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요법/동양의학

한의학 사전 (구 ~귤홍삼하탕)

나비채 2010. 6. 3. 12:51

  구 ~귤홍삼하탕

구 ; 눈 아래에 있는 광대뼈부위.
구(口) ; [동의어] 옥지, 입. 입술에서 울대까지의 부분.
구(灸) ; ①뜸뜨는 것. ②동약제방법의 하나로 동약재를 굽는 것.
구(拘) ; 몸과 팔다리의 근육에 경련이 와서
몹시 오그라드는 것.
구( ) ; 등이 구부러진 것. [참조] 구루.
구(嘔) ; [동의어] 구토.
구( ) ; [동의어] 비구.
구(軀) ; ①[동의어] 임신. ②[동의어] 몸(신체).
구가(嘔家) ; 늘 메스껍고 게우는 환자.
구가실음(謳歌失音) ; 노래를 부르거나 큰소리를 내어 목이 쉬거나 말을 못하는 것.
구각(口角) ; [동의어] 입귀. 아래위 입술이 합쳐진 곳.
구각(軀殼) ; [동의어] 몸.
구각류연(口角流涎) ; 입 모서리로 침이 흐르는 증상.
구각창(口角瘡) ; [동의어] 구문창.
구간(軀幹) ; [동의어] 몸통.
구간골(軀幹骨) ; [동의어] 구골(척추골, 가슴뼈, 갈비뼈).
구간산(灸肝散) ; 기침을 할 때마다 피가 계속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구갈(口渴) ; [동의어] 갈증.
구갈(嘔渴) ; 구역과 갈증을 합해서 이른 말.
구갈맹(久渴盲) ; 오맹악후의 하나. 어린이가 갈증을 오랫동안 앓은 다음 보지 못하는 것.
구감(口甘) ; ①단음식을 먹지 않았는데 입 안에서 단맛을 느끼는 것. ②입맛이 있어서 음식을 맛있게 먹는 것.
구감(口疳) ; [동의어] 미감. 감질 때 입 안이 허는 병증.
구감리(久疳痢) ; 감리가 오래 계속되는 병증.
구감초탕(灸甘草湯) ; [동의어] 복맥탕. 기혈부족으로 가슴이 두근거리고 결대맥(부정맥)이 나타나며 몸이 여위고 숨이 가쁜 데,
                               허열과 기침이 나며 피가래가 나오고 답답하며 잠을 자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구감풍(口疳風) ; [동의어] 설생포.
구갑(龜甲) ; ①[동의어] 남생이배딱지. ②[동의어] 남생이등딱지.
구갑산(龜甲散) ; 정혈부족으로 건망증이 심한 데, 여러 가지 치질로 항문 주위가 뜬뜬하고 화끈 달아 오르며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구강(口腔) ; ①[동의어] 입 안. ②입술, 볼, 혀, 위턱뼈, 이빨, 아래턱뼈, 무른 입천장, 굳은 입천장을 합해서 이른 말.
구강(拘强) ; [동의어] 구급. 힘살이 오그라들어 뜬뜬하고 뻣뻣해진 것.
구개(口蓋) ; [동의어] 입천장.
구개골(口蓋骨) ; [동의어] 입천장뼈.
구개수(口蓋垂) ; [동의어] 목젖.
구건(口乾) ; 입 안이 마르는 것.
구경(口硬) ; 5경의 하나. 입술이 뻣뻣하고 싸늘해져서 잘 놀리지 못하는 것.
구계(拘 ) ; [동의어] 구급(拘急). 힘줄이 오그라들고 당기면서 뻣뻣해지는 것.
구고(口苦) 입안에서 쓴맛을 느끼는 것.
구고(求股) ; [동의어] 바위손.
구고(嘔苦) ; [동의어] 구담, 구토고수. 쓴 물을 게우는 증.
구고탕(救苦湯) ; 갑자기 눈에 피가 지고 부어서 참을 수 없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구골(口骨) ; 입 안을 이루는 뼈. 입천장뼈, 위턱뼈, 아래턱뼈.
구골(尻骨) ; [동의어] 궐골(꼬리뼈).
구골( 骨) ; [동의어] 면구, 광대뼈.
구골(軀骨) ; [동의어] 구간골. 척추골, 가슴뼈, 갈비뼈를 합해 이른 말.
구관소산(久慣小産) ; [동의어] 활태.
구구앙(狗狗秧) ; [동의어] 메꽃.
구군자탕(九君子湯) ; [참조] 맥문동탕.
구궁(九宮) ; 간, 심, 비, 폐, 신, 대장, 소장, 담, 방광 등 9개 장부의 총칭.
구궁진인(九宮眞人) ; ①옛날에 몸의 각 장기를 궁(宮)이라 하고 그 기능을 진인(眞人)으로 표시한 말마디. ②옛날의 원수구궁진인(元首九宮眞人)을 말한다.
구규(九竅) ; 몸에 있는 9개의 구멍.
구규불통(九竅不通) ; 9규의 기능이 순조롭지 못하고 장애된 것.
구규출혈(九竅出血) ; 코, 입, 눈, 귀, 전음, 후음 등에서 피가 나오는 것.
구금(口 ) ; [동의어] 금구, 아관긴급. 이를 악문 증. 중풍을 비롯한 일련의 병증의 증상으로 교근에 강직성 경련이 일어나
                입을 벌리지 못하고 말도 못하며 먹지도 못하는 것.
구급(拘急) ; 팔다리나 몸이 오그라들면서 활동에 지장을 주는 증.
구급(救急) ; 병이나 벌어진 사태가 매우 급하게 된 것을 구원하는 것.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 ; [동의어] 신찬구급간이방. 동의고전의 하나로 윤호, 임원준, 허종, 박안성, 권건, 송흠, 차득삼, 윤사하 등이
                                      편찬한 구급질병 치료에 관한 책.
구급점(赦急点) ; [참조] 손침요법.
구기(口氣) ; ①입 안에서 나는 냄새. ②입김.
구기(九氣) ; 기를 장애하여 병을 일으키는 9가지 요인.
구기(拘忌) ; 좋지 않게 여겨 꺼리거나 피하는 것.
구기(枸杞) ; [동의어] 구기자.

구기근(枸杞根) ; [동의어] 구기뿌리껍질.
구기근피(枸杞根皮) ; [동의어] 구기뿌리껍질.
구기묘(枸杞苗) ; [동의어] 구기자나무잎.
구기뿌리껍질 ; [동의어] 지골피, 구기근피, 기근, 구기근. 가지과에 속하는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Mill.)의 뿌리껍질을 말린 것.
구기엽(枸杞葉) ; [참조]
구기자나무잎.
구기음(枸杞飮) ; 늙은이가 속이 답답해 하고 목이 말라 물을 많이 마시며 뼈마디들에 열감이 나면서 맥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구기자(枸杞子) ; [동의어] 구기, 지보, 양유, 각로, 선인장, 서왕모장, 지선. 가지과에 속하는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Mill.)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구기자고(枸杞子膏) ; 앓고 난 뒤, 몸이 약한 데, 동맥경화증, 여러 가지 빈혈, 만성 소모성 질병, 만성 소화장애 등에 쓰는 동약처방.
구기자나무잎 ; [동의어] 구기엽. 구기자나무의 잎을 말린 것.
구기자나무잎차 ; 동약차.
구기자단물약 ; 어린이 보약으로 앓고 난 뒤, 영양실조, 몸이 쇠약한 데 쓰는 동약처방.
구기자엿 ; 음위증으로 성생활을 하지 못하는 데와 앓고 난 뒤에 몸이 허약한 데, 동맥경화증과 뇌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쓰는 동약처방.
구기자주(枸杞子酒) ; 몸이 점점 약해지고 여위며 음식을 먹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술.
구기자환(枸杞子丸) ; [동의어] 연령환.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구기전(枸杞煎) ; [동의어] 구기자전.
구기채(枸杞菜) ; [동의어] 구기자나무잎.
구기첨(枸杞尖) ; [동의어] 구기자나무잎.
구기탕(九氣湯) ; 9기로 배가 발작적으로 몹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구긴(口緊) ; [동의어] 촬구.
구농혈리(久膿血痢) ; 오랫동안 피고름이 섞인 대변을 보는 이질.
구뉵(  ) ; 감기로 코가 메고 콧물이 나오면서 피가 나는 것.
구닉(口 ) ; 잇몸이 헐어서 피고름이 나오는 것.
구달(九疸) ; 9가지로 분류한 황달을 합해서 이르는 말.
구담(口淡) ; 입에서 싱거운 맛을 느끼면서 음식맛을 모르는 증.
구담(狗膽) ; [참조] 개열.
구담(嘔膽) ; [동의어] 구고(嘔苦).
구담산 ; 급성 및 만성 대장염으로 배가 아프고 피곱이 섞인 설사를 하면서 때로 배가 불러 오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구도(九道) ; [동의어] 구도맥.
구도맥(九道脈) ; 맥상을 분류한 것의 하나.
구두(龜頭) ; 음경의 끝부분.
구등산(鉤藤散) ; 간양이 상승하여 머리가 아프고 어지럼증이 나며 잠을 자지 못하고 성질이 조급하며 눈에 피가 지고 얼굴이 붉어지며
                         가슴과 옆구리가 그득하고 어깨와 등이 당기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구등음(鉤藤飮)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구등음자(鉤藤飮子) ; 풍사로 오는 녹로전관(눈알진탕)에 쓰는 동약처방.
구랭(久冷) ; [동의어] 곱돌.
구랭리(久冷痢) ; 오랫동안 한리를 앓는 것.
구럭싸리 ; [동의어] 싸리버들옻.
구렁싱아 ; [동의어] 범싱아뿌리.
구력(久曆) ; [동의어] 음력.
구련(拘攣) ; 팔다리에 경련이 일어 오그라드는 증상.
구로(九露) ; 동약법제방법의 하나로 동약재를 밖에 내놓아 이슬을 맞히기를 9번 하는 것.
구로(灸 ) ; 경외기혈.
구록삼기교(龜鹿蔘杞膠) ; [동의어] 구록이선교.
구록이선교(龜鹿二仙膠) ; [동의어] 구록삼기교. 신기부족으로 허리와 다리가 시큰거리며 아프고 어지럼증이 나며 건망증이 심하면서
                                      음위증, 유정, 조설 등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구롱(久聾) ; 이롱의 하나. 오랜 귀머거리.
구룡단(九龍丹) ; 비신이 허하여 정액이 때없이 저절로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구루(九漏, 九瘻) ; 9가지 누창의 총칭.
구루(  ) ; [동의어] 배루, 대루. 늙거나 병으로 등이 굽어져서 펴지 못하는 것.
구류연(口流涎) ; 입귀로 멀건 침이 흐르는 병증.
구름나무잎 ; 장미과에 속하는 구름나무(Purnus padus L.)의 잎을 말린 것.
구름송이풀 ; 현삼과에 속하는 구름송이풀(Pedicularis verticillata L.)을 말린 것.
구리(久痢) ; 이내 낫지 않고 오랫동안 끄는 이질.
구리(救裏) ; 이양허증을 치료하는 방법.
구리맹(久痢盲) ; 오맹악후의 하나. 어린이가 대장염을 오랫동안 앓은 뒤에 앞을 보지 못하는 것.
구리오허증(久痢五虛證) ; 오랜 이질 때 5가지 허한증을 통틀어 이르는 말.
구릿대 ; [동의어] 백지, 방향, 백채, 효, 완, 부리, 택분. 미나리과에 속하는 구릿대(Angelica dahurica Benth. et Hook.)의 뿌리를 말린 것.
구[규]맥( 脈) ; 맥상의 하나로 부대하면서 유연하고 꾹 눌러 짚으면 속이 비어 있어 마치 파 잎을 누를 때와 같은 감을 주는 맥.
구맥(鉤脈) ; 맥상의 하나로 약간 딴딴한 감을 주면서 홍대하고 톡톡 치받치는 맥.
구맥(瞿麥) ; [참조] 패랭이꽃.
구맥산(救脈散) ; [동의어] 인삼구폐산.
구맥산(瞿麥散)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구면와사(口面 斜) ; 입과 얼굴이 한쪽으로 비뚤어진 증.
구명연년환(救命延年丸) ; 심한 이질로 피와 곱이 섞인 설사를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구무음(久無音) ; [동의어] 구후암.
구문창(口吻瘡) ; [동의어] 구각창, 연구, 연구창. 입 모서리에 생긴 헌데.
구미(口靡,口 ) ; [동의어] 구파. 어린이의 입 안이 벌겋게 붓고 헤지며 냄새가 나는 병증.
구미(鳩尾) ; ①검상돌기부위. ②혈 이름. 임맥의 낙혈. ③[동의어] 임맥의 별락.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 [동의어] 강활충화탕. 풍한 또는 풍습으로 머리가 아프고 목덜미가 뻣뻣하며 뼈마디들이 아프고
                                      열이 나며 입 안이 마르고 오슬오슬 추우면서 땀이 나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구미골(鳩尾骨) ; [동의어] 가슴뼈의 검상돌기.
구미수련환(九味茱連丸) ; 기울로 신물이 올라오면서 속이 쓰린 데 쓰는 동약처방.
구미시호탕(九味柴胡湯) ; 어린이들이 간경담의 열독으로 나력이 생겼거나 귀에 헌데가 생겨 열이 나거나 조열이 나는 데,
                                      간경의 습열이 아래로 내려가 음부 주위에 헌데가 생긴 데 쓰는 동약처방.
구미안신환(九味安腎丸) ; 신허로 얼굴빛이 거멓고 몸이 여위며 허리가 아프고 눈앞이 아찔해지며 귀가 잘 들리지 않을 때 쓰는 동약처방.
구미이중탕(九味理中湯) ; 한랭으로 숨이 차면서 팔다리가 싸늘하고 맥이 침세한 데 쓰는 동약처방.
구미청심원(九味淸心元) ; 높은 열이 나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때로 경련을 일으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구미초(狗尾草) ; [동의어] 강아지풀.
구미평위환(狗米平胃丸) ; 비위허한으로 음식을 먹으면 명치 밑이 그득하면서 불러 오르고 자주 게우거나 대변이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구미해독산(九味解毒散) ; 어린이가 태독으로 온몸에 헌데가 생기고 열이 나며 가슴이 답답해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구배(龜背) ; [동의어] 융배. 척주가 굽어서 거북이등처럼 된 병증.
구배담(龜背痰) ; 척추골에 생긴 유담으로 등이 굽어진 것. [참조] 유담.
구배환(龜背丸) ; [참조] 지각환.
구법(灸法) ; [동의어] 뜸법.
구법(構法) ; 안마법의 하나.
구벽(口僻) ; [동의어] 구와. 입이 한쪽으로 비뚤어진 증.
구변(九變) ; [동의어] 구자(九刺).
구변자(九變刺) ; [동의어] 구자(九刺).
구병(久病) ; [동의어] 숙병(오래된병).
구병롱(久病聾) ;  이롱의 하나. 오랫동안 병을 앓은 후 난청이 된 것.
구병발경(久病發驚) ; 오랜 병으로 기혈이 허해서 생긴 경련.
구병실음(久病失音) ; [동의어] 구후암.
구보음(九寶飮) ; 풍한에 폐가 상해서 가래가 많고 숨이 차며 코가 메고 목안이 아프면서 기침을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구복창(久腹脹) ; 오랜 복창증.
구본(救本) ; 병의 근본을 찾아서 치료하는 원칙.
구봉( 蓬) ; [동의어] 지모. 구불인(口不仁) 입과 혀가 뻣뻣해지고 감각이 둔해진 것.
구붕(九崩) ; [동의어] 붕루. 성기부정출혈이 오래 지속되는 것.
구비( 鼻) ; [동의어] 비구.
구비출혈(口鼻出血) ; 입과 코로 동시에 피가 나오는 것.
구사(九死) ; [동의어] 구사증.
구사(求嗣) ; [동의어] 구자. ①임신을 못하는 여성이 임신할 것을 바라는 것. ②임신 못하는 원인을 찾아 그에 해당한 치료를 하여 임신을 하게 하는 것.
구사맹(久瀉盲) ; 오맹악후의 하나. 어린이가 설사증을 오랫동안 앓은 뒤에 앞을 보지 못하는 것.
구사증(九死證) ; ①허로 때 9가지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 ②열병에 침을 놓아서는 안되는 9가지 증상.
구산(口酸) ; 입 안에서 신맛을 느끼는 것.
구삽(口澁) ; 입 안이 텁텁하면서 깔깔하고 마르는 감이 있는 것.
구상(口爽) ; 입맛을 잃은 것. 입맛이 없어서 음식을 적게 먹는 것.
구색(口 ) ; [동의어] 구삽(口澁).
구선(久癬) ; 잘 낫지 않거나 오래된 버짐 등 피부질병을 통틀어 이르는 말.
구선산(九仙散) ; 여러 가지 원인으로 생긴 오랜 기침에 쓰는 동약처방.
구선왕도고(九仙王道 ) ; 허로손상으로 맥이 없고 정신이 맑지 못하며 비위가 허약하여 입맛이 없으면서 먹은 것이 잘 내려가지 않고 점차 여위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구선탈명단(九仙奪命丹) ; 음식을 먹으면 가슴이 답답하고 명치 밑이 뜬뜬하고 잘 내려가지 않으며 자주 신물이 올라오고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구설 ; 옛날에 쓴 뜸법. 뜸쑥이 탈 때 생기는 열로 지지는 방법.
구설(口舌) ; [동의어] 입과 혀.
구설(久泄) ; 설사가 낫지 않고 오래 끄는 것.
구설(嘔泄) ; 게우고 또한 설사하는 것.
구설창(口舌瘡) ; [동의어] 구창. 입 안과
혀가 허는 것.
구설초(狗舌草) ; [동의어]
솜방망이.
구소(久嗽) ; [동의어] 구해. 해소의 하나. 기침이 오래도록 잘 낫지 않는 것.
구속법(求屬法) ; [동의어] 구속지법.
구속지법(求屬之法) ; ①치료법의 하나. 병증상의 소속을 찾아 치료하는 방법. ②[동의어] 구속법, 치구기속.
구수(口水) ; [동의어] 침(타액).
구수( 水) ; [동의어] 비구.
구수곡리(久水穀利) ; 오랫동안 소화되지 않은 대변을 설사하는 증상.
구순(口脣) ; [동의어] 순구. 7충문의 하나. 입술.
구순긴축(口脣緊縮) ; 입술이 오므라든 것.
구순긴휵(口脣緊 ) ; [동의어] 촬구.
구순험증(口脣險症) ; 입술에 나타나는 위중한 증상.
구슬(狗蝨) ; [동의어] 참깨.
구신(口辛) ; 매운 음식을 먹지 않았는데 입이 얼얼한 감(매운 감)을 느끼는 것.
구안와벽(口眼 僻) ; [동의어] 구안와사.
구안와사(口眼 斜) ; [동의어] 구안편사, 구안와벽. 입과 눈이 한쪽으로 비뚤어진 병증.
구안윤동(口眼 動) ; 입과 눈이 푸들푸들 떠는 것.
구안편사(口眼偏斜) ; [동의어] 구안와사.
구암(久 ) ; [동의어] 구후암. 구액 구역과 딸꾹질을 합해서 이른 말.
구양(救陽) ; 구탈법의 하나로 망양증을 치료하는 방법.
구양(口瘍) ; [동의어] 구창(입 안이 허는 것).
구역(久逆) ; 장부경맥의 기가 오랫동안 물려 있으면서 아래로 잘 내려가지 못하는 것.

구역(嘔逆) ; 속이 메슥메슥하여 게우려는 것.
구역토리(嘔逆吐痢) ; 메스꺼워하면서 게우는 이질.
구연(口軟) ; ①5연의 하나. ②어린이가 말할 나이가 되었는데 말하지 못하는 것. [참조] 어지.
구열리(久熱痢) ; 오랫동안 앓는 열리(적리).
구열상음(久熱傷陰) ; 열이 오래되면 음을 상한다는 것. 사열이 오랫동안 있으면서 진액을 훈증하여 음액을 소모시키는 병리기전.
구온(口溫) ; 침놓는 방법의 하나로 침을 놓을 때 사람의 몸 온도와 비슷하게 침을 따뜻하게 하는 것.
구와(口 ) ; [동의어] 구벽.
구와단( 鍋 ) ; [동의어] 철와민단, 밀폐단. 동약법제방법의 하나로 동약재를 높은 온도의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태우는 것.
구와벽(口 僻) ; 입이 한쪽으로 비뚤어진 것.
구와부정(口 不正) ; 입이 한쪽으로 비뚤어진 것.
구와풍(口 風) ; [동의어] 구안와사.
구완(拘緩) ; 경련과 이완을 합해서
이르는 말. 구(拘)는 근육이 오그라들면서 뻣뻣해지는 것이고 완(緩)은 근육이 미비되어 힘없이 늘어지는 것.
구용(嘔涌) ; [동의어] 구토. 음식이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고 위로 거슬러 올라 게운다는 뜻.
구운백반 ; 백반법제품. 백반을 100-160℃에서 가열하여 결정수를 날려 보낸 것. [참조] 백반.
구원심신환(究原心腎丸) ; 심신불교로 가슴이 할랑거리고 식은땀이 나며 온몸이 나른하고 맥이 없는 데,
                                      추위를 타며 자주 감기에 걸리는 데, 유정, 몽설 등에 쓰는 동약처방.
구유(嘔乳) ; 갓난아이가 젖을 게우는 증상.
구유초(狗乳草) ; [동의어] 민들레.
구육(狗肉) ; [동의어] 단고기.
구육적(狗肉積) ; 적의 하나로 단고기를 지나치게 먹어 생긴다.
구음(狗陰) ; [동의어] 황구신.
구음(救陰) ; 구탈법의 하나로 망음증을 치료하는 방법.
구의(九宜) ; 9침의 용도를 알고 잘 쓰는 것. [참조] 구침.
구인(狗咽) ; 목안이 갑자기 막혀서 기가 통하지 않는 것.
구인( 蚓) ; [참조] 지렁이. 구자 [동의어] 찔광이.
구자(九刺) ; [동의어] 구변, 구변자. 9가지 침놓는 방법.
구자(求子) ; [동의어] 구사(求嗣).
구자( 子) ; [참조] 부추씨.
구자연환초(九子連環草) ; [동의어] 새우란.
구자포(九子包) ; [동의어] 나력(  ).
구장(九臟) ; 신(神)장과 형(形)장을 합해서 이른 말. [참조] 신장, 형장.
구장목함(口張目陷) ; 입이 늘 벌어져 있고 눈두덩이 꺼져 들어간 것.
구저 ; [동의어] 액저.
구저(九疽) ; 여러 곳에 생긴 저.
구적리(久赤痢) ; 오랫동안 피가 섞인 대변을 보는 이질.
구적백리(久赤白痢) ; 오랫동안 피곱이 섞인 대변을 보는 이질.
구전영사(九轉靈砂) ; 영사를 만들 때 영사가마에서 9번 승화시켜 만든 영사. [참조] 영사.
구전풍(灸 風) ; [동의어] 경외기혈인 전풍혈.
구절비(九折臂) ; 옛날에 임상경험이 많은 의사를 가리키던 말. 이름 있는 의사.
구절창포(九節菖蒲) ; [동의어] 석창포
. 구절초(九折草) ; 국화과에 속하는 구절초(Chrysanthemum sibiricum Turcz. et DC.)의 옹근풀을 말린 것.
구정(口庭) ; [동의어] 구강(입 안).
구정(狗精) ; [동의어] 황구신
구제(狗薺) ; [동의어] 말냉이.
구조(口燥) ; 입 안이 마른 것.
구조인건(口燥咽乾) ; 입 안과 목구멍이 마르는 것.
구종심통(九種心痛) ; 9가지의 심통.
구중비양(口中飛瘍) ; 입 안이 허는 병증.
구중육구(口中肉毬) ; 입 안에 종물이 생긴 것.
구중탕(救中湯) ; 건곽란으로 배가 몹시 아프고 게우려 해도 게워지지 않고 설사할 것 같으면서도 설사하지 않으며 가슴이 답답하고 불안해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구중화(口中和) ; 입맛이 제대로 돌아선 것을 이르는 말. 외감병 경과중에 입맛이 쓰면서 입 안이 마르던 증상은 없어지고 입맛이 좋아진 것.
구즙법( 汁法) ; 하태독법의 하나.
구증(九烝) ; 동약법제방법의 하나로 동약재를 찜통에 또는 시루에 넣고 찌꺼기를 9번 거듭하는 것. [참조] 구증구포.
구증구쇄(九烝九 ) ; [동의어] 9증9포.
구증구포(九烝九曝) ; [동의어] 구증구쇄. 동약법제방법의 하나. 동약재를 쪄서 말리기를 9번 거듭하는 것.
구지(久持) ; 맥을 좀 오랫동안 짚어보는 것. 초지(初持)와 상대되는 말.
구지색연(九持索然) ; 맥을 볼 때 나타나는 하나의 특수한 현상.
구진(口津) ; [동의어] 연(침).
구창(口瘡) ; 입 안이 허는 병증.
구창(灸瘡) ; 뜸뜬 자리가 헌 것.
구채인( 菜仁) ; [동의어] 부추씨.
구채자( 菜子) ; [동의어] 부추씨.
구척(狗脊) ; [동의어] 금모구척. 고사리과에 속하는 금모구척[Cibotium barometz (L.) J. Sm.]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
구천(久喘) ; 천증의 하나로 잘 낫지 않고 오래 끄는 숨찬 증.
구첨(口甛) ; [동의어] 구감(口甘).
구청(狗靑) ; [동의어] 구척.
구청수(嘔靑水) ; [동의어] 토청수.
구체(  ) ; [동의어] 비구.
구초(九焦) ; ①제9흉추. ②제9, 제10 흉추의 극상돌기 사이.
구초(灸草) ; [동의어] 약쑥.
구충(九蟲) ; 9가지 기생충을 합해 이르는 말.
구충(驅蟲) ; 기생충을 없애는 치료법. [참조] 구충약.
구충근(九蟲根) ; [동의어] 백부.
구충병(九蟲病) ; 9가지 충병의 총칭.
구충약(驅蟲藥) ; 동약분류의 하나로 장관 안의 기생충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약.
구충환(驅蟲丸) ; 촌백충증, 회충증, 십이지장충증, 요충증 때 쓰는 동약처방.
구취(口臭) ; 입 안에서 냄새가 나는 증.
구치(久痔) ; 오래 끌면서 잘 낫지 않는 치질.
구치(久齒) ; [동의어] 영구치.
구치(臼齒) ; [동의어] 대구치(큰어금니).
구치(灸治) ; [동의어] 뜸법.
구치감(口齒疳) ; [동의어] 치감. 주마아감을 경하게 오래 앓는 증으로 감질의 하나.
구침(九針) ; 옛날에 쓰던 9가지 침. [참조] 침.
구탈(救脫) ; 탈증을 치료하는 방법의 총칭.
구태(垢胎) ; [동의어] 격경, 성태, 노서태. 임신한 뒤에 처음 한두 달 심지어 몇 달 동안 달거리 주기에 일치하여 달거리 때처럼 피가 보이곤 하는 것.
구토(嘔吐) ; 위 내용물을 게우는 증.
구토고수(嘔吐苦水) ; [동의어] 구고(嘔苦).
구토얼(嘔吐 ) ; 게우기와 딸꾹질을 합해서 이른 말.
구토연(口吐涎) ; 느침을 흘리는 증.
구통(九痛) ; 부인병 때 나타나는 9가지 아픔.
구통원(九痛元) ; 속이 차거나 몸이 차면 이내 가슴과 배가 아프며 뒤가 굳은 데와 여러 가지 가슴앓이(9종심통)에 쓰는 동약처방.
구파(口破) ; [동의어] 구미(口 ).
구판(龜板) ; [참조] 남생이배딱지.
구포(九曝) ; 동약재를 햇볕에 말리기를 9번 거듭하는 동약법제방법의 하나. [참조] 구증구포.
구표(救表) ; 치료방법의 하나로 표증을 땀내기 작용이 약한 약으로 땀내는 것을 조절하면서 치료하는 방법.
구표(救標) ; 치료원칙의 하나로 병이 급하고 중할 때는 주되는 증상을 찾아서 치료하는 원칙.
구풍고(驅風膏) ; 간풍으로 얼굴이 퍼래지면서 경련증상이 있는 데, 태풍(胎風)으로 열이 나며 피부가 벌개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구풍산열음자(驅風散熱飮子) ; 풍열로 오는 천행적안, 전기성안염 등에 쓰는 동약처방.
구풍일자산(驅風一字散) ; 풍열로 시력이 낮아지면서 물체가 둘, 셋으로 보이는 복시와 눈이 몹시 가려운 데 쓰는 동약처방.
구하황비창(口下黃肥瘡) ; 어린이가 침을 많이 흘려 턱이 허는 병증.
구학(久 ) ; 오래도록 낫지 않는 학질.
구할법(鉤割法) ; 안과적 수술방법의 하나.
구함(口 ) ; 입 안에서 짠맛을 느끼는 것.
구해(久咳) ; [동의어] 구소.
구해성시(久咳聲嘶) ; 오랫동안 기침을 하여 목쉰 소리를 내는 것.
구해소(久咳嗽) ; [동의어] 구소.
구향(口香) ; 입 안에서 향기로운 냄새가 나는 것을 느끼는 것.
구허(丘墟) ; 족소양담경의 혈.
구혈(嘔血) ; [동의어] 토혈.
구형(球形)
; [동의어] 주형. 팔단금의 하나로 지문이 구슬 모양으로 나타난 것.
구형육태(口形六態) ; 입의 6가지 병적 형태. 장, 금, 벽, 촬, 진, 동.
구화(救火) ; [동의어] 꿩의비름.
구황(口黃) ; [동의어] 마아.
구효(灸哮) ; [동의어] 경외기혈.
구후(九候) ; ①온몸의 맥을 보는 9개부위. ②촌구맥진법에서 맥상을 9가지로 갈라보는 방법.
구후(球後) ; 경외기혈.
구후암(久喉 ) ; [동의어] 구무음, 구암, 구병, 실음. 후암의 하나로 오랫동안 목이 쉬거나 말을 못하는 후두병.
구흉(龜胸) ; [동의어] 계흉. 가슴뼈가 앞으로 도드라져 나온 병증.
구흉환(龜胸丸) ; [동의어] 백합단. 풍습과 습열로 어린이의 앞가슴이 도드라져 나온 데 쓰는 동약처방.
국로(國老) ; [동의어] 감초.
국로고(國老膏) ; 외옹에 쓰는 동약처방.
국묘죽(菊苗粥) ; 간화로 눈이 붉어지고 어지러우며 눈앞이 아찔하고 잘 보이지 않는 데, 고혈압병, 고지혈증 등에 쓰는 동약죽.
국방밀몽화산(局方密蒙花散) ; [동의어] 밀몽화산.
국방안신원(局方安腎元) ; [동의어] 안신원.
국부선혈법(局部先穴法) ; [동의어] 국부취혈법.
국부취혈법(局部取穴法) ; [동의어] 국소취혈법. 병증이 나타난 부위에서 혈을 선택하는 방법.
국소고정법(局所固定法) ; 골절된 부위의 아래위 관절을 포함하지 않고 골절된 뼈의 국소부위만 고정하는 방법.
국소취혈법(局所取穴法) ; [동의어] 국부취혈법.
국정원(菊睛元) ; 간신이 허하여 눈에 검은 꽃잎 같은 것이 보이고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 퍼런 예막 또는 흰 예막이 생긴 데 쓰는 동약처방.
국제 ; [참조] 곡제.
국출환(麴朮丸) ; 식체가 오래되어 가슴이 쓰리고 아프며 때로 멀건 신물을 게우고 역한 냄새가 나는 트림을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국화다조산(菊花茶調散) ; 풍열로 바람을 싫어하고 땀과 열이 나면서 코가 메고 한쪽 머리 또는 머리 전체가 아프며 어지러운 데 쓰는 동약처방.
국화산(菊花散) ; 머리칼이 노랗게 되면서 윤기가 없는 데와 풍열로 눈이 벌겋게 되면서 붓고 깔깔하며 아프고 눈물이 나며
                         눈이 부시다가 점차 예막이 생기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국화쌍해산(菊花雙解散) ; [동의어] 국화통성산.
국화주(菊花酒) ; 허로로 허리와 다리가 시큰거리고 힘이 없으며 귀에서 소리가 나고 어지러운 데와 늙는 것을 막기 위하여 쓰는 동약처방.
국화죽(菊花粥) ; 고혈압병, 관상동맥경화증, 간화로 오는 머리아픔, 어지럽고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 풍열로 눈이 벌건 데 쓰는 동약처방.
국화통성산(菊花通聖散) ; [동의어] 국화쌍해산. 눈의 결막이 붓고 충혈과 아픔이 비교적 심하면서
                                       걸쭉한 눈꼽과 눈물이 나오면서 머리아픔, 코막힘, 콧물, 오한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국화환(菊花丸) ; [참조] 지황원.
군( ) ; [동의어] 육군(몸에 살이 비교적 많이 있는 곳).
군달(  ) ; [참조] 근대.
군변창(裙邊瘡) ; [동의어] 염창.
군석(君石) ; [동의어] 담반.
군신좌사(君臣佐使) ; 동약처방조성에서 약재의 작용에 따라 4가지로 갈라놓은 것을 종합해서 이르는 말.
군약(君藥) ; 동약처방조성에서 주증치료에 주요한 작용을 하는 약. [참조] 군신좌사.
군열( 裂) ; [동의어] 군열창.

군열창( 裂瘡) ; 피부가 건조해지면서 트는 병증.
군육( 肉) ; [동의어] 육군(몸에 살이 비교적 많이 있는 곳).
군제(君劑) ; [동의어] 군약.
군주지관(君主之官) ; [동의어] 심. 심은 몸에서 제일 주되는 장기라는 뜻에서 붙인 이름.
군파( 破) ; 살이 몹시 여위는 것.
군화(君火) ; ①[동의어] 심화. 상화에 상대되는 말. ②심양과 심의 기능이라는 뜻.
굴골(屈骨) ; ①[동의어] 임맥의 곡골혈. ②[동의어] 족소음신경의 횡골혈.
굴신사지법(屈伸四肢法) ; 여러 가지 방법으로 팔다리와 몸을 놀리는 도인법의 하나.
굴인(屈人) ; [동의어] 남가새열매.
굴조개껍질 ; [동의어] 모려, 여합, 모합. 굴조개과에 속하는 참굴(Ostrea gigas Thunb.), 민어굴(Ostrea rivuralis Gould.) 및
                    같은 속에 속하는 굴조개류의 조가비.
굼벵이 ; [동의어] 제조, 진검정풍뎅이, 비제, 분제, 유제. 굼벵이과에 속하는 굼벵이 곧 진검정풍뎅이(Holotrichia dimorphalia Bates)의 유충을 말린 것.
궁(宮) ; 5음의 하나.
궁갈탕(芎葛湯) ; 풍한으로 오슬오슬 춥고 옆구리가 몹시 아프며 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궁골( 骨) ; ①[동의어] 미골(꼬리뼈). ②[동의어] 독맥의 장강혈과 구미혈.
궁궁(芎 ) ; [동의어] 궁궁이.
궁궁묘(芎 苗) ; [동의어] 궁궁이싹.
궁궁보중탕(芎 補中湯) ; 기혈이 허약한 임신부의 혈을 보하고 어혈을 없애며 임신을 유지하고 순산하게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궁궁산(芎 散)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궁궁음자(芎 飮子) ; 태동불안이 있으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불안한 데 쓰는 동약처방.
궁궁이 ; [동의어] 천궁, 호궁, 향과, 작뇌궁. 미나리과에 속하는 궁궁이(Ligusticum officinale Kitag.)나
             산궁궁이(Ligusticum jeholense Nakai)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
궁궁이싹 ; [동의어] 미무, 강리, 궁궁묘, 천궁묘. 궁궁이의 옹근풀을 말린 것.
궁궁천마환(芎 天麻丸) ; 풍담으로 가슴이 두근거리고 답답하고 불안하며 머리가 아프고 어지럼증이 나며
                                    목, 어깨, 잔등이 뻣뻣하고 온몸이 아프며 코가 메고 목소리가 갈리며 얼굴이 붓는 데 쓰는 동약처방.
궁궁탕(芎 湯) ; [동의어] 궁귀탕.
궁귀교애탕(芎歸膠艾湯) ; 붕루가 멎지 않는 데, 달거리 양이 많은 데, 임신부가 성기출혈이 있으면서 배가 아픈 데, 해산한 뒤에 피가 계속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궁귀보중탕(芎歸補中湯) ; 임신부가 기혈부족으로 임신 2-3달에 자주 유산하는 데, 태동불안으로 허리와 배가 아프면서 아래로 피가 보이는 데 쓰는 동약처방.
궁귀음(芎歸飮) ; 풍으로 귀에서 소리가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궁귀이진탕(芎歸二陣湯) ; 달거리 주기가 늦어지고 양도 적으면서 몸은 뚱뚱해지고 무거우며 기운이 없고
                                      입맛이 없으면서 때로 메스껍고 가슴이 답답한 데 쓰는 동약처방.
궁귀조혈음(芎歸調血飮) ; 해산 때 피를 많이 흘려 허열이 나고 배가 아프며 가슴이 답답하고 어지러우며 눈앞이 아찔해지거나 정신이 흐려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궁귀지황탕(芎歸地黃湯) ; 유산한 뒤 명치 밑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궁귀탁리산(芎歸托裏散) ; 옹저가 터진 뒤에 고름이 잘 나오게 하고 새살이 잘 살아나게 하기 위해 쓰는 동약처방.
궁귀탕(芎歸湯) ; [동의어] 궁궁탕, 불수산. 해산 전이나 해산 후에 생길 수 있는 여러 가지 병에 쓰는 동약처방.
궁귀향소산(芎歸香蘇散) ; 소음인의 온역과 태양병증에 쓰는 동약처방.
궁랭불잉(宮冷不孕) ; [동의어] 포한불잉.
궁반외형(弓反外形) ; [동의어] 맥곡향외. 지문형태의 하나로 13지형에 속한다.
궁반이형(弓反裏形) ; [동의어] 맥곡향리. 지문형태의 하나로 13지형에 속한다.
궁서원(芎犀元) ; 한쪽 머리가 아프고 코가 메어 냄새를 맡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궁소산(芎蘇散) ; 임신부가 감기로 머리가 몹시 아프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며 기침을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궁신도담탕(芎辛導痰湯) ; 담궐로 몸이 무겁고 메슥메슥해서 게우려 하면서 어지럽고 머리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궁신산(芎辛散) ; 조열로 열담이 생겨 입 안과 목안이 마르고 목이 쉰 데와 풍한습으로 머리가 아프며 어지럽고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궁오산(芎烏散) ; 해산한 뒤에 머리가 몹시 아프며 어지러운 데 쓰는 동약처방.

궁지고(芎芷膏) ; 속에 열이 몰려 입 안에서 냄새가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궁지산(芎芷散) ; 풍으로 오는 귀울음(허롱)에 쓰는 동약처방.
궁지석고탕(芎芷石膏湯) ; 풍열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바람을 싫어하고 때때로 땀이 나며 눈두덩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궁지향소산(芎芷香蘇散) ; 상한, 상풍표증 때 오슬오슬 춥고 열이 나며 목덜미가 당기고 온몸의 뼈마디가 아프며
                                      명치 밑이 트적지근하고 소화가 안되면서 머리가 몹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궁출산(芎朮散) ; 담이 몰려 배가 아픈 데와 오줌을 잘 누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궁출제현탕(芎朮除眩湯) ; 한습으로 어지럽고 머리가 몹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궁출탕(芎朮湯) ; 습으로 머리가 무겁고 어지러우며 코가 메는 데 쓰는 동약처방.
궁출향련환(芎朮香連丸) ; 임신부가 이질로 피곱이 섞인 설사를 자주 하면서 배를 몹시 아파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궁출환(芎朮丸) ; [동의어] 익국환.
궁하탕(芎夏湯) ; 담음으로 오는 모든 병증에 두루 쓰는 동약처방.
궁형(弓形) ; 지문의 한 형태로 지문이 활모양으로 된 것.

궁활탕(芎活湯) ; 담음으로 몸이 무겁고 팔을 움직일 수 없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궁황산(芎黃散) ; 어린이가 신이 허하여 이빨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데 쓰는 동약처방.
권곡(卷曲) ; [동의어] 도첩권모.
권렴정(卷簾 ) ; 설정의 하나로 혓바닥에 생긴 정창. 권료 [참조] 권요.
권모도삽(卷毛倒揷) ; [동의어] 도첩권모.

권모도첩(卷毛倒睫) ; [동의어] 도첩권모.
권문배유법(拳 背兪法) ; 도인법의 하나로 엄지손가락을 안으로 가게 하여 주먹을 쥔 다음 잔등의 척추 양쪽 옆 3횡지 되는 곳에 꼭 대고 문지르는 방법.
권백(卷柏) ; [참조] 바위손.
권백환(卷柏丸) ; 어린이가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면서 얼굴이 누렇고 윤기가 없으며 몸이 여위고 때로 배가 아파하며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권삼(拳參) ; [동의어] 범꼬리풀뿌리.
권설옹(卷舌癰) ; 설옹의 하나로 혀 밑 왼쪽 또는 오른쪽 아니면 가운데에 생긴 옹.
권와( 臥) ; 몸을 구부리고 눕는 것.
권요(  ) ; [동의어] 태골, 추요. 수태양소장경의 혈.
권첨(拳尖) ; [동의어] 경외기혈.
권태(倦怠) ; 몸이 피곤해서 움직이기 싫은 것.
권하산(卷荷散) ; 산후에 어혈이 가슴으로 치미는 감이 있으면서 몹시 아프고 어지러우며 배가 아프고 오로가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권형(權衡) ; [동의어] 폐.
궐(厥) ; [동의어] 궐증.
궐(蕨) ; [동의어] 고사리.
궐(闕) ; [동의어] 궐중, 미심. 두 눈썹 사이.
궐골 ; ①[동의어] 미골(꼬리뼈). ②[동의어] 독맥에 속한 장강혈.
궐광(厥狂) ; 궐역으로 생긴 광증. 양기의 편승으로 생기면 전광증과 비슷.
궐기(厥氣) ; 기가 제대로 돌지 못하고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
궐두통(厥頭痛) ; [동의어] 궐역두통.
궐랭(厥冷) ; 팔다리가 싸늘한 것.
궐롱(厥聾) ; 이롱의 하나. 5장의 기 즉 간기, 수태양경, 수소양경의 기가 치밀어 올라 생긴 난청.
궐륵 ; [동의어] 계협(제11, 12갈비삭뼈가 있는 부위).
궐병(厥病) ; [동의어] 궐증.
궐비(厥痺) ; 찬 기운이 아랫다리에서 위로 배에까지 미친 것.
궐산(厥疝) ; 비가 허하거나 간기가 위로 치밀어 생긴 산증.
궐상(闕上) ; 두 눈썹 사이의 위부위.
궐심통(厥心痛) ; 심통의 하나로 사기가 심포락을 침범하여 생기는 심통.

궐양(厥陽) ; ①양만 있고 음이 없는 것. ②[동의어] 족태양방광경에 속한 비양혈.
궐양독행(厥陽獨行) ; 양이 몹시 성하여
홀로 순행하는 것.
 궐양지화(厥陽之火) ; ①양기가 몹시 성하여 생긴 화. ②5지(희, 노, 우, 사, 공)가 지나쳐서 생긴 화.
궐역(厥逆) ; ①팔다리가 싸늘해지는 증. ②가슴과 배가 몹시 아프면서 양쪽 다리가 갑자기 싸늘해지고 가슴이 답답하며 음식을 먹지 못하는 증.
                   ③오랫동안 계속되는 머리아픔.
궐역두통(厥逆頭痛) ; [동의어] 뇌역두통, 궐두통. 두통의 하나.
궐열(厥熱) ; [동의어] 궐열병.
궐열병(厥熱病) ; [동의어] 궐열. 열사가 위로 치밀어서 된 궐증.
궐열승복(厥熱勝復) ; 궐음병의 하나. 궐음병에서 한증증상과 열증증상이 같이 나타나는 병증.
궐유(厥兪) ; [동의어] 족태양방광경의 궐음유혈.
궐음(厥陰) ; ①3음의 하나. ②궐음경.
궐음궐역(厥陰厥逆) ; 궐음경에서 생긴 궐역증. [참조] 궐증.
궐음두통(厥陰頭痛) ; ①두통의 하나. 상한궐음병 때 나는 머리아픔. ②머리아픔이 궐음경의 순행부위에 따라 있는 것.
궐음병(厥陰病) ; 상한 6경병의 하나로 궐음경에 사기가 침범하여 생긴 병증.
궐음병제강(厥陰病提綱) ; 궐음병변증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증상.
궐음설(厥陰舌) ; [동의어] 홍중흑문설.

궐음열증(厥陰熱證) ; 궐열승복의 하나로 궐음병에서 열증증상이 심하고 한증증상이 적은 병증. 열궐, 습열하리, 실열하리 등이 속한다.
궐음위합(厥陰爲閤) ; 궐음경의 기능적 특성.
궐음유(厥陰兪) ; [동의어] 궐유. 족태양방광경의 혈.
궐음지궐(厥陰之厥) ; 족궐음간경의 장애로 생긴 궐증.

궐음한증(厥陰寒證) ; 궐열승복의 하나로 궐음병에서 한증증상이 심하고 열증증상이 적은 병증.
궐음해(厥陰咳) ; 해소의 하나.
궐정(闕庭) ; [동의어] 천정(이마 가운데부위).
궐중(闕中) ; [동의어] 궐(두 눈썹 사이).
궐증(厥證) ; ①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지는 병증. ②팔다리가 싸늘하다는 뜻. ③융증( 證)이 심한 것. ④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
궐채(蕨菜) ; [참조] 고사리.
궐훈(厥暈) ; 열이 몹시 성하여 갑자기 손발이 싸늘해지면서 이를 악물고 정신이 흐려져서 넘어지는 것. [참조] 열훈.
궤(潰)  ;①창양이 헐어서 헤진 것. ②치료법의 하나로 고름을 빼내는 것.
궤견탕(潰堅湯) ; 배 안에 적취가 생겨 명치 밑에 뜬뜬한 것이 생겼다 없어졌다 아픈 데와 비괴 등에 쓰는 동약처방.
궤궤 ; [동의어] 항배강궤궤.
궤산(潰疝) ; [동의어] 퇴산.
궤양(潰瘍) ; 창양이 곪아터져 헤어진 것.
궤양개구법(潰瘍開口法) ; 외치법의 하나로 궤양 때 창구를 넓게 열어주는 방법.
궤양거부법(潰瘍去腐法)  ;[동의어] 수농법, 식농법. 여러 가지 옹저나 창양이 곪아터진 다음 썩은 살과 고름독을 없애는 방법.
궤양탕(潰瘍湯) ; 위 및 십이지장궤양에 쓰는 동약처방.
궤양혈(潰瘍穴) ; 경외기혈.
궤요 ; [동의어] 궤요통.
궤요통 ; [동의어] 좌섬요통.
궤조(潰槽) ; 신감5증의 하나로 아감 때 잇몸이 짓무르는 증상.
귀개(鬼蓋) ; [동의어] 인삼.
귀거(鬼巨) ; [동의어] 수양명대장경의 곡지혈.
귀검창(鬼瞼瘡) ; 뺨에 생긴 헌데가 험상궂고 무섭게 된 것.
귀격(鬼擊) ; [동의어] 귀배, 구타. 옛날 병명.
귀경(歸經) ; 동약 약성이론의 하나.
귀굴(鬼窟) ; [동의어] 수궐음심포경의 노궁혈.
귀규탕(歸葵湯) ; ①눈이 잘 보이지 않고 때로 눈앞에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며 깔깔하고 눈물이 나며 빛을 싫어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②[동의어] 연교음자.
귀기(鬼氣) ; 소름이 오싹 끼칠 만큼 무시무시한 기운.
귀기탕(歸 湯)  ;[동의어] 당귀보혈탕.
귀당(鬼堂) ; ①[동의어] 독맥의 상성혈. ②[동의어] 수태음폐경의 척택혈.
귀독요초(鬼獨搖草)  ;[동의어] 흘꽃대.
귀독우(鬼督郵) ; ①[동의어] 흘꽃대. ②[동의어] 산해박. ③[동의어] 천마.
귀래(歸來) ; [동의어] 계곡, 계혈. 족양명위경의 혈.
귀려지기(鬼 之氣) ; 돌림성을 띤 병독.
귀로(鬼路) ; ①수궐음심포경의 간사혈과 노궁혈. ②[동의어] 족태양방광경의 신맥혈.
귀록(鬼錄) ; [동의어] 독맥의 은교혈.
귀뢰(鬼壘) ; [동의어] 족태음비경의 은백혈.
귀룡나무잎 ; [동의어] 구름나무잎.
귀룽나무잎 ; [참조] 구름나무잎. 귀리쌀 벼과에 속하는 귀리(Avena sativa L.)의 여문씨의 껍질을 벗긴 것.
귀림(鬼林) ; [동의어] 족양명위경의 협거혈.
귀매(鬼魅) ; 정신이상이 생긴 것.
귀매미사(鬼魅迷死) ; 원인 모르게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지는 것.
귀목(鬼目) ; [동의어] 소리쟁이.
귀문(鬼門) ; [동의어] 땀구멍. 귀반흘답 홀답의 하나로
두드러기가 돋아서 갑자기 살갗이 우툴두툴해진 것.
귀배(鬼排) ; [동의어] 귀격.
귀비탕(歸脾湯) ; 심비가 허하여 입맛이 없고 온몸이 나른하면서 가슴이 두근거리고 마음이 불안해 하는 데,
                         건망증, 잠장애, 식은땀, 숨가쁨, 놀람 등 때 쓰는 동약처방.
귀사(鬼邪) ; [동의어] 족양명위경의 족삼리혈.
귀성(鬼城)  ;[동의어] 경외기혈인 십선혈.
귀수(鬼受)  ;[동의어] 수태음폐경의 척택혈.
귀시(鬼市) ; [동의어] 독맥의 인중혈.
귀신(鬼臣) ; [동의어] 수양명대장경의 곡지혈.
귀신(鬼信) ; [동의어] 수태음폐경의 소상혈.
귀심(鬼心) ; [동의어] 수궐음심포경의 대릉혈.
귀안(鬼眼) ; [동의어] 족태음비경의 은백혈.
귀안정 ; [동의어] 우렁이.
귀애환(歸艾丸) ; 임신하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귀염(鬼 ) ; 가위 눌리는 것.
귀용원(歸茸元) ; 허손으로 영혈이 소모되어 얼굴이 거무스레해지고 귀가 잘 안 들리고 눈이 잘 안 보이는 데, 다리와 허리에 힘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귀용탕(歸茸湯) ; [참조] 귀용원.
귀우산(歸牛散) ; 어린이가 산기로 음낭이 붓고 아프면서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고 배가 불러 오르고 아랫배가 아파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귀울음 ; [참조] 이명(耳鳴).
귀원산(歸元散) ; 오랫동안 몽설을 해서 기운이 없고 움직이기 싫어하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해 하며 잠을 못 자는 데,
                         조열이 있으면서 식은땀을 흘리고 입 안이 마르면서 혀가 벌겋게 된 데 쓰는 동약처방.
귀유마(鬼油麻) ; [동의어] 뻐꾹채.
귀읍(鬼泣) ; [동의어] 유읍.
귀자골(龜子骨) ; 가슴뼈와 갈비뼈를 합해서 이른 말.
귀작홍화산(歸芍紅花散) ; 초창(트리코마)으로 눈까풀이 뜬뜬하게 붓고 알갱이가 많이 생기고 충혈과 유취 증식이 심한 데와 적맥규사, 속창 등에 쓰는 동약처방.
귀전(鬼箭) ; [동의어] 화살나무껍질.
귀전산(鬼箭散) ; 임신부가 전포로 오줌을 누지 못하고 아랫배가 불러 오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귀전우(鬼箭羽) ; [동의어] 화살나무껍질.
귀종(歸宗) ; 본래의 원기를 회복하는 것.

귀주(鬼 ) ; [동의어] 노채.
귀지두(鬼 頭) ; [동의어] 유풍. 유풍이란 머리털이 환자 자신도 모르게 아프지도 가렵지도
않으면서 뭉텅이로 빠지는 것.
귀지마개 ; [동의어] 정이( 耳). 즉 귀지가 모여 굳어진 덩어리.
귀차초(鬼 草) ; [동의어] 털가막사리.
귀체두 ; [동의어] 유풍.
귀촉루(鬼  ) ; [동의어] 도효.
귀출보산탕(歸朮保産湯) ; 산후에 열이 났다 추웠다 하고 절로 땀이 나며 입 안이 마르고 가슴이 답답하며 숨이 차고
                                      배가 아프며 어지럼증이 나고 눈앞이 아찔해지며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귀출파징탕(歸朮破 湯) ; 달거리가 있다가 없어지거나 배 안에 뜬뜬한 멍울이 생겨서 배가 몹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귀침 ; 귀의 일정한 부위에 침을 놓아서 병을 치료하는 방법의 하나.
귀침(鬼枕) ; [동의어] 독맥의 풍부혈.
귀침초(鬼針草) ; [참조] 털가막사리.
귀타(鬼打) ; [동의어] 귀격.
귀태(鬼胎) ; 옛날 병 이름. 포상귀태.
귀퇴(鬼腿) ; [동의어] 수양명대장경의 곡지혈.
귀향산(歸香散) ; 어린이가 기혈부족으로 몸이 약하고 기운이 없어 하면서 입술이 몹시 마르고 밤에 자주 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귀향유(鬼香油) ; [동의어] 들깨풀.
귀혈(鬼穴) ; [동의어] 독맥의 풍부혈.
귀형탕(歸荊湯) ; 해산 때 풍한을 받아 갑자기 열이 나면서 말을 잘하지 못하거나 손발을 떨면서 경련을 일으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귀화단(鬼火丹) ; 단독의 하나.
귀황(鬼黃) ; 황달의 하나.
규(竅) ; 몸에 있는 구멍. 심규, 7규, 9규, 하규 등.
규도(揆度) ; ①옛날에 맥을 보고 병이 생긴 부위와 병상태를 추측하고 4철 기후변화와 결부시켜서 병의 예후를 판단하던 방법. ②규범이 될 틀.
규도기항(揆度奇恒) ; 동의진단에서 일반적인 병경과와 특수한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해서 병상태를 정확히 판단하고 추측하는 것.
규루(竅漏) ; [동의어] 목농루, 누정농출. 누정의 하나로 주점으로부터 고름이 나오는 병증.

규루증(竅漏症) ; [동의어] 누정(漏睛).
규문 ; [동의어] 족궐음간경의 오리혈.
규시(圭匕) ; 옛날 약의 분량을 계량하던 조제도구. [참조] 도규(刀圭), 방촌시(方寸匕).
규음(竅陰) ; 족소양담경의 혈. ①머리규음혈. 족소양, 족태양의 회음혈. ②발규음혈.
규자(葵子) ; [동의어] 아욱씨.

규자복령산(葵子茯 散) ; ①임신부가 습으로 몸이 무겁고 오줌이 잘 누지 못하며 오싹오싹 춥고 어지럼증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②[동의어] 전생복령산.
규자탕(葵子湯) ; 방광의 실열로 오줌이 잘 나가지 않고 입과 혀가 마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규채자(葵菜子)  ;[동의어] 아욱씨.
균강(均薑) ; [동의어] 건강.
균기산(勻氣散)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균위산(勻胃散) ; 어린이들이 한사를 받아 젖이나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숨이 차며 그득하고 트적지근하며 게우고 설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귤강환(橘薑丸) ; 기가 오랫동안 몰려 있어 가슴이 그득하고 답답하며 숨이 차고 기침을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귤껍질 ; [동의어] 진피, 귤피. 산초과에 속하는 귤나무(Citrus aurantium L. subsp. nobilis Makino)의 익은 열매껍질을 말린 것.
귤련지출환(橘連枳朮丸) ; 비위가 허하여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되는 데, 담열로 신물이 올라오고 때로 어지러운 데 쓰는 동약처방.
귤반지출환(橘半枳朮丸) ; 비위가 허하여 음식을 먹으면 헛배가 부르고 속이 트적지근하면서 소화가 안되고
                                      때로 메스꺼우며 게우고 밥을 먹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귤백(橘白) ; 귤껍질 안쪽 면의 흰 부분만을 긁어낸 것.
귤소산(橘蘇散) ; 풍한으로 기침이 나며 가래가 성하고 맥이 부삭한 데 쓰는 동약처방.
귤씨 ; [동의어] 귤핵. 산초과에 속하는 귤(citus sp.)의 여문씨를 말린 것.
귤인(橘仁) ; [동의어] 귤씨.
귤자인(橘子仁) ; [동의어] 귤씨.
귤자핵(橘子核) ; [동의어] 귤씨.
귤피(橘皮) ; [동의어] 귤껍질.
귤피건강탕(橘皮乾薑湯) ; 위허한으로 딸꾹질을 하며 기운이 치밀어서 메슥메슥하고 헛구역질을 하며 때로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귤피반하생강탕(橘皮半夏生薑湯) ; 위허한으로 딱꿀질을 하며 기운이 치밀어서 메슥메슥하고 헛구역질을 하며 때로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귤피반하탕(橘皮半夏湯) ; 한담으로 메스껍고 구역질이 나며 소화가 안되고 멀건 침이 나오며 손발이 싸늘하고 몸이 무거우며 어지러운 데 쓰는 동약처방.
귤피전원(橘皮煎元) ; 비위와 신이 몹시 허하여 입맛이 없고 여위며 몸이 약한 데, 오랜 설사, 다리와 허리에 힘이 없고
                               시큰시큰한 데, 유정, 음위증 등에
쓰는 동약처방.
귤피죽여탕(橘皮竹茹湯) ; [동의어] 진피죽여탕. 위가 허약하고 가슴에 열이 있어 딸꾹질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귤피지출환(橘皮枳朮丸) ; 음식에 체하여 명치 밑이 그득하고 답답하며 괴로워하는 흉비에 쓰는 동약처방.
귤피탕(橘皮湯)  ;[동의어] 가미향소산.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귤피환(橘皮丸) ; 기가 오랫동안 머물러 있어 배가 불러 오르면서 답답하고 대변이 굳어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귤핵(橘核) ; [참조] 귤씨.
귤핵환(橘核丸) ; 퇴산증이 오래되어 음낭이 부어 한쪽이 더 커지고 뜬뜬하며 아랫배가 몹시 아픈 데, 음낭이 붓고 헤져서 누런 진물이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귤행환(橘杏丸) ; 늙은이와 허약한 사람의 변비에 쓰는 동약처방.
귤홍(橘紅) 귤껍질 안쪽 면의 흰 부분만을 긁어낸 것. [참조] 귤껍질.
귤홍삼하탕(橘紅蔘夏湯)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대체요법 > 동양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겁 ~루타  (0) 2010.06.03
한의학사전( 나 ~능후 )  (0) 2010.06.03
한의학사전 - 고 ~ 교회혈  (0) 2010.06.03
거 ~계흉  (0) 2010.06.03
한의학사전  (0) 2010.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