법들을 묶어놓은 책.
동의안과학 ; 눈병에 대한 동의학적인 진단과 예방치료법을 취급하는 동의학의 임상분과.
동의외과학 ; 외과질병에 대한 동의학적 진단과 예방치료법을 취급하는 동의학의 임상분과.
동의외과학 ; 외과질병의 진단 및 예방과 치료법을 체계화하여 써놓은 동의외과학 교과서(저자 이달경, 박기성, 손희종. 1985년 출판).
동의용어해설집 ; 동의학 부문에서 쓰이는 용어들을 풀이한 책(저자 박위근, 김동일, 노용갑, 윤각병, 계수웅. 1985년 출판).
동의진단학 ; 동의진찰법과 진단법을 취급하는 동의학의 한 분과.
동의진료편람 ; 동의사들을 위한 치료편람식으로 만든 책(저자 최원석, 최태섭. 1974년 출판).
동의학 ;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면서 병치료와 건강을 보호증진하는 오랜 역사적 과정에 창조되고 발전하여온 민족의학.
동의학개론 ; 동의기초이론과 동의분과의 내용들을 개괄하여 써놓은 책(저자 한상모 외 10명. 1964년 출판).
동의학기초 ; 동의학의 기초이론을 취급하는 동의학의 한 분과.
동이(凍耳) ; [동의어] 동이창.
동이창(凍耳瘡) ; [동의어] 이곽동창. 귓바퀴가 얼어 헌데가 된 것.
동인(銅人) ; 옛날에 구리로 주조하여 만든 침혈 모형. 
동인(瞳仁, 瞳人) ; [동의어] 동공, 동자, 동신. 좁은 의미에서 눈동자, 넓은 의미에서는 신주(방수), 정주(렌즈체), 신고(유리체),
                            시의(망막), 정막(맥락막), 목계 등을 말한다.
동인건결(瞳人乾缺) ; [동의어] 동신건결.
동인경험방(東人經驗方) ; 동의고전의 하나. 고려시대 민간요법에 관한 것을 묶어놓은 책.
동인긴소(瞳人緊小) ; [동의어] 동신축소.
동인반배(瞳人反背) ; [동의어] 동신반배증.
동인부정(瞳人不正) ; [동의어] 동신의측증.
동인산대(瞳人散大) ; [동의어] 동신산대.
동인산향(瞳人散香) ; [동의어] 동신산대.
동인쇄긴(瞳人鎖緊) ; [동의어] 동신축소.
동인의측(瞳人 側) ; [동의어] 동신의측증.
동자(童子) ; 10살 난 어린이를 가리키는 말.
동자(瞳子) ; [동의어] 동인(눈동자).
동자겁(童子怯) ; 동의고전에 처녀가
15-16살에 이르러 달거리를 한두 번 하다가 중단되거나 혹은 본래부터 달거리를 하지 않으면서
                         몸이 점점 누렇게 되면서 여위며 열과 기침이 있고 배가 뜬뜬한 적이 있으면서 때때로 아프곤 하는 것.
동자고(瞳子高) ; [동의어] 반목직시. 눈을 위로 치뜨는 것.
동자도한(童子盜汗) ; 어린이의 식은땀.
동자로(童子 ) ; [동의어] 감로.
동자료 ; [참조] 동자요.
동자요(瞳子 ) ; [동의어] 태양, 전관, 후곡. 족소양담경의 혈.
동전초(銅錢草) ; [동의어] 병꽃풀.
동중(動中) ; 수기가 중초에 침범하여 숨이 찬 것.
동지(冬至) ; 24절기의 스물두번째. 매해 12월 22일이나 23일에 해당한다.
동지삼황탕(冬地三黃湯) ; 양명병으로 열이 나고 갈증이 나며 아랫배가 무직하면서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동질려(潼 藜) ; [동의어] 사원자.
동창(凍瘡)  ;[동의어] 동풍, 동란창. 겨울에 몸이 얼어서 살갗에 헌데가 생긴 것.
동천부(同天符) ; 운기론에서 쓰는 말. 양년(양간)에 태과에 중운의 기가 재천의 객기와 서로 합쳐진 것.
동청(銅靑) ; [동의어] 동록. 구리그릇에 생긴 녹을 긁어 모은 것.
동총(冬 ) ; [동의어] 파흰밑.
동축(瞳縮) ; [동의어] 동신축소.
동충초(冬蟲草) ; [동의어] 동충하초.
동충하초(冬蟲夏草) ; 맥각균과에 속하는 동충하초균[Cordyceps sinensis (Berk.) Sacc.]이 인시목 곤충의 새끼벌레에 침입하여 만든 포자체를 벌레와 함께 말린 것. 동침(銅針) ; 침 종류의 하나. 침날이 0.5-1mm 정도 되는 구리줄로 된 굵은 침.
동태(動胎) ; [동의어] 태동.
동풍(凍風) ; [동의어] 동창.
동풍(動風) ; ①풍이 동한다는 말. 풍증증상이 나타나는 것. ②병으로 온몸이나 몸의 어느 한 부분에 경련이 이는 것.
동풍채(東風菜) ; [동의어] 참취.
동현(童玄) ; [동의어] 수태음폐경의 열결혈.
동화(同化) ; 같은 것끼리 화합된 것.
돼지고기 ; [동의어] 저육. 식품동약.
돼지열 ; [동의어] 저담. 돼지열주머니를 열물째로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린 것.
되팥 ; [동의어] 결명씨.
두( ) ; ①[동의어] 배, 복부. ②[동의어] 위(胃).
두(痘) ; ①살갗이나 점막에 생긴 구슬진(수포진). ②살갗에 구슬이 돋는 병증.
두각(頭角) ; [동의어] 액각.
두강(頭强) ; 목덜미가 뻣뻣하여 돌리기 힘든 증상.
두개골(頭蓋骨) ; [동의어] 두로골, 전정골. ①머리뼈 가운데서 뇌를 둘러싸고 있는 부분의 뼈. ②[동의어] 천령개(윗머리뼈).
두견엽(杜鵑葉) ; [동의어] 진달래잎.
두골(頭骨) ; [동의어] 욱로, 머리뼈.
두구(豆 ) ; ①[동의어] 육두구. ②[동의어] 초두구.
두구(頭垢) ; ①머리에 낀 때. ②머리비듬.
두구귤홍산(豆 橘紅散) ; 체해서 소화가 안되고 배가 그득하며 손발이 차고 때로 배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두꺼비진 ; [동의어] 섬소, 미소. 두꺼비과에 속하는 두꺼비(Bufo bufo gargarizans Cantor), 작은 두꺼비(Bufo raddei Strauch.)의 진을 말린 것.
두대( 帶) ; [동의어] 제대(탯줄).
두란(痘爛) ; 두창 때 구슬이 곪아서 허는 것.
두로개(頭 盖) ; [동의어] 두정골(윗머리뼈).
두로골(頭 骨) ; [동의어] 두개골.
두뢰(痘癩) ; [동의어] 두풍창(痘風瘡).
두릅나무껍질 ; [동의어] 총목피. 오갈피나무과에 속하는 두릅나무 [Aralia elata (Miq.) Seem.]의 뿌리껍질 또는 줄기껍질을 말린 것.
두림주(豆淋酒) ; 검정콩을 담가두었던 술.
두말(頭末) ; 맏물가루. 약을 가루낼 때 제일 처음 체로 쳐서 나온 가루.
두면(痘面) ; 마마를 앓은 뒤에 얽은 얼굴.
두면(頭面) ; 머리와 얼굴.
두면열(頭面熱) ; [동의어] 두열. 두면창(頭面瘡) 창양의 하나. 머리와 얼굴에 생긴 헌데.
두면풍(頭面風) ; ①[동의어] 수풍(首風). ②[동의어] 면풍. ③[동의어] 현훈.
두무랭통(頭無冷通) ; 찬 것으로 인해서는 머리아픔이 생기지 않는다는 말.
두문옹( 門癰) ; [동의어] 기문옹. 옹의 하나. 넓적다리 뒷살이 많은 데 난 옹.
두발(頭髮) ; [동의어] 머리칼.
두백(杜伯) ; [동의어] 전갈. 두법 이근수법의 하나.
두병(痘病) ; [동의어] 마마.
두복외한( 腹畏寒) ; 하초의 허손으로 진양이 부족해지면 배에 한사가 잘 침범되어 갑자기 배가 아픈 것.
두봉(頭縫) ; [동의어] 천문. 경외기혈.
두부(豆腐) ; 콩을 가공하여 만든 식품동약.
두부제(豆腐製) ; 동약법제방법의 하나. 동약재를 두부와 함께 가마에 넣고 물을 부은 다음 두부에 구멍이 숭숭 생길 때까지 끓여서 약재만 꺼내 말린 것.
두사산(豆砂散) ; 어린이가 소장 한증으로 음식을 먹지 못하고 배꼽 둘레가 몹시 아파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두선(頭旋) ; [동의어] 뇌선, 뇌전, 어지럼증.
두설(頭屑) ; [동의어] 머리비듬.
두송실(杜松實) ; [참조] 노가지열매.
두송자(杜松子) ; [참조] 노가지열매.
두송환 ; 만성대장염으로 배가 아프고 때로 설하거나 뒤무직증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두수(頭髓) ; [동의어] 뇌.
두시(豆 ) ; [동의어] 약전국.
두시구(豆 灸) ; [동의어] 두시병구법, 시병구. 간접뜸의 하나.
두시법(豆 法) ; 하태독법의 하나. 약전국을 진하게 달여 자주 먹이는 치료법.
두시병구법(豆 餠灸法) ; [동의어] 두시구.
두여미조자기 ; [동의어] 천남성.
두역(痘疫) ; [동의어] 두창(痘瘡). 돌림을 심하게 일으킨다는 뜻.
두연(頭軟) ; [동의어] 두항연.
두열(頭熱) ; [동의어] 면열, 두면열. 머리에 열감이 있는 증.
두옹( 癰) ; 배꼽에 생긴 옹.
두옹(痘癰) ; 옹의 하나. 두창(천연두)때 병독이 순조롭게 풀리지 못하고 두창이 복숭아처럼 커진 것.
두요(頭搖) ; 무의식적으로 머리를 흔드는 증.
두운(頭運) ; 어지럼증. [참조] 현훈.
두운안화(頭運眼花) ; [동의어] 현훈.
두유(頭維) ; [동의어] 상대. 족양명위경의 혈. 족양명, 족소양, 양교맥의 교회혈. 두인탕 백날기침이 심하고
                   경련성을 띠며 숨이 차고 가래가 많이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두자(痘子) ; 수두나 두창 때 살갗이 내돋은 구슬(수포진).
두저( 疽) ; [동의어] 결분저, 쇄골저. 목 아래, 결분혈부위(쇄골상와)에 생긴 저. [참조] 저.
두적독(頭赤禿) ; [동의어] 적독창. 두점고정법 골절 후 각전위가 있을 때 두 점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
두정(斗睛) ; [동의어] 통정.
두정골(頭頂骨) ; [동의어] 천령개, 두로개, 뇌개골. 윗머리뼈.
두중(頭重) ; 머리가 무거운 감을 느끼는 증.
두중한( 中寒) ; [동의어] 복랭.
두진(痘疹) ; ①두창이나 수두 때에 살갗에 내돋는 구슬진. ②두창과 마진을 포함한 발진성 질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두진안(痘疹眼) ; [동의어] 두진입안.
두진입안(痘疹入眼)  ;[동의어] 두진안. 두진의 열독이 눈에 들어가 생긴 병증.
두창(痘瘡) ; [동의어] 천행두, 천두, 천행발반창, 천연두. 급성발진성 전염병의 하나.
두창(頭脹) ; ①머리가 무겁고 띵하며 머리 속이 부어 오르는 감을 느끼면서 괴로워하는 증. ②머리에 생긴 헌데와 부스럼을 통틀어 이른 말.
두창경험방(痘瘡經驗方) ; 동의고전의 하나. 천연두에 관한 책.
두창백독(頭瘡白禿) ; [동의어] 백독창.
두창집요(痘瘡集要) ; [참조] 연해두창집요.
두충(杜沖) ; [동의어] 목면, 사선, 사중, 사선목, 석사선. 두충나무과에 속하는 두충나무(Eucommia ulmoides Oliv.)의 껍질을 말린 것.
두충(頭衝) ; [동의어]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의 비노혈.
두충산(杜沖散) ; 습관성 유산에 쓰는 동약처방.
두충탕(杜沖湯) ; 임신중에 갑자기 태동불안으로 하혈하면서 아랫배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두충팅크 ; 고혈압에 쓰는 동약처방.
두충환(杜沖丸) ; 신허로 허리에 힘이 없고 아프며 제대로 움직일 수 없는 때에 쓰는 동약처방.
두침요법(頭針療法) ; [동의어] 머리침요법.
두통(頭痛) ; 머리아픈 병증.
두편통(頭偏痛) ; [동의어] 편두통.
두풍(頭風) ; ①두통의 하나. 머리아픔이 낫지 않고 오래 계속되면서 때에 따라 아팠다 멎었다 하는 것. ②머리에 풍사를 받아 생긴 병증을 통틀어 이르는 말.
두풍백설(頭風白屑) ; [동의어] 백설풍.
두풍비뉵(頭風鼻 ) ; 비뉵의 하나. 두풍증으로 생긴 코피.
두풍안(痘風眼) ; 천연두나 홍역으로 눈까풀 기슭이 벌겋게 짓무른 증상. [참조] 검현적란. 
두풍창(痘風瘡) ; [동의어] 두뢰. 천연두를 앓은 뒤에 피부에 헌데가 나서 가렵고 진물이 나는 것.
두풍창(頭風瘡) ; 머리에 생긴 습진.
두피( 皮) ; 배의 살갗.
두피침(頭皮針) ; [동의어] 머리침요법.
두한(頭汗) ; 한증의 하나. 머리와 얼굴에만 땀이 나는 증.
두항강통(頭項强痛) ; 목덜미가 뻣뻣하고 아픈 증.
두항경(頭項硬) ; [동의어] 경경. 5경의 하나. 목덜미가 뻣뻣하여 잘 쓰지 못하는 것.
두항연(頭項軟) ; [동의어] 두연, 항연. 5연의 하나.
두해(頭骸) ; [동의어] 두개골.
두현(頭眩) ; [동의어] 현훈(眩暈).
두황(豆黃) ; [동의어] 약전국.
두황권(豆黃券) ; [동의어] 갯완두싹.
두후농이(痘後膿耳) ; 홍역이나 천연두를 앓은 다음 귀 안에서 고름이 나오는 증. [참조] 이감.
두후비연(痘後鼻淵) ; 홍역이나 천역두를 앓은 뒤 목안이 붓고 아픈 것.
두후실음(痘後失音) ; 홍역이나 천연두를 앓은 다음 목이 쉬거나 말을 못하는 것.
두후인후종통(痘後咽喉腫痛) ; 홍역이나 천연두를 앓은 뒤 목안이 붓고 아픈 것.
두훈(頭暈) ; [동의어] 현훈.
둔(臀) ; [동의어] 볼기(엉덩이).
둔갈탈갈(臀 脫 ) ; [동의어] 대퇴관절 탈구.
둔옹(臀癰) ; 엉덩이에 생긴 옹.
둔종(臀腫) ; [동의어] 둔옹. 영덩이에
난 헌데.
둔증(臀蒸) ; 증병의 하나.
뒷머리점 ; [참조] 손침요법.
둥근마 ; [동의어] 황약자([참조] 황독).
득기(得氣) ; [동의어] 침감.
득병(得病) ; 병이 생긴 것.
득신(得神) ; 신기(神氣)가 있다는 것.
들국화 ; [동의어] 고의. 국화과에 속하는 들국화(Chrysanthemum indicum L.)의 꽃을 말린 것.
들깨 ; [동의어] 임자. 꿀풀과에 속하는 들깨(Perilla frutescens Britton 또는 P. frutescens var. japonica Hara)의 여문씨.
들깨풀 ; 꿀풀과에 속하는 들깨풀(Orthodon punctulatum Ohwi 또는 Moslapunctata Maxim., M. Punctulata Nakai)의 옹근풀을 말린 것.
들맨드라미씨 ; [동의어] 청상자, 처호, 초호. 비름과에 속하는 들맨드라미 곧 개맨드라미(Celosia argentea L.)의 여문씨를 말린 것.
들메나무껍질 ;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들메나무(Fraxinus mandshurica Rupr.)의 껍질을 말린 것.
들별꽃뿌리동약 ; 패랭이꽃과에 속하는 들별꽃 곧 개별꽃[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et Hoffm.]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
들장미 ; [동의어] 찔레나무. [참조] 찔레나무열매.
들제비꽃 ; [동의어] 제비꽃.
등골 ; 청소골의 하나. 고실 안에 있는 등자뼈.
등대풀 ; [동의어] 택칠. 버들옻과에 속하는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등두창(登痘瘡) ; [동의어] 두창(痘瘡).
등라화(藤羅花) ; [동의어] 자위.
등리(藤梨) ; [동의어] 다래.
등분(等分) ; ①약의 분량을 같이한다는 것. ②똑같게 나눈다는 것.
등분법(等分法) ; [동의어] 골도분촌법.
등심(燈心) ; [참조] 골풀속살.

등심초(燈心草) ; [동의어] 골풀속살.
등심탕(燈心湯) ; 비뇨기 결석으로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등에 ; [동의어] 맹충, 비맹. 등에과에 속하는 등에(Tabanus bivittatus Mats.)를 말린 것.
등초(燈草) ; [동의어] 골풀속살.
등칡줄기 ; [동의어] 통탈목, 통초. 방울풀과에 속하는 덩굴나무인 등칡(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arov 또는
                 Hocquartia manshuriensis Nakai)의 줄기를 말린 것.
등화요법(*火療法) ; [동의어] 쇄법.
디프테리아 ; [동의어] 백전후.
따[땃]두릅 ; [동의어] 독활, 강청, 호강사자, 호왕사자, 독요초. 오갈피나무과의 따[땃]두릅(Aralia continentalis Kitag.)의 뿌리를 말린 것.
딱지꽃뿌리 ; [동의어] 위릉채. 장미꽃과의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Ser.)의 뿌리를 말린 것.
딱총나무 ; [동의어] 접골목. 인동과에 속하는 넓은잎딱총나무(Sambucus latipinna Nakai)와 딱총나무(S. latipinna Nakai var. coreana Nakai)의 줄기를 말린 것.
딸꾹질 ; [참조] 애역.
딸꾹질점 ; [참조] 손침요법.
땀띠 ; [참조] 비자.
땃두릅 ; [참조] 따두릅.
땅강아지 ; [동의어] 도루래(하늘밥도둑).
땅[땃]두릅뿌리껍질 ; 오갈피나무과에 속하는 땅[땃]두릅나무(Echinopanax elatum Nakai 또는 Oplopanax elatum Nakai)의 뿌리껍질을 말린 것.
땅들쭉잎 ; [참조] 월귤옆.
땅콩 ; [동의어] 낙화생, 왜콩, 호콩. 콩과에 속하는 땅콩(Arachis hypogaes L.)의 여문씨.
땅콩속껍질 ; [동의어] 낙화생피. 땅콩의 속껍질을 말린 것.
떡갈나무껍질 ; [동의어] 역수피. 참나무과에 속하는 떡갈나무(Quercus dentata Thunb.)의 껍질을 말린 것.
떡쑥 ; 국화과에 속하는 떡쑥(Gnaphalium affine D. Don. 또는 G. multiceps Wall.)의 옹근풀을 말린 것.
뜸대뜸 ; 간접뜸의 하나. 뜸쑥을 담뱃대처럼 만들어 뜸을 뜨는 것.
뜸법 ; 뜸쑥을 태울 때 생기는 열로 혈을 자극하여 병을 예방치료하는 방법.
뜸쑥 ; 뜸을 뜨기 위하여 약쑥잎을 가공한 것.
뜸통뜸 ; 간접뜸의 하나. 뜸쑥에 불이 잘 붙도록 만든 뜸통을 이용하여 뜸을 뜨는 것.
띠가뢰 ; [참조] 완청.
띠꽃 ; [동의어] 백모화, 모화. 벼과에 속하는 띠(Imperata cylindrica Beauvois var. koenigii Durand et Schinz)의 꽃이삭을 말린 것.
띠꽃차례 ; [참조] 띠꽃.
띠뿌리 ; [동의어] 백모근, 모근, 여근, 지관, 겸두. 벼과에 속하는 띠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
라우월피아뿌리 ; [동의어] 나부목.
레이저침 ; 침혈부위에 레이저선을 쪼여 병을 치료하는 방법.
루타 ; [동의어] 운향.

'대체요법 > 동양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마진  (0) 2010.06.11
유체이탈  (0) 2010.06.11
한의학사전( 나 ~능후 )  (0) 2010.06.03
한의학 사전 (구 ~귤홍삼하탕)  (0) 2010.06.03
한의학사전 - 고 ~ 교회혈  (0) 2010.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