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 ~계흉
거 ; ①겨드랑이 아래에 해당되는 옆구리. ②갈비뼈.
거(擧) ; [동의어] 부취. 맥 뛰는 부위에 손가락을 가볍게 대고 맥을 보는 거안심.
거경(去殼) ; 동약가공방법의 하나로 열매나 씨동약에서 굳은 껍질을 까서 버리는 것.
거경(居經) ; [동의어] 계경, 안계. 3달에 1번씩 있는 달거리.
거골(巨骨) ; 수양명대장경의 혈. 수양명, 양교맥의 회혈.
거골(距骨) ; [동의어] 회목뼈.
거교 ; ①3부9후부위의 하나. ②[동의어] 사공혈. ③혈 이름.
거구맥(巨句麥) ; [동의어] 패랭이꽃.
거굴(巨屈) ; 입귀에서 가로 나가 귀 아래의 뼈가 모난 곳.
거궐(巨闕) ; [동의어] 심모. 임맥의 혈. 심의 모혈.
거궐유(巨闕兪) ; 경외기혈.
거근(去根) ; 동약가공방법의 하나로 뿌리를 없애는 것.
거기(居氣) ; 운기론에서 쓰는 말. 소음간기.
거담(祛痰) ; ①담을 없애는 치료법의 총칭. ②가래가 잘 나가도록 한다는 뜻.
거담환(祛痰丸) ; 풍담으로 목에서 가래끓는 소리가 나며 숨이 차고 기침을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거동(拒冬) ; [동의어] 속수자.
거두(去頭) ; 동약가공방법의 하나로 일부 동물성 동약에서 대가리를 떼버리는 것.
거두시족(去頭翅足) ; 동약가공방법의 하나로 절족동물의 다족강, 곤충강에 속하는 동약의 대가리, 날개, 다리 등을 떼버리는 것.
거래심통(去來心痛) ; [동의어] 거래통.
거래통(去來痛) ; [동의어] 거래심통. 명치 밑이 아프고 발작하며 불안해 하는 심통.
거로(去蘆) ; 동약가공방법의 하나로 동약재에 붙어 있는 뿌리꼭지를 잘라내는 것.
거료 [참조] ; 거요(巨 ).
거료 [참조] ; 거요(居 ).
거마[머]리 ; [동의어] 수질, 마기, 지장, 기, 마황. 거마리과에 속하는 거마[머]리(Hirudo nipponica Whitman)와
말거머리과에 속하는 말거머리(Whitmania pigra Whitman)를 말린 것.
거매채(炬*菜) ; [동의어] 사데풀.
거머리 ; [참조] 거마리(평안도, 함경도, 전라도).
거머리말 ; 거머리말과에 속하는 거머리말(Zostera marina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거모(去毛) ; 동약가공방법의 하나로 동약재에서 털을 없애는 것.
거묘로(去苗蘆) ; 뿌리 동약재에서 싹과 뿌리꼭지를 떼어내는 것.
거병체(去炳 ) ; 식물성 동약재에서 열매가 달린 꼭지, 잎꼭지, 꽃대, 꽃받침잎 등을 없애는 것.
거분(巨分) ; 양쪽 입귀 옆에 큰 금이 생긴 곳.
거비(擧臂) ; 경외기혈.
거사권형(去蛇券形) ; 지문의 한 형태.
거사부정(祛邪扶正) ; 정기가 허한 병증 때 사기를 몰아내는 치료를 주로 하면서 정기를 보하는 치료를 보조적으로 하는 치료원칙.
거사형(去蛇形) ; 지문의 한 형태. 13지형에 속한다.
거서약(祛署藥) ; 여름철 더위에 상하여 생긴 서증을 낫게 하는 동약.
거성(去腥) ; 동약재에서 비린내를 없애는 것.
거세(去勢) ; 동물의 생식기관을 떼어내는 것.
거수(去水) ;[동의어] 팥꽃나무꽃.
거슬(踞膝) ; 도인법의 기본 체위의 하나.
거습(祛濕) ; [동의어] 제습. 습사를 없애는 치료방법의 총칭.
거습산(祛濕散) 마른버짐과 진버짐 등에 쓰는 동약처방.
거승(巨勝) ; [동의어] 참깨.
거승자원(巨勝子元) 늙지 않기 위해 쓰며 허로로 생긴 여러 병증에 쓰는 동약처방. 거승탕(拒勝湯) [동의어] 지성탕. 거심(去心) 동약재에서 목질부를 뽑아버리는 것. 거쌍인(去雙仁) ; 씨동약에서 두알들이를 골라버리는 것.
거악생신(去惡生新) ; 헌데의 궂은살이나 피고름을 없애고 새살이 나게 하는 치료법.
거안(拒按) ; 아픈 부위를 만져주거나 눌러주면 아픔이 더 심해져서 손을 대지 못하게 하는 것.
거안심(擧按尋) ; 맥을 볼 때 손가락으로 누르는 세기를 달리하는 방법.
거양(巨陽) ; ①경외기혈. ②경외기혈인 태양열.
거양(去 ) ; 열매동약에서 약으로 쓰이지 않는 속을 파버리는 것.
거어(祛瘀) ; 활혈약으로 어혈을 없애는 치료법.
거어생신(祛瘀生新) ; [동의어] 거어활혈.
거어소종(祛瘀消腫) ; 외상으로 어혈이 생겨서 부은 것이 삭아지게 하는 치료법.
거어지혈(去瘀止血) ; 어혈을 없애 피가 나는 것을 멈추는 방법.
거어활혈(祛瘀活血) ; [동의어] 거어생신, 활혈생신, 화어행혈. 어혈을 없애고 혈맥을 잘 통하게 하는 방법.
거염분(去鹽粉) ; [동의어] 거함.
거엽(去葉) ; 줄기 동약재에서 잎을 없애는 것.
거완진좌(去宛陳 ) ; 감수나 버들옻 같은 축수약으로 오랫동안 몰려 있는 수음을 대변이나 오줌으로 나가게 하는 치료법.
거요(巨 ) ; ①족양명위경의 혈. ②수소양삼초경의 사죽공혈.
거요(居膠) ; [동의어] 족소양담경의 혈.
거원전(擧元煎) ; 기허하함으로 생긴 혈붕 또는 많은 달거리 등에 쓰는 동약처방.
거위고기 ; [동의어] 게사니고기.
거유(去油) ; 씨동약재에서 독성을 나타내거나 부작용을 나타내는 기름을 짜버리는 것.
거음 ; 환자가 고통스러워서 신음소리를 내는 것.
거자(巨刺) ; 옛날에 쓰던 9가지 침놓는 방법의 하나.
거자(去刺) ; 동약재에서 가시를 없애는 것.
거재(去滓) ; 약을 달여서 찌꺼기를 짜버리는 것.
거절(去節) ; 동약재에서 마디를 없애는 것.
거조(巨爪) ; ①5절의 하나. ②음낭수종 때 피침으로 물을 뽑는 것.
거지(巨指) ; [동의어] 엄지손가락.
거지(居地) ; 사람이 살고 있는 땅(곳).
거처(巨處) ; 족태양방광경의 오처혈.
거초(鋸草) ; [동의어] 톱풀.
거치(擧痔) ; 항문 주위에 군살이 생겨서 아픈 치질.
거침(巨針) ; 침종류의 하나.
거통(擧痛) ; [동의어] 심통.
거풍(祛風) ; 밖으로부터 들어온 풍사를 없애는 방법.
거풍습약(祛風濕藥) ; 풍습사를 없애고 풍습으로 생긴 병증을 없애는 동약.
거풍양혈(祛風養血) ; [동의어] 양혈거풍.
거풍제습(祛風除濕) ; ①거풍법의 하나. ②거풍과 제습을 합해서 이르는 말.
거풍제습탕(祛風除濕湯) ; 기가 허하거나 습담으로 몸 절반을 쓰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거풍주 ; 뇌출혈로 몸 한쪽을 잘 쓰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술.
거풍지보단(祛風至寶丹) ; 중풍으로 인한 여러 병증에 쓰는 동약처방.
거풍통기산(祛風通氣散) ; [동의어] 통기구풍탕.
거피(去皮) ; 동약재의 껍질을 벗겨버리는 것.
거피첨(去皮尖) ; 씨동약재에서 속껍질과 끝을 떼어버리는 것.
거한(祛寒) ; [동의어] 온법. 한사나 찬 기운을 없애거나 몰아내는 것.
거한법(祛寒法) ; [동의어] 온법.
거한약(祛寒藥) ; 한사를 없애고 이한증을 치료하는 약.
거한화담(祛寒化痰) ; ①한으로 생긴 담을 치료하는 방법. ②거한과 화담을 합한 말.
거함(去鹹) ; [동의어] 거염분. 동약재를 물에 담가 짠맛을 우려내는 것.
거핵(去核) ; 열매동약에서 씨를 빼내는 것.
거허상렴(巨虛上廉) ; 족양명위경의 상거허혈.
거허하렴(巨虛下廉) ; 족양명위경의 하거허혈.
거화독(去火毒) ; 불에 덥히거나 구운 동약재에서 화독을 빼는 것.
거활니(去滑 ) ; 동약재에서 미끈미끈한 점액질을 없애는 것.
건(乾) ; ①마르다. ②팔괘의 하나. ③건시. ④하늘.
건(腱) ; [동의어] 힘줄.
건(楗) ; [동의어] 건골(넓적다리뼈).
건각(蹇脚) ; [동의어] 절름발이. 다리를 저는 것.
건각기(乾脚氣) ; 각기의 하나.
건감(乾疳) ; 심한 감질.
건강(乾薑) ; 생강과에 속하는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
건강부자탕(乾薑附子湯) ; 상한 때 설사시킨 뒤에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건강산(乾薑散)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건강탕(乾薑湯) ; 적백리와 이질로 설사를 자주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건강환(乾薑丸) ; 임신중에 중초에 담음이 있어 여러 증상이 나타날 때 쓰는 동약처방.
건개(乾疥) ; 개창의 하나. 마른 옴.
건계근(乾鷄筋) [동의어] 삼지구엽초.
건고(乾枯) ; 진액이 소모되어 살갗에 윤기가 없는 것.
건골(楗骨) ; [동의어] 대퇴골.
건곽란(乾 亂) ; [동의어] 교장사, 교각사. 배가 아프면서 게우지 못하고 설사하지 못하고 식은땀이 나며 맥이 잘 짚이지 않는 곽란.
건구(乾嘔) ; [동의어] 완. 위 내용물은 나오지 않는 헛구역.
건기(愆期) ; [동의어] 월경건기.
건렴 ; [동의어] 선창. 태렴창의 하나.
건렴창 ; [동의어] 건렴.
건롱(乾聾) ; 귀지마개가 있어서 귀가 잘 들리지 않는 것.
건리(建里) ; 임맥의 혈.
건리탕(建里湯) ; 비위가 허랭하거나 적취가 생겨 가슴으로 치밀고 몹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건망(健忘) ; [동의어] 선망, 호망, 다망, 희망. 기억력이 약해져 지나간 일을 잘 잊어버리는 병증.
건명(健明) ; 경외기혈.
건방(乾方) ; ①24방위의 하나. ②팔방의 하나.
건보환(健步丸) ; 습열로 아픈 데와 허리와 다리의 뼈마디가 저린 데 쓰는 동약처방.
건비(健脾) ; [동의어] 보비, 익비. 비가 허약한 증상이 나타날 때 쓰는 치료법.
건비백출환(健脾白朮丸) ; 비위가 습에 상하여 물 같은 설사를 계속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건비사(蹇鼻蛇) ; [동의어] 백화사.
건비소간(健脾疏肝) ; [동의어] 배토억묵. 간비울결로 비의 운화기능이 장애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건비장위탕(健脾壯胃湯) ; 소음인 양명병으로 몸에 열이 나고 땀을 많이 흘리는 데 쓰는 동약처방.
건비환(健脾丸) ; 비위가 허하여 입맛이 없고 소화되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건삽난산(乾澁難産) ; 난막이 미리 터져서 양수가 다 빠져 나와 해산이 장애되는 것.
건선(乾癬) ; [동의어] 풍선. 피부가 건조하고 가려우며 긁으면 흰 비듬이 일어나는 선창.
건소(乾嗽) ; [동의어] 건해.
건슬(蹇膝) ; 무릎을 펴기는 하지만 구부리기는 힘들어 하는 증상.
건시(乾時) ; 저녁 8시 반부터 9시 반까지.
건약법(乾藥法) ; 동약재를 말리는 방법.
건얼(乾 ) ; [동의어] 딸꾹질 [참조] 애역.
건원(乾元) ; 첫아들 아이의 태반.
건위(健胃) ; ①위의 소화기능을 높이는 치료법. ②위를 든든하게 한다는 뜻. 건위강장고 식욕이 없고 소화가 잘 안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건위보화원(健胃保和元) ; 비위가 허약하여 자주 체하고 소화가 잘 안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건위산(健胃散) ; 과산성 위염, 소화불량증 때 쓰는 동약처방.
건유자(乾乳子) ; 임신기나 수유기가 아닌 여자 또는 남자에게 생긴 유옹.
건율(乾栗) ; [참조] 마른 밤.
건저(乾疽) ; 어깨의 앞쪽에 생긴 저.
건제(乾啼) ; 어린이가 눈물 없이 우는 것.
건조(乾棗) ; [동의어] 대추.
건지황(乾地黃) ; [참조] 마른지황.
건지황환(乾地黃丸) ; 풍사에 상하여 음식을 넘기기 어려운 데와 옹저가 생겨 아프고 그것이 터져 오래 아물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건칠(乾漆) ; [참조] 마른옻.
건칠환(乾漆丸) ; 머리칼이 일찍 희어지는 데와 해산한 뒤 배꼽 밑이 아프고 달거리가 없으며 몸이 여위는 데 쓰는 동약처방.
건폐환(健肺丸) ; 폐결핵으로 인한 여러 병증에 쓰는 동약처방.
건포탕(健 湯) ; 신양부족으로 오줌이 잦거나 절로 나가는 데와 오줌소태에 쓰는 동약처방.
건풍(乾風) ; 기부(肌膚)가 마르는 병증.
건함(乾陷) ; 함증의 하나.
건해(乾咳) ; [동의어] 건해소. 마른기침이 나는 증.
건해소(乾咳嗽) ; [동의어] 건해.
건혈(乾血) ; 허로손상으로 혈이 몹시 부족해진 증.
건혈기(乾血氣) ; 달거리가 없고 가슴이 치미는 감이 있는 것.
건혈로(乾血勞) ; 달거리 양이 적어지고 여위며 골증조열이 나고 얼굴빛이 검어지는 허로증세.
건협통(乾脇痛) ; 협통의 하나.
건황(乾黃) ; [동의어] 양황.
건회여저간색설(乾晦如猪肝色舌) ; 혀가 마르고 거무스름해져서 삶은 간처럼 된 혀.
걸력가(乞力伽) ; [동의어] 흰삽주.
검(瞼) ; [동의어] 안검(눈까풀).
검경정동(瞼硬睛疼) ; 눈까풀 안이 붓고 눈물이 나고 눈부심을 주증으로 하는 눈병.
검권(瞼倦) ; 윗눈까풀이 아래로 늘어진 것.
검도점정(瞼倒粘睛) ; [동의어] 비육점륜.
검렬(瞼裂) ; 눈까풀 기슭으로 둘러싸인 틈.
검발(瞼發) ; 아랫눈까풀에 생긴 창양.
검생풍속(瞼生風粟) ; [동의어] 속안, 초창. 눈까풀 안쪽 면에 충혈, 혼탁, 침윤, 과립, 반혼이 있으며 눈물, 눈부심 등이 있는 외장눈병.
검실( 實) ; [참조] 가시연밥.
검실환( 實丸) ; 양허로 조설, 유정, 몽설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검연(瞼緣) ; [동의어] 눈까풀 기슭.
검인( 仁) ; [참조] 가시연밥.
검점정주(瞼粘睛珠) ; [동의어] 비육점륜.
검정버섯 ; [동의어] 목이. 검정버섯과에 속하는 검정버섯(Auricularis auricula-judae Quel.)의 자실체를 말린 것.
검정콩 ; [동의어] 흑두. 콩과에 속하는 검정콩의 여문씨.
검척예(劒脊 ) ; [동의어] 횡예내장.
검폐(瞼) ; [동의어] 상포하수.
검피(瞼皮) ; [동의어] 안검(눈까풀).
검피수완(瞼皮垂緩) ; [동의어] 상포하수.
검현(瞼弦) ; [동의어] 눈까풀 기슭.
검현적란(瞼弦赤爛) ; [동의어] 난현풍, 풍현적란, 영광적란, 풍적안, 안현적란. 눈까풀 기슭이 붉어지면서 헐고 가려움이 있는 병증.
검횡추수(劒橫秋水) ; 숙예가 흑정(각만)에 가로놓여 있는 것.
겁(怯) ; ①[동의어] 허로증. 기혈이 쇠약하고 늘 무서움을 타는 것. ②5불남의 하나.
겁로산( 勞散) ; 심신이 허약해져서 나타나는 여러 병증에 쓰는 동약처방.
겁약( 藥) ; [동의어] 겁제. 사기를 강하게 억누르는 약.
겁제( 劑) ; [동의어] 겁약.
겁폐(怯肺) ; [동의어] 폐장겁.
게루기 ; [동의어] 제니, 모시대. 도라지과에 속하는 게루기[Adenophora remotiflora (Sieb. et Zucc.) Miq.],
잔대(Adenophora verticillata Fisch.), 기타 잔대속 식물의 뿌리를 말린 것.
게사니고기 ; [동의어] 아육, 거위고기. 오리기러기과에 속하는 게사니 곧 거위(Anser domestica L.)의 고기.
게우기 ; [참조] 구토.
게움멎이약 ; 메스꺼움과 게우는 증상을 낫게 하는 약.
게움약 ; 게우게 하는 약.
겨우살이 ; [동의어] 기생목. 겨우살이과에 속하는 겨우살이[Viscum coloratum (Komar.) Nakai]의 잎이 달린 줄기를 말린 것.
겨우살이덩굴꽃 ; [참조] 금은화.
겨자 ; [동의어] 개자, 계자. 배추과에 속하는 겨자(Brassica Cernua Forb. et Hemsl.), 갓(B.juncea Coss.),
백겨자[B. alba (L.) Boiss.], 흑겨자(B.nigra Koch)의 여문씨를 말린 것.
겨자뜸 ; 겨자를 물에 개어 물집이 생기게 하는 치료방법.
격(格) ; ①막혀서 통하지 않는 것. ②밀어내는 것. ③게우는 것이 멎지 않음.
격(隔) ; ①가슴에 기운이 막혀서 잘 통하지 않는 것. ②음식이 잘 내려가지 않고 대변을 누지 못하는 것. ③열격.
격(膈) ; ①가름막(횡경막). ②가슴. ③막힌다는 뜻.
격 ; (막혀서 통하지 못하는 것).
격간(膈癎) ; 발작 때 눈을 치뜨고 팔다리를 잘 움직이지 못하는 증세.
격강구(隔薑灸) ; [동의어] 생강뜸.
격경(激經) ; [동의어] 구태.
격관(膈關) ; 족태양방광경의 혈.
격기(膈氣) ; ①위의 소화기능. ②7정에 의하여 기가 가슴에 몰린 것.
격기담결(膈氣痰結) ; 가슴속에 기와 담이 뭉친 증.
격기병(膈氣病) ; 열격의 하나로 숨이 차고 가래가 끓으며 기침이 난다.
격담(膈痰) ; 담음의 하나로 명치끝이 아프고 숨이 차다.
격동(隔洞) ; 먹은 음식이 막혀서 내려가지 않는 것과 설사가 멎지 않는 것.
격막(隔膜) ; [동의어] 횡격막.
격물구(隔物灸) ; [참조] 간접뜸.
격병구(隔餠灸) ; 간접뜸의 하나.
격부(擊 ) ; [동의어] 부격, 피격.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지는 증.
격부구(隔附灸) ; [참조] 부자뜸.
격산구(隔蒜灸) ; [참조] 마늘뜸.
격상(膈上) ; 가름막(횡격막) 위의 가슴통 부분.
격색(隔塞) ; [동의어] 열격.
격색불통(膈塞不通) ; [동의어] 열격.
격소(膈消) ; [동의어] 상소.
격소(膈嗽) ; 담음이 가름막 위에 몰려서 생긴 기침. [참조] 담소.
격식사(膈食 ) ; 위장장애를 일으키는 사증.
격약(格藥) ; 속에서 약을 받지 않는 것.
격양(格陽) ; ①[동의어] 음성격양. ②양이 몹시 성하여 음기와 조화되지 못하는 것. ③토역증.
격양관음(格陽關陰) ; ①음양의 균형이 파탄되어 인영맥과 촌구맥이 세게 뛰는 것. ②위와 아래로 통하지 못하는 병증. [참조] 관격.
격열(膈 ) ; [동의어] 열격.
격염구(隔鹽灸) ; [참조] 소금뜸.
격유(膈兪) ; [동의어] 소심. 족태양방광경의 혈.
격인 ; [동의어] 열격.
격중(膈中) ; [동의어] 열격. 음식 먹은 것이 내려가지 않고 도로 올라오는 것.
격총(格 ,隔 ) ; [동의어] 산마늘.
격충(膈蟲) ; [동의어] 약충.
격탕(隔湯) ; [동의어] 중탕(重湯).
격통(膈洞) ; [동의어] 격동.
격통(膈痛) ; ①흉격이 아픈 증. ②옆구리가 아픈 것. ③가슴이 아픈 것.
격통(激痛) ; 심한 아픔.
격편고 ; 몸 한쪽이 여위면서 잘 쓰지 못하는 증. [참조] 편고.
격하축어탕(膈下逐瘀湯) ; 가름막 아래에 어혈로 적괴가 생겼거나 어린이가 비괴로 아픈 곳이 고정되고 누우면 배가 늘어지는 감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격황(膈 ) ; [동의어] 가름막. 가름막과 창자 사이 막을 합해서 이른 말.
견(肩) ; [동의어] 어깨마디부위.
견( ) ; ①없앤다, 덜다. ②깨끗하게 하다.
견간(犬癎) ; [동의어] 간간.
견갈락하(肩 落下) ; 어깨관절의 탈구.
견갑(肩胛) ; ①[동의어] 견갑골. ②잔등 양쪽의 어깨뼈부위.
견갑골(肩胛骨) ; [동의어] 비파골, 반시골, 흠판지골, 횡우골. 어깨의 잔등쪽 제2-7갈비뼈 높이에 있는 삼각형의 넓적한 뼈.
견갑저(肩胛疽) ; [동의어] 태음저. 견갑 부위에 생긴 발배.
견개(犬疥) ; 헌데가 벌겋게 달면서 고름이 나오고 가려운 것.
견골(肩骨) ; ①어깨뼈와 꺾쇠뼈를 합해서 이르는 말. ②수양명대장경의 견우혈.
견교(犬咬) ; 개에게 물린 것.
견내유(肩內兪) ; 경외기혈.
견독(肩毒) ; 어깨에 생긴 옹저. [참조] 옹저.
견두(肩頭) ; [동의어] 견봉. 어깨에서 위로 도드라져 올라온 부위. 부리도드리 끝 부위.
견두골(肩頭骨) ; [동의어] 견해(위팔마디).
견료 ; [참조] 견요.
견목 ; [동의어] 자유적란. 눈귀가 항상 붉고 젖어 있으며 가렵고 눈물이 나오는 증.
견문(見聞) ; ①보고 들은 것. ②보고 들은 것으로 하여 얻은 지식.
견박(肩膊) ; ①어깻죽지. ②[동의어] 견갑골.
견배통(肩背痛) ; 어깨와 잔등이 아픈 증.
견봉(肩峰) ; [동의어] 견두.
견불거(肩不擧) ; 어깨마디가 아파서 팔을 들지 못하는 증.
견비(肩臂) ; 어깨와 팔을 합해서 이르는 말.
견비탕( 痺湯) ; 류머티즘성 관절염, 여러 가지 신경통 때 쓸 수 있는 동약처방.
견비통(肩臂痛) ; 어깨와 팔이 아픈 증.
견비통락( 痺痛絡) ; 풍한습이 관절이나 기육, 경락에 몰린 것을 치료하는 방법.
견성(堅成) ; 운기론에서 쓰는 말. 금운(금세)이 해당한 해를 주관하는 데서 태과한 것. [참조] 태과.
견순(繭脣) ; [동의어] 긴순, 심순. 입술에 난 헌데.
견식(肩息) ; 심한 숨찬 증 때 입을 벌리고 어깨를 들먹거리면서 힘들게 숨을 쉬는 상태.
견아(犬牙) ; [동의어] 낭아초.
견외유(肩外兪) ; 수태양소장경의 혈.
견요(肩 ) ; 12정경의 하나인 수소양삼초경의 혈.
견우(肩 ) ; ①어깨뼈마디의 윗부위. ②혈 이름.
견우골(肩 骨) ; [동의어] 우골(위팔뼈머리).
견우자(牽牛子) ; [참조] 나팔꽃씨.
견우탕(牽牛湯) ; 습열로 속이 그득하면서 기침을 하고 숨이 차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고 붓는 데 쓰는 동약처방.
견유(肩兪) ; 경외기혈.
견육완절(堅肉緩節) ; 근육이 든든하고 뼈마디가 윤활한 것.
견음(堅陰) ; ①치료법의 하나. ②청열사화법의 하나. ③음을 든든하게 한다는 뜻.
견음지실환( 飮枳實丸) ; 간경변증, 만성신장염으로 뱃물이 차고 대소변을 잘 보지 못할 때 쓰는 동약처방.
견인법(牽引法) ; [동의어] 납법.
견자삭지(堅者削之) ; 뜬뜬한 것은 삭아 없어지게 하는 원칙에서 치료해야 한다는 것.
견자연지(堅者軟之) ; 뜬뜬한 것은 유연하게 하는 원칙에서 치료해야 한다는 것.
견저(肩疽) ; 어깨부위에 생긴 저.
견전(肩前) ; 경외기혈.
견정(肩井) ; [동의어] 박정, 견해. 족소양담경의 혈.
견정(肩貞) ; 수태양소장경의 혈.
견정산(牽正散) ; 중풍으로 입과 눈이 삐뚤어진 데 쓰는 동약처방.
견주(肩柱) ; [동의어] 견주골. 경외기혈.
견주골(肩柱骨) ; 경외기혈인 견주혈.
견중유(肩中兪) ; 수태양소장경의 혈.
견중저(肩中疽) ; 어깨의 한가운데에 생긴 저. [참조] 견저.
견천(犬喘) ; 천증의 하나로 숨이 찬 증이 발작하는 것.
견첨(肩尖) ; 수양명대장경의 견우혈.
견치(犬齒) ; [동의어] 호아, 단첨아, 송곳니.
견통(肩痛) ; 어깨관절이나 어깨둘레(근육, 뼈마디, 어깨뼈)가 아픈 증.
견통원( 痛元) ; 아랫배가 아프며 당기며 음낭이 붓고 딴딴한 데 쓰는 동약처방.
견풍독(肩風毒) ; 어깨 끝 견우혈 부위에 난 옹저. [참조] 옹저.
견하(肩下) ; 아랫배에 종물이 생겨서 뜬뜬하게 된 것.
견해(肩解) ; ①어깨뼈와 위팔뼈가 결합되는 곳. 위팔마디. ②족소양담경의 견정혈.
견후저(堅後疽) ; [동의어] 과견저.
결가(結痂) ; 상처나 헌데에서 고름이나 피, 진물이 나와 말라서 살갗에 딱지가 앉은 것.
결가(結 ) ; 적취의 하나.
결계(結悸) ; 맥이 뛰다가 한번씩 건너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
결구삼화탕( 矩三和湯) ; [참조] 삼화탕
결기(結氣) ; 기가 몰려 뭉친 것.
결대(結代) ; ①결맥과 대맥을 합해서 이르는 말. ②더디고 고르지 못하게 뛰는 맥. ③경맥의 기운이 잘 통하지 않아서 맥이 고르지 못한 것.
결독(決瀆) ; 수도(몸 안의 수분이 돌아가는 길)를 잘 통하게 한다는 말.
결독(結毒) ; 독이 한 곳에 몰린 것.
결독도발(結毒倒發) ; 매독이 일시적으로 나은 것처럼 보이다가 다시 심하게 나타나는 것. [참조] 양매결독.
결독지관(決瀆之官) ; [동의어] 삼초.
결락(結絡) ; ①피가 잘 통하지 않고 울결되어 있는 낙맥. ②뼈와 근육을 연결하는 힘줄.
결력(結 ) ; 겨드랑이에 생긴 나력이 오래된 것.
결류자(結留子) ; [동의어] 헛개나무열매.
결맥(結脈) ; 더디게 뛰면서 때로 한번씩 멎었다가 뛰는 맥으로 음맥에 속한다.
결명산(決明散) ; 풍열로 예막이 생긴 데, 눈에 군살이 생기면서 눈알이 깔깔하고 잘 보이지 않으며 가려운 데 쓰는 동약처방.
결명씨 ; [동의어] 결명자, 환동자. 콩과에 속하는 결명초(Cassia obtussifolia L.)의 여문씨를 말린 것.
결명원(決明元) ; 간열로 오는 눈병과 음이 허하여 생긴 예막에 쓰는 동약처방.
결명자(決明子) ; [동의어] 결명씨.
결명차 ; 눈이 어두운 데, 청맹, 늙은이의 변비증, 여러 가지 피나기, 머리아픔, 고혈압병, 내장기능이 약할 때 쓰는 동약차.
결명탕(決明湯) ; 혈관동인(눈동자에 피가 진 것)에 쓰는 동약처방.
결명퇴예산(決明退 散) ; 어린이가 풍열독으로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결분(缺盆) ; ①족양명위경의 혈. ②[동의어] 임맥의 천돌혈. ③꺾쇠뼈웃오모기.
결분골(缺盆骨) ; [동의어] 쇄골.
결분저(缺盆疽) ; [동의어] 두저.
결설(結舌) ; [동의어] 연설.
결순(缺脣) ; [동의어] 언청이, 토순.
결양(結陽) ; ①양기가 몰려서 퍼지지 못하는 것. ②팔다리가 붓는 증.
결엽(結 ) ; [동의어] 수엽.
결옹두(結癰頭) ; 헌데에서 독이 제일 많이 몰린 곳.
결유(缺乳) ; 산후 유즙불행.
결음(結陰) ; 옛날 병 이름의 하나. 대변에 피가 많이 섞여 나오는 증.
결음단(結陰丹) ; 배와 손발이 차고 음식을 먹지 못하며 소화가 안되고 장풍, 장독으로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결자산지(結者散之) ; 몰리고 쌓인 것을 삭이고 흩어지게 하는 치료법.
결장(結腸) ; [동의어] 변비. ①창자 속이 막혀서 통하지 않는 것. ②맹장과 직장 사이의 대장.
결절성홍반(結節性紅斑) ; 주로 정강이 신측 살가죽 밑에 결절을 형성하는 급성염증성 피부질병의 하나.
결정부(潔淨腑) ; 이뇨약으로 방광(하초)에 있는 사기를 없애는 방법.
결찰법(結 法) ; [동의어] 전찰법. 실이나 고무줄 등으로 치핵, 식육치, 사마귀등 도드라진 것을 떨어져 나가게 하는 외치법의 하나.
결통(結痛) ; 무엇이 뭉쳐 있는 것 같으면서 아픈 것.
결해(結咳) ; 애써 기침해도 가래가 나올 것 같으면서 나오지 않거나 약간 나오는 것.
결핵(結核) ; ①몸의 일정한 부위에 뜬뜬한 멍울이 생긴 것. ②결핵균의 감염에 의하여 생기는 만성 전염병.
결핵색이(結核塞耳) ; [동의어] 정이(귀지마개).
결혈(結穴) ; 경맥의 기운이 끝나는 데 있는 침혈.
결후(結喉) ; [동의어] 후결, 갑상연골 부위.
결후옹(結喉癰) ; [동의어] 맹저. 후두의 앞 갑상연골 부위에 생긴 옹.
결흉(結胸) ; ①사기가 가슴속에 몰려서 명치 밑이 그득하고 아프며 만지면 뜬뜬한 감이 있는 증. ②사기가 가슴속에 몰려 뭉친 것.
겸(鉗) ; 귀구슬 앞 아래에 해당하는 곳. 입을 벌릴 때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는 곳.
겸( ) ; [동의어] 허구리. 허리의 양쪽 12번째 갈비뼈 아래에 해당하는 부위.
겸경골( 脛骨) ; [동의어] 정강이뼈, 행골.
겸두(兼杜) ; [동의어] 띠뿌리.
겸방(兼方) ; 작용이 같지 않은 약제들을 한 처방에 같이 넣어 쓰는 것.
겸병(兼竝) ; 한 장기가 허해서 두 방면으로 억제를 받는다는 것.
겸세법(鎌洗法) ; 삼릉침으로 병조 부위를 가볍게 찌르거나 긁고 씻어내는 안과적 수술방법. [참조] 오징어뼈 마찰술.
겸증(兼證) ; 병증이 겸해 있는 것.
겸창(謙瘡) ; 허구리에 난 헌데.
겸태목증(兼胎目症) ; 임신과 관련하여 생기는 눈병.
겸형(兼形) ; 한몸에 남자와 여자의 형체를 겸한 기형아. [참조] 박기.
겹법 ; 안마법의 하나.
경(庚) ; ①천간의 일곱번째. ②경방, 경시.
경(炅) ; 열이나 서열.
경(莖) ; ①남자의 외생식기인 음경. ②줄기, 약초의 줄기나 뿌리줄기 등.
경(脛) ; ①[동의어] 정강이. 무릎 아래에서 발목 위까지. ②굵은정강이뼈(경골).
경(痙) ; [동의어] 경증. 근육이 경련성으로 오그라드는 것.
경(經) ; ①[동의어] 달거리. ②[동의어] 경락, 경맥. ③경맥의 5유혈의 하나.
경(頸) ; ①목의 앞부분과 옆부분. ②[동의어] 목.
경(驚) 7정의 하나. 놀라는 것. 이상한 물체, 소리, 빛 등이 뜻밖에 부닥쳐서 순간적으로 놀라면서 정신이 아뜩해지는 것.
경간(驚癎) ; ①급경풍의 발작 정도. ②전간의 하나로 무섭고 놀라서 크게 울면서 전간발작이 나타나는 것. ③넓은 의미에서 경풍, 전간의 여러 가지 병증.
경감(驚疳) ; [동의어] 심감.
경거(經渠) 수태음폐경의 혈. 경격소(驚膈嗽) 어린이 경풍 때 경련이 멎은 다음 기침이 생긴 병증. 경격토(驚膈吐) [동의어] 소아경토. 경경(頸硬) [동의어] 두항경. 경계(驚悸) ; 놀라서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잘 놀라고 무서워하며 불안해 하는 병증. [참조] 심계.
경골(京骨) ; ①제5발몸발가락마디 밑의 도드라져 올라온 부위. ②혈 이름.
경골(脛骨) ; [동의어] 한골, 성골. 굵은정강이뼈, 정강이의 엄지발가락 쪽에 있는 굵은 뼈.
경골(頸骨) ; [동의어] 천주골(제4, 5, 6경추).
경공(驚恐) ; ①놀라는 것과 겁내는 것을 합해서 이른 말. ②무서워하고 잘 놀라는 증상.
경공경풍(驚恐驚風) ; 급경풍의 하나.
경궐(驚厥) ; ①갑자기 몹시 놀라서(심한 정신적 자극) 정신을 잃고 넘어지며 몸이 싸늘해지는 것. ②어린이 경풍증상의 하나.
경근(經筋) ; [동의어] 십이경근. 힘줄에 분포된 경맥.
경금(經芩) ; [동의어] 속썩은풀.
경금(經禁) ; 해당 경맥의 병에 써서는 안되는 치료법.
경기(炅氣) ; [동의어] 열기.
경기(經紀) ; 경맥이 세로 나가는 것(경)과 가로 나가는 것(기).
경기(經氣) ; ①경맥 속을 돌아가는 기. ②[동의어] 진기, 정기. ③[동의어] 달거리.
경기(經期) ; [동의어] 신기. ①달거리 주기. 정상주기는 30일 또는 28일이며 때로 25일 주기, 35일 주기 등도 있다. ②달거리를 하는 기간.
경기(驚氣) ; ①경풍을 일으키게 하는 기운. ②[동의어] 경풍.
경기낙후(經期落候) ; [동의어] 월경후기.
경기복통(經期腹痛) ; 주기적으로 달거리가 시작되어 피가 보일 때에 가장 심한 배아픔이 있곤 하는 것. [참조] 월경통.
경기부조(經期不調) ; [동의어] 월경부조.
경기원(驚氣元) ; 몹시 놀라서 정신을 잃었던 일이 있고 난 후부터 간질을 일으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경기착후(經期錯候) ; [동의어] 월경후기.
경기초전(經期超前) ; [동의어] 월경선기.
경기퇴후(經期腿候) ; [동의어] 월경후기.
경단(經斷) [동의어] ; 경수단절.
경단복래(經斷復來) ; [동의어] 경단복행.
경단복행(經斷復行) ; [동의어] 경단복래. 폐경 후 6달 이상 지나서 다시 피가 보이곤 하는 것.
경담(驚痰) ; 담음의 하나. 놀란 것으로 하여 담이 가슴이나 배에 뭉쳐서 생긴 병증.
경두(驚痘) ; 두창을 앓을 때에 경풍이 이는 것.
경락(經絡) ; 몸 안에서 기혈이 순환하는 통로.
경락감전현상(經絡感傳現象) ; 혈부위를 자극할 때 나타나는 감각이 경락순행로를 따라 전도되는 현상.
경락민감현상(經絡敏感現象) ; 침, 뜸, 안마 등으로 자극을 줄 때 감각(경락감전현상)이 민감하게 나타나는 상태.
경락변증(經絡辨證) ; 변증의 하나. 경맥의 장애로 나타나는 증상들을 종합분석하여 어느 경맥의 병증인가를 가려내는 것.
경락상(經絡傷) ; 외상으로 경락이 상한 것.
경락지기(經絡之氣) ; 경맥 속을 돌아가는 기. [참조] 경기.
경락지해(經絡之海) ; 경락의 혈이 모이는 곳으로서 충맥과 임맥을 이르는 말.
경락한(經絡汗) ; 경락이 분포되어 있는 곳에서 나는 땀.
경락현상(經絡現象) ; 경락이 순행하는 부위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생리적 및 병리적 현상.
경란(經亂) ; [동의어] 경행선후무정기.
경란불임(經亂不姙) ; 불임증의 하나. 달거리가 고르지 않으면서 임신을 못하는 증.
경래관구토(經來慣嘔吐) ; [동의어] 경래구토.
경래광언섬어(經來狂言 語) ; [동의어] 경래발광. 달거리 때에 헛소리를 하며 사람을 가려보지 못하는 병증.
경래구토(經來嘔吐) ; [동의어] 경래관구토.
경래단속(經來斷續) ; 달거리 때 피가 멎은 것 같다가는 다시 보이곤 하는 증.
경래미진복통(經來未盡腹痛) ; ①달거리 때 배아픔. ②[동의어] 행경기통.
경래발광(經來發狂) ; [동의어] 경래광언섬어.
경래발열(經來發熱) ; [동의어] 경행발열.
경래부지(經來不止) ; [동의어] 경루.
경래설사(經來泄瀉) ; [동의어] 경행설사.
경래요복통(經來腰腹痛) ; 달거리 때마다 허리와 아랫배 아픔이 심하게 있곤 하는 것. [참조] 통경(痛經).
경래토혈(經來吐血) ; 주기적으로 달거리 때마다 피를 게우는 병증. [참조] 역경.
경량(經量) ; 달거리 때마다 나오는 피의 양.
경력(頸 ) ; [동의어] 나력.
경루(經漏) ; [동의어] 경맥부지, 월수부절.
경리(驚痢) 소아8리의 하나.
경마자( 麻子) ; [동의어] 어저귀씨.
경맥(經脈) ; 기혈이 순환하는 기본 통로.
경맥(頸脈) ; 후두 옆에서 뛰는 맥.
경맥부조(經脈不調) ; [동의어] 월경부조.
경맥부지(經脈不止) ; [동의어] 경루.
경맥불통(經脈不通) ; [동의어] 경폐.
경맥불행(經脈不行) ; [동의어] 경폐.
경맥지해(經脈之海) ; [동의어] 십이경지해, 충맥.
경면설(鏡面舌) ; [동의어] 설면여경. 혀이끼는 없으면서 혓바닥이 거울처럼 번들거리는 혀.
경면주사(鏡面朱砂) ; [동의어] 주사.
경모(脛毛) ; 정강이에 난 털.
경문(京門) ; [동의어] 신모, 기부, 기유. 족소양담경의 혈. 신의 모혈.
경물(莖物) ; 남자의 외생식기인 음경.
경미 ; [참조] 멥쌀.
경방(庚方) ; 24방위의 하나, 곧바른 서쪽에서부터 남쪽으로 15도 되는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위.
경벽(驚癖) ; 어린이의 옆구리 밑에 덩이가 생긴 병증.
경별(經別) ; [동의어] 십이경별. 12경맥(12정경)에서 갈라진 경맥.
경병(痙病) ; [동의어] 경증(痙證).
경병(經病) ; [동의어] 경증(經證).
경병사천조(痙病似天釣) ; 급경풍유증의 하나.
경부조(經不調) ; [동의어] 월경부조.
경분(輕粉) ; [동의어] 수은분, 흥분, 이분, 초분. 염화 제1수은을 주성분으로 하여 만든 수은 화합물.
경붕(經崩) ; [동의어] 붕루. 달거리와는 관계없이 혹은 달거리 때에 성기로부터 많은 피가 나오는 것.
경사(經事) ; [동의어] 월경.
경사(驚瀉) ; 소아설사의 하나로 젖먹이 어린이들에게서 흔히 보는데 하루에 여러 번 푸른 색을 띤 대변을 누며
배가 아파 울며 자다 놀라 깨고 얼굴과 입술이 퍼런 증세.
경사래사다(經乍來乍多) ; [동의어] 월경과다.
경사래사소(經乍來乍少) ; [동의어] 월경과소.
경산(驚産) ; [동의어] 경생.
경삼릉(京三 ) ; [동의어] 매자기.
경색(經色) ; [동의어] 달거리 피의 색.
경생(驚生) ; [동의어] 경산. 옛날에 해산할 때 공포감, 불안감을 느끼면서 순산하지 못하는 것.
경선윤조(輕宣潤燥) ; ①윤조법의 하나. ②질량이 가볍고 떠오르는 성질이 있는 약으로 폐기를 퍼지게 하고 눅여준다는 뜻.
경선폐기(輕宣肺氣) ; ①질량이 가벼운 약으로 표에 있는 열을 없애는 방법. ②질량이 가벼운 약으로 폐기를 퍼지게 한다는 뜻.
경세(頸細) ; 어린이의 목이 가늘어서 머리를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증.
경수(涇 ) ; ①대변과 오줌. ②[동의어] 오줌. ③달거리와 오줌.
경수(莖垂) ; [동의어] 음경과 고환을 합해서 이른 말.
경수(經水) ; [동의어] 달거리.
경수(經隧) ; ①경락이 통하는 길. 경맥의 한 종류. ②몸에서 기혈이 통하는 길이라는 뜻과 5장과 6부가 서로 연계되는 대락이라는 뜻. [참조] 대락
경수(驚水) ; 경풍 때 몸이 붓는 증.
경수건기(經水愆期) ; [동의어] 경행선후무정기.
경수단절(經水斷絶) ; [동의어] 경단, 절경, 폐경. 생리적으로 달거리가 없어지는 것.
경수무상(經水無常) ; [동의어] 월경부조.
경수부삽(經水否澁) ; [동의어] 월경과소.
경수부정(經水不定) ; [동의어] 월경부조.
경수부조(經水不調) ; [동의어] 월경부조.
경수부지(經水不止) ; [동의어] 경행부지. 달거리 때마다 달거리 지속 날짜가 너무 길어지는 병증.
경수불리(涇 不利) ; 대소변을 잘 누지 못하는 것.
경수불리(經 不利) ; 달거리 장애와 오줌을 누지 못하는 것을 합해서 이르는 말.
경수불리하(經水不利下) ; 어혈로 생긴 경폐.
경수불통(經水不通) ; [동의어] 경폐.
경수불행(經水不行) ; [동의어] 경폐.
경수삽소(經水澁少) ; [동의어] 월경과소.
경수선기(經水先期) ; [동의어] 월경선기.
경수선후무정기(經水先後無定期) ; [동의어] 경행선후무정기.
경수일월재행(經水一月再行) ; [동의어] 월경선기.
경수절(經水絶) ; [동의어] 경수단절.
경수후기(經水後期) ; [동의어] 월경후기.
경시(庚時) ; 지난날에 쓰던 24시간 가운데서 열여덟번째 시간. 오후 4시 반부터 5시 반까지.
경시(經始) ; [동의어] 족소음신경의 소충혈.
경신(經信) ; [동의어] 월경.
경실( 實) ; [동의어] 어저귀씨.
경양화(驚羊花) ; [동의어] 철쭉꽃.
경열(驚熱) ; 열이 나다가 놀라는 증.
경열야제(驚熱夜啼) ; 갓난아이가 경열로 밤에 우는 증. [참조] 열야제.
경오(驚 ) ; 경풍(驚風)과 객오증을 합해서 부른 이름.
경옥고(瓊玉膏) ; 정과 수를 불려주고 기혈을 보하여 늙는 것을 막고 몸을 든든하게 하며 허로로 머리카락이 일찍 희어지는 등의 증세에 쓰는 동약처 방.
경옹(頸癰) ; 목에 생긴 옹.
경외기혈(經外奇穴) ; [동의어] 기혈, 경외혈. 14경맥에 소속시키지 않은 혈.
경외혈(經外穴) ; [동의어] 경외기혈.
경울(經鬱) ; ①경맥에 기가 몰려서 막힌 것. 경기가 몰린 것. ②달거리 때 피가 잘 나오지 않는 것.
경월불리(經月不利) ; [동의어] 월경부조.
경유(經兪) ; ①[동의어] 경혈. ②5유혈의 경혈과 유혈을 합한 말.
경자(經刺) ; ①옛날에 쓰던 9가지 침놓는 방법의 하나. ②어떤 경맥에 병이 생겼을 때 해당한 경맥의 침혈에 침을 놓는 법.
경자평지(驚者平之) ; 마음과 정신이 불안하여 잘 놀라는 것은 진정시키는 원칙에서 치료해야 한다는 치료원칙의 하나.
경저(擎疽) ; [동의어] 수심독.
경적(驚積) ; 적체의 하나로 어린이가 때로 퍼런 색을 띤 설사를 하며 답답해 하고 혼자서 중얼거리고 성난 것같이 하고 있다.
경전변혈(經前便血) ; 주기적으로 달거리 하기 직전에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
경전복통(經前腹痛) ; 달거리 하기 직전에 아랫배 아픔이 심하게 있다가 달거리를 한 다음에는 배아픔이 없어지곤 하는 것.
경전토뉵(經前吐 ) ; 주기적으로 달거리 하기 직전에 입이나 코에서 피가 나오곤 하는 병증. [참조] 역경.
경절(經絶) ; 달거리가 폐경기에 이르러 중단된 것.
경제(輕劑) ; 10제, 12제, 18제의 하나로 질량이 가벼우면서 사기를 발산시키는 작용을 하는 약재와 약제들.
경제(驚啼) ; [동의어] 태경야제. 간담의 기가 부족한 어린이가 자다가 갑자기 울고 불안해 하고 얼굴색이 퍼래졌다 희었다 하며
잘 때 눈을 뜨고 자며 지문이 푸르거나 은은하게 나타나는 야제증의 하나.
경조(經早) ; [동의어] 월경선기.
경조(驚釣) ; [동의어] 내조.
경조(驚躁) ; 놀라서 속이 답답하고 안절부절 못하는것.
경조제(驚釣啼) ; 경풍으로 우는 증.
경종(莖縱) ; [동의어] 음종(陰縱).
경종(經終) ; [동의어] 맥종(脈終).
경종구비출(經從口鼻出) ; [동의어] 역경.
경종상역(經從上逆) ; [동의어] 역경.
경주독(擎珠毒) ; [동의어] 수심독.
경중(炅中) ; [동의어] 열중(熱中).
경중(經中) ; 경외기혈.
경중(驚中) ; 유중풍의 하나로 갑자기 놀라서 정신을 잃고 넘어지는 것.
경중통(莖中痛) ; [동의어] 경통(莖痛).
경즉기란(炅則氣亂) ; 지나치게 놀라면 기가 혼란된다는 것. 지나치게 놀라면 심기가 문란해지고 기혈이 조화되지 못하여 가슴이 할랑거리고
답답하며 잠을 잘 자지 못하고 숨결이 밭아지며 심하면 정신착란증상까지 나타나는 것.
경즉기설(炅則氣泄) ; [동의어] 열즉기설.
경즙혈(經汁血) ; [동의어] 월경.
경증(痙證) ; [동의어] 경병. 목덜미와 등이 뻣뻣해지면서 팔다리가 오그라들거나 몸을 뒤로 잦히는 것을 주증상으로 하는 병증.
경증(經證) ; [동의어] 경병. 경맥에 생긴 병증. 태양경, 양명경, 소양경 등 3양경에 생긴 병증.
경지(經遲) ; [동의어] 월경후기.
경지고(瓊脂膏) ; 정혈과 진액부족으로 피부가 거칠고 메마르며 윤기가 없는 데, 소갈증에 쓰는 동약처방.
경진(驚振) ; [동의어] 경진내장.
경진내장(驚振內障) ; [동의어] 경진예. 내장눈병의 하나로 눈타박, 천통창, 열 및 전기 등에 의한 손상으로 정주(렌즈체)가 흐려진 병증.
경진예(驚振 ) ; [동의어] 경진내장.
경질(驚質) ; 달거리 피의 성상.
경질(驚疾) ; [동의어] 경풍(驚風).
경창(驚瘡) ; 어린이 경풍증 때 생긴 헌데.
경척불식증(驚 不食證) ; 놀라고 겁을 내면서 잘 먹지 못하는 병증.
경천(景天) ; [참조] 꿩의비름.
경천초(景天草) ; [동의어] 꿩의비름.
경청소해(輕淸疏解) ; 질량이 가볍고 위로 떠오르는 성질이 있고 맵고 서늘한 약으로 상초풍열증을 치료하는 방법.
경초(梗草) ; [동의어] 도라지.
경추골탈구(頸椎骨脫臼) ; 목을 지나치게 구부리거나 돌린 상태에서 외력을 받았을 때 환추골의 한쪽 또는 양쪽이 탈구된 것.
경추착위(頸椎錯位) ; [동의어] 경추골탈구.
경충(頸衝) ; [동의어] 수양명대장경의 비노혈.
경치(經治) ; 자기경맥의 혈로 치료하는 것.
경칩(驚蟄) ; 24절기의 3번째. 매해 3월 5일이나 6일에 해당.
경탄(驚 ) ; 어린이가 경풍을 경과한 후에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병증.
경태(驚胎) ; 임신 말기에 외상을 받아서 배가 아픈 것.
경토(驚吐) ; [동의어] 소아경토.
경통(莖痛) ; 남자의 외생식기인 음경이 아픈 증상.
경통(經痛) ; [동의어] 월경통.
경통(輕痛) ; 경하게 아픈 것.
경퇴이암(驚退而 ) ; 경풍(驚風)을 경과한 다음 벙어리가 된 증. [참조] 경풍후아.
경폐(經閉) ; [동의어] 혈폐, 월사불래, 월폐. 달거리가 있어야 할 시기에 없는 것.
경폐부종(經閉浮腫) ; 달거리를 오랫동안 하지 않으면서 몸이 부어나는 증.
경폐불리(經閉不利) ; [동의어] 경폐.
경폐불행(經閉不行) ; [동의어] 경폐.
경포(驚怖) ; 놀라서 눈이 휘둥그래지는 것.
경풍(痙風) ; 경증이 발작할 때 몸이 뻣뻣하고 오랫동안 정신이 혼미해 있는 것.
경풍(驚風) ; [동의어] 경질. 갑자기 의식을 잃고 경련이 이는 병증.
경풍나력(驚風 瀝) ; [참조] 나력경풍.
경풍내조제(驚風內釣啼) ; 어린이 경풍 때 배가 몹시 아파서 등을 꼬부리고 우는 병증.
경풍맥(驚風脈) ; 경풍 때 나타나는 맥상.
경풍맹(驚風盲) ; 오맹악후의 하나로 어린이가 경련성 질병을 앓은 다음 보지 못하는 것.
경풍사증(驚風四證) ; ①경풍을 일으키는 4가지 원인. 경, 풍, 담, 열. ②급경풍의 4가지 증상.
경풍선견지증(驚風先見之證) ; 경풍의 전구증상. [참조] 경풍예치법.
경풍선조(驚風先兆) ; [동의어] 경풍선견지증.
경풍순구윤동(驚風脣口 動) ; 경풍 때 입술이 떨리는 증.
경풍열(驚風熱) ; 열이 나면서 경련이 이는 증. [참조] 급경풍.
경풍예조(驚風預兆) ; 경풍에 앞서 나타나는 증상. [참조] 경풍선견지증.
경풍예치법(驚風預治法) ; 경풍(급경풍, 만경풍)이 생기는 것을 미리 막는 방법.
경풍조열사학(驚風潮熱似 ) ; 어린이가 경풍을 앓은 후에 학질 때와 같이 조열이 나는 병증.
경풍팔후(驚風八候) ; 경풍 때 나타나는 8가지 증상.
경풍후아(驚風後啞) ; 경풍을 앓은 후에 벙어리가 된 증.
경피병(硬皮病) ; 피부가 점차 굳어지고 위축되는 것.
경항(頸項) ; [동의어] 발항. 경과 항을 합해서 이른 말. 경은 앞목과 옆목을 말하고 항은 뒷목(목덜미).
경해(經駭) ; 몹시 놀란 것.
경행발열(經行發熱) ; [동의어] 경래발열. 달거리 때에 열이 나는 병증.
경행변혈(經行便血) ; [동의어] 차경. 달거리 때마다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
경행복통(經行腹痛) ; [동의어] 월경통.
경행부지(經行不止) ; [동의어] 경수부지.
경행불상(經行不爽) ; [동의어] 월경과소.
경행비뉵(經行鼻 ) ; 달거리가 있어야 할 때 달거리는 없고 코피가 나는 것. [참조] 역경.
경행선기(經行先期) ; [동의어] 월경선기.
경행선후무정기(經行先後無定期) ; [동의어] 경란, 월경건기. 달거리 주기가 문란한 병증.
경행설사(經行泄瀉) ; 주기적으로 달거리 때마다 설사하는 병증.
경행신통(經行身痛) ; [동의어] 월경통.
경행육혈(經行 血) ; [동의어] 역경.
경행토혈(經行吐血) ; [동의어] 역경.
경행후기(經行後期) ; [동의어] 월경후기.
경험이방음(經驗二防飮) ; 이질을 앓은 뒤에 다리가 몹시 아프면서 무릎뼈부위가 부어서 걷지 못하는 학슬풍에 쓰는 동약처방.
경혁불어(驚*不語) ; 성나거나 놀라서 말을 하지 못하는 것.
경혈(經穴) ; ①14경맥에 속해 있는 혈. ②5유혈의 하나.
경혈(經血) ; [동의어] 월경혈.
경혈망행(經血妄行) ; ①경혈이 경맥을 따라 순조롭게 돌지 못하는 것. ②[동의어] 역경.
경혈부단(經血不斷) ; [동의어] 경루.
경혈부정(經血不定) ; [동의어] 월경부조.
경혈폭하(經血暴下) ; [동의어] 붕루. 달거리와는 관계없이 피가 지나치게 많이 나오는 성기이상출혈.
경홍반(硬紅斑) ; [동의어] 결절성 홍반.
경황(驚黃) ; 황달의 하나로 얼굴빛이 푸르고 누르며 자주 놀라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입과 혀가 마르고 누워 있기를 싫어하며
누우면 말을 하고 미쳐 날뛰며 열이 심하다.
경효산(輕效散) ; 눈에 타박을 받았거나 찔려 예막이 생겨서 아프고 보지 못하는 데, 외상성 백내장 등에 쓰는 동약처방.
경후(經候) ; [동의어] 월경.
경후( 喉) ; [동의어] 인두, 식도, 기관의 이물.
경후복통(經後腹痛) ; 달거리가 끝날 무렵이나 끝난 뒤에 아랫배가 아픈 증. [참조] 기혈허약월경통.
경후부지(經後不止) ; [동의어] 경루.
경후불균(經後不勻) ; [동의어] 월경부조.
경후불행(經後不行) ; [동의어] 경폐.
경후토뉵(經後吐 ) ; 매달 달거리가 있은 후에 코나 입으로부터 피가 나오는 증. [참조] 역경.
경휵(驚 ) ; 어린이가 놀라거나 불안해 하면서 팔다리에 경련이 이는 병증.
경휵선증(驚 先證) ; 경풍으로 경련이 일기 전에 나타나는 전구증상.
경휵오증(驚 五證) ; 경풍으로 경련이 일 때 나타나는 5가지 병증.
계(癸) ; ①천간의 열번째. ②[동의어] 계방, 계시. ③[동의어] 천계.
계(悸) ; [동의어] 심계항진.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 [참조] 심계, 경계.
계( ) ; 근맥이 켕기면서 뻣뻣해지는 증.
계(谿) ; 비교적 작은 근육들이 합쳐진 곳.
계( ) ; 아래위 이빨을 서로 마주 부딪치는 것.
계가( ) ; 가병의 하나.
계간( 癎) ; [동의어] 폐간.
계간죽( 肝粥) ; 허로 또는 음위증에 쓰는 동약죽.
계격( 格) ; [동의어] 낚시둥굴레.
계격산(啓膈散) ; 열격으로 목안과 가슴이 막힌 감이 늘 있으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은근히 아프며 음식을 넘기면 곧 게우고 입 안과 목안이 마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계경(季經) ; [동의어] 거경.
계계화( 花) ; [동의어] 맨드라미꽃.
계고( 膏) ; 몸이 허약한 사람에게 보약으로 쓰는 동약처방.
계곡( 谷,溪谷) ; ①팔다리의 기육들이 서로 접촉하는 틈새나 우묵해진 곳. ②12경맥과 거기에 있는 침혈.
계골상산( 骨常山) ; [동의어] 상산.
계골승마( 骨升麻) ; [동의어] 승마.
계공화( 公花) ; [동의어] 맨드라미꽃
계관과( 冠果) ; [동의어] 뱀딸기.
계관단( 冠丹) ; 단독의 하나.
계관창( 冠瘡) ; 자궁탈출 때 빠져 나온 국부가 벌겋게 붓고 궤양이 생긴 것.
계관치( 冠痔) ; 치질의 모양이 닭의 볏처럼 생긴 것.
계관현육( 冠 肉) ; [동의어] 해관현육. 외장눈병의 하나로 눈까풀 안쪽면(검결막)에 종물이 자라나는 병증.
계관화( 冠花) ; [참조] 맨드라미꽃.
계궁환(啓宮丸) ; 불임증이 있으면서 몸이 나고 달거리 주기가 드물어지며 달거리 양이 점차 적어지고 심하면 없어지며
흰 이슬이 많고 기운이 없으며 메스껍고 입맛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계귤자( 橘子) ; [동의어] 헛개나무열매.
계기(戒忌) ; [동의어] 금기.
계내금( 內金) ; [참조] 닭위속껍질.
계내금산( 內金散) ; 후비로 목안이 붓고 아프며 음식물을 넘기기 힘들고 목소리가 낮거나 쉬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계독(溪毒) ; [동의어] 수독.
계독( 毒) ; [동의어] 바꽃.
계동(季冬) ; 음력 섣달.
계동비(季冬痺) ; 수소음경근(手少陰經筋)의 병증후. [참조] 수소음경근.
계두실( 頭實) ; [동의어] 가시연밥.
계두환( 頭丸) ; 어린이가 여러 가지 병을 앓은 뒤에 말을 잘하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계령감로산(桂 甘露散) ; 여름철 더위로 갈증이 나고 번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오줌량이 적은 데, 곽란으로 구토와 설사가 심한 데 쓰는 동약처방.
계령감출탕(桂 甘朮湯) ; [동의어] 영계출감탕.
계령백출산(桂 百朮散) ; 더위를 먹어 생긴 곽란으로 게우고 설하며 번갈이 심하고 맥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참조] 계령감로산.
계령탕(桂 湯) ; 혈분에 열이 있어 팔다리가 벌겋게 붓고 오줌을 잘 누지 못하며 뒤가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계륵(季肋) ; [동의어] 계협(제11, 12갈비삭뼈가 있는 부위).
계마각반탕(桂麻各半湯) ; [동의어] 계지마황각반탕. 태양병 때 오한과 열이 나며 머리가 아프고 목덜미가 뻣뻣하며 맥이 약하고 몸이 가려운 데 쓰는 동약처방.
계맥( 脈) ; [동의어] 자맥, 체맥. 수소양삼초경의 혈.
계맹( 盲) ; [동의어] 작목내장.
계명( 鳴) ; 새벽 1시부터 3시까지.
계명산( 鳴散) ; 타박으로 어혈이 생겨 가슴이 답답한 데 쓰는 동약처방.
계명초 ; [참조] 께묵.
계명환( 鳴丸) ; 폐허증으로 기침을 하면서 숨이 차고 피가래가 나오는 데와 폐결핵, 폐농양, 기관지확장증 등 때 쓰는 동약처방.
계몽안( 蒙眼) ; [동의어] 작목, 야맹증. 날이 어두워지면 잘 보지 못하는 것.
계방(癸方) ; 24방위의 하나.
계병(繼病) ; [동의어] 기병.
계부곽진이중탕(桂附藿陳理中湯) ; 소음인이 곽란으로 게우고 설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계부탕(桂附湯) ; 양허로 저절로 나는 땀이 멎지 않는 데와 아랫배가 늘 차면서 비린내 나는 흰 이슬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계분독( 糞禿) ; [동의어] 백독창.
계비각반탕(桂婢各半湯) ; 태양병으로 오한이 있으며 열이 몹시 나고 머리가 아프며 목덜미가 뻣뻣한 증상이 있으면서 맥이 미약한 데 쓰는 동약처방.
계비산(啓脾散) ; 어린이가 앓고 나서 몸이 허약해진 데 몸조리를 위해 쓰는 동약처방.
계비원(啓脾元) ; 비위불화로 소화가 안되면서 속이 트적지근하고 명치 밑이 뜬뜬하며 배가 끓고 아프며 설하는 데와 만성위염, 만성소화불량증 때 쓰는 동약처방.
계비치리황피( 裏黃皮) ; [동의어] 닭위속껍질.
계비치산( 散) ; 방광이 허해서 저절로 오줌이 나가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계비환(啓脾丸) ; 어린이가 감질로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게우며 배가 불러 오르고 아프며 설하고 얼굴색이 누렇게 되는 데, 자주 체기를 받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계비환( 丸) ; 급성 및 만성 위염, 위처지기로 배에서 물소리가 나며 소화가 안되고 입맛이 없으며 배가 조금씩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계삼고( 蔘膏) ; 소음인의 이질과 학질에 쓰는 동약처방.
계삼탕( 蔘湯) ; 닭을 잡아서 내장을 빼버리고 그 속에 인삼을 넣고 고아서 먹는 보약의 한 가지. 닭곰을 해먹는 것.
계설초( 舌草) ; [동의어] 닭개비.
계설향산( 舌香散) ; 한랭으로 명치 밑이 차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계소( 蘇) ; [동의어] 석잠풀.
계소산( 蘇散) ; 폐열로 코피가 자주 나며 때로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계소환( 蘇丸) ; 허열로 정신이 혼미하고 몸이 나른하며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거나 코피가 나오는 데, 폐가 손상되어 피를 게우며 점차 기운이 없고
기침을 하며 숨이 차고 가래가 나오며 입맛이 없고 오싹오싹 춥고 미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계수(癸水) ; [동의어] 월경(月經).
계수(桂樹)나무 ; [참조] 육계나무.
계순피( 皮) ; [동의어] 닭위속껍질.
계시(癸時) ; 지난날에 쓰던 24시간 가운데서 두번째 시간. 밤 0시 반부터 1시 반까지.
계시( 矢) ; [동의어] 계시백.
계시백( 屎白) ; [동의어] 계시. 닭의 똥에서 색이 흰 부분.
계심(桂心) ; 계피의 겉껍질(코르크층)을 깎아버린 것.
계심채( 心菜) ; [동의어] 냉이.
계심치( 心痔) ; 치질의 모양이 닭의 염통처럼 생긴 것.
계심통(悸心痛) ; [동의어] 허심통, 계통. 심통의 하나로 명치부위가 아프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며 아픔이 있었다 멎었다 하고
아픈 곳을 눌러주면 시원해 하며 음식을 먹으면 아픔이 덜어지고 배가 고프면 심해지며 맥은 허약하다.
계안( 眼) ; [동의어] 육자, 티눈. 피부병의 하나.
계온(溪溫) ; [동의어] 수독.
계원육(桂圓肉) ; [동의어] 용안열매살(龍眼肉, 원안).
계월(桂月) ; [동의어] 계추. 음력 8월.
계육( 肉) ; [참조] 닭고기.
계임(桂荏) ; [동의어] 차조기.
계자 ; [동의어] 겨자(개자).
계자( 子) ; [동의어] 달걀.
계자백( 子白) ; [동의어] 달걀 흰자위.
계자청( 子淸) ; [동의어] 달걀 흰자위.
계자탕( 子湯) ; 곽란으로 게우고 설하면서 속이 답답하고 안타까운 데 쓰는 동약처방.
계자황( 子黃) ; 달걀 노른자위.
계장낭독( 腸狼毒) ; [동의어] 흰버들옻.
계장산( 腸散) ; 방광이 허랭하여 생긴 밤오줌증, 오줌소태 등에 쓰는 동약처방.
계장초( 腸草) ; [동의어] 토방풀.
계저주면( 猪酒麵) ; 지난날 동약을 먹을 때 병증에 따라 꺼리던 음식인 닭고기, 돼지고기, 술, 메밀국수 등 4가지를 합해서 이른 말.
계제근( 齊根) ; [동의어] 칡뿌리.
계조삼릉( 爪三稜) ; 닭의 발처럼 생긴 삼릉. [참조] 매자기.
계조풍( 爪風) ; [동의어] 부인계조풍. 해산한 뒤에 손발이 오그라드는 병증.
계족( 足) ; [동의어] 산수유.
계족자( 足刺) ; 옛날에 쓰던 침법인 5자의 하나.
계족침( 足針) ; [동의어] 합곡자.
계족침법( 足針法) ; [동의어] 합곡자.
계종( ) ; [동의어] 추휵, 휵닉, 추풍. 힘줄이 뻣뻣해지면서 오그라들거나 늘어지는 증상이 엇바뀌면서 오랫동안 되풀이되는 증.
계죽탕[당]개(桂竹糖芥) ; [동의어] 쑥부지깽이.
계지(季指) ; [동의어] 새끼손가락.
계지(桂枝) ; [참조] 계피나무가지.
계지감초용골모려탕(桂枝甘草龍骨牡蠣湯) ; 화역(火逆)증을 잘못 치료한 탓으로 심양이 손상되어 가슴이 답답하고 안타까워하며 불안해 하고
잘 놀라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무서움을 타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계지감초탕(桂枝甘草湯) ; 풍한을 받아 가슴이 두근거리고 몸이 떨리며 맥이 고르지 못한 데, 열성 질병을 앓고 난 뒤 결대맥이 나타나는 데,
상한 태양병 때에 땀을 지나치게 내어 가슴이 두근거리며 불안해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계지강부탕(桂枝薑附湯) ; 한사를 받아 몸이 차고 손발이 시릴 뿐 아니라 허리에 힘이 없고 당기며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계지강활탕(桂枝羌活湯) ; 태양학으로 열이 나고 땀이 절로 나면서 머리와 목덜미가 아프고 허리와 등이 뻣뻣한 데 쓰는 동약처방.
계지거작약탕(桂枝去芍藥湯) ; 태양병 때 잘못 설사를 시킨 탓으로 표증이 풀리지 않고 가슴이 그득하며 답답한 데 쓰는 동약처방.
계지고주탕(桂枝苦酒湯) ; [동의어] 계지황기탕.
계지도인탕(桂枝桃仁湯) ; 한습으로 배꼽 주위와 아랫배가 차고 아프면서 달거리가 없거나 달거리 전에 배가 몹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계지마황각반탕(桂枝麻黃各半湯) ; [동의어] 계마각반탕.
계지반하생강탕(桂枝半夏生薑湯) ; 소음인이 허한으로 게우거나 결흉증이 생긴 데 쓰는 동약처방.
계지복영환(桂枝茯 丸) ; [동의어] 탈명환.
계지부자탕(桂枝附子湯) ; 상한으로 오싹오싹 춥고 열이 나며 머리가 아프면서 땀이 많이 나며 바람을 싫어하고 팔다리가 당기면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계지사칠탕(桂枝四七湯) ; 찬 기운을 받아서 손발이 차고 소화가 안되며 배가 몹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계지용골모려탕(桂枝龍骨牡蠣湯) ; 밤오줌증, 유정이 있고 식은땀이 나는 데, 아랫배가 당기고 음낭부위가 찬 데, 음위증 등에 쓰는 동약처방.
계지인삼탕(桂枝人蔘湯) ; 상한병 때 명치 밑이 그득하고 답답한 데, 태양표증 때 잘못 설사시켜 설사가 멎지 않고 명치 밑이 그득하면서 뜬뜬한 데 쓰는 동약처방.
계지탕(桂枝湯) ; 태양병으로 오싹오싹 춥고 바람을 싫어하며 열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때없이 저절로 땀이 나고 코가 메며 팔다리가 아픈 데,
갑자기 놀라서 기가 통하지 못하여 옆구리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계지홍화탕(桂枝紅花湯) ; 달거리 때나 해산한 뒤에 열이 혈실(血室)로 들어가거나 혈결흉 등이 생겨 가슴과 아랫배 혹은 옆구리에 뜬뜬한 감이 있으면서
몹시 아프며 밤에 열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며 진정하지 못하는 등의 증상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계지황기탕(桂枝黃 湯) ; [동의어] 황기계지탕, 계지고주탕. 온몸에 황달이 오면서 누런 땀이 나며 몸이 붓고 열이 나며 갈증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계추(季秋) ; [동의어] 음력 9월.
계추(桂秋) ; [동의어] 계월(음력 8월).
계추비(季秋痺) ; 족궐음경근의 병증후. [참조] 족궐음경근.
계춘(季春) ; [동의어] 음력 3월.
계춘비(季春痺) ; 족양명경근의 병증후. [참조] 족양명경근.
계통(悸痛) ; [동의어] 계심통.
계통(繼痛) ; ①병을 잇달아서 앓는 것. ②아픔이 계속되는 것.
계폐치산( 散) ; 어린이가 방광이 차서 잘 때 오줌을 누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계피(桂皮) ; [동의어] 육계. 녹나무과에 속하는 계피나무 곧 육계나무(Cinnamomum cassia Blume)의 가지껍질을 말린 것.
계피나무 ; [동의어] 육계나무.
계피나무가지 ; [동의어] 계지. 녹나무과에 속하는 계피나무의 어린 가지를 말린 것.
계피나무가지껍질 ; [참조] 계피.
계하(季夏) ; [동의어] 음력 6월.
계하비(季夏痺) ; 수소양경근의 병증후. [참조] 수소양경근.
계해(癸亥) ; [동의어] 경외기혈인 요한혈.
계해( 咳) ; [동의어] 역해.
계향산(桂香散) ; 비위허한으로 오는 배아픔, 풍사를 받아 머리가 아프고 귓속이 가려우면서 안 들리는 데, 해산 후에 아랫배가 몹시 아픈 데 등에 쓰는 동약처방.
계혈(谿穴) ; [동의어] 족양명위경의 귀래혈.
계혈등( 血藤) ; [동의어] 혈풍등. 콩과의 삼엽계혈등(Spatholobus suberectus Dunn.)의 줄기를 말린 것.
계협(季脇) ; ①[동의어] 연륵. 제11, 12갈비삭뼈가 있는 부위. ②[동의어] 족궐음간경의 장문혈.
계협통(季脇痛) ; 협통의 하나로 간기가 허할 때는 잘 놀라면서 아픔이 멎지 않고 잘 보이지 않으며 귀울음이 있다.
계화(戒火) ; [동의어] 꿩의비름.
계황( 黃) ; 온몸과 손톱이 푸르고 누르며 말이 많고 꿈에 헛것이 보이며 혹 스스로 웃고 말하기도 하는 황달의 하나.
계흉( 胸) ; [동의어] 구흉.
'대체요법 > 동양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의학 사전 (구 ~귤홍삼하탕) (0) | 2010.06.03 |
---|---|
한의학사전 - 고 ~ 교회혈 (0) | 2010.06.03 |
한의학사전 (0) | 2010.06.03 |
4대의서 (0) | 2010.06.02 |
"침 효과 과학적으로 입증"<美연구진> (0) | 2010.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