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요법/동양의학

한의학사전

나비채 2010. 6. 3. 12:46

 가 ~ 갱의

가(痂) : [동의어] 가피, 헌데 딱지. [참조] 결가(結痂). 가( ,假) 징가에 속하는 증. [참조] 징가.

가감(加減) : 약의 가짓수나 분량을 늘리거나 덜어주는 것.

가감내고환(加減內固丸) : 신양부족으로 얼굴에 핏기가 없고 어지러우며 허리, 손발, 음낭이 차고 성기능장애에 쓰는 동약처방.

가감도담탕(加減導痰湯) : 중풍으로 담이 성하여 말을 하지 못하며 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감백출산(加減白朮散) : 소갈 때 비위가 허약하여 입맛이 없고 갈증이 나며 몸이 여위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감백통탕(加減白通湯) : 침한고랭으로 인해 배꼽 주위가 차고 아프며 설하고 발에서 정강이까지 차 올라올 때 쓰는 동약처방.

가감보심탕(加減補心湯) : 기혈부족으로 몸이 허약하면서 건망증이 있을 때 쓰는 동약처방.

가감보음환(加減補陰丸) : 음허로 미열이 나며 얼굴에 핏기가 없고 피곤해 하며 허리가 아플 때 쓰는 동약처방.

가감보화환(加減保和丸) : 음식에 체해서 가슴과 명치 밑이 아프면서 여러 증상이 동반될 때 쓰는 동약처방.

가감복령환(加減茯?丸) : 습담으로 어깨뼈마디가 아프고 잘 쓰지 못할 때 쓰는 동약처방.

가감사군자탕(加減四君子湯) : 오랜 병으로 위가 허하여 음식을 먹지 못할 때 쓰는 동약처방.

가감사근원(加減四斤元) : [동의어] 녹용사근환.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 : [동의어] 보음사화탕. 소갈증, 당뇨, 산후 풍열에 쓰는 동약처방.

가감소독음(加減消毒飮) : 어린이가 목안이 붓고 아플 때, 온몸에 헌데가 날 때 쓰는 동약처방.

가감소시호탕(加減小柴胡湯) : 간, 담의 열과 심열로 손발바닥이 달아 오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감시령탕(加減柴?湯) : 습열로 산증이 생겼을 때, 서혜헤르니아 때 쓰는 동약처방.

가감신기환(加減腎氣丸) : 하소증으로 입 안이 마르고 흐린 오줌을 누며 다리가 여위는 데, 중증인 당뇨병 때 쓰는 동약처방.

가감양격산(加減凉膈散) : [동의어] 길경탕. 상초에 열이 있어 가슴이 답답하며 기침이 나고 숨이 찬 데, 급성기관지염에 쓰는 동약처방.

가감온담탕(加減溫膽湯) : 담으로 정신이 흐린 때, 기 울결로 심계, 정충이 있고 무서움을 타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감온륙환(加減溫六丸) : 어린이 설사와 복통에 쓰는 동약처방.

가감용회환(加減龍?丸) : 담화가 치밀어 올라 귀에서 소리가 날 때 쓰는 동약처방.

가감위령탕(加減胃?湯) : 만성위장염, 만성콩팥염, 복수,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변에 쓰는 동약처방.

가감유령탕(加減?湯) : 곽란으로 열이 나고 복통, 설사, 갈증이 날 때, 급성위장염에 쓰는 동약처방.

가감이중탕(加減理中湯) : 위한증으로 자주 멀건 물을 게울 때 쓰는 동약처방.

가감이진탕(加減二陳湯) : 여러 담증으로 인한 발열, 울기오름, 가슴답답증, 기침, 기관지염, 급성위장염 등 때에 쓰는 동약처방.

가감익기탕(加減益氣湯) : 오랜 이질로 인한 허약, 복통, 입맛이 없고 뒤가 묵직할 때, 만성대장염에 쓰는 동약처방.

가감정기산(加減正氣散) : 곽란으로 게우고 설사할 때, 급성위장염에 쓰는 동약처방.

가감주경원(加減駐景元) : 간, 신이 허하여 생기는 눈과 관련된 질병이 있을 때 쓰는 동약처방.

가감진심단(加減鎭心丹) : 기혈부족으로 인한 심신장애, 심신신경증에 쓰는 동약처방.

가감칠기탕(加減七氣湯) : 기울로 인한 소화장애, 명치 밑이 트적지근하고, 헛배가 부르면서 게울 때 쓰는 동약처방.

가감팔물탕(加減八物湯) : 적백대하에 쓰는 동약처방.

가감팔미원(加減八味元) : [동의어] 가감팔미환.

가감팔미탕(加減八味湯) : [동의어] 가감팔미환.

가감팔미환(加減八味丸) : [동의어] 가감팔미탕, 가감팔미원. 신음, 신양이 허하여 생기는 여러 병증, 이명, 조설이 있을 때, 흑야정명증 등에 쓰는 동약처방.

가감평위산(加減平胃散) : 위기가 허해서 오는 이질, 혈리, 만성, 급성 대장염에 쓰는 동약처방.

가감하수오산(加減何首烏散) : 자전풍과 백전풍, 두드러기, 버짐 등에 쓰는 동약처방.

가감향령산(加減香?散) : 한쪽 고환이 부어 아래로 처지고 당기면서 아플 때 쓰는 동약처방.

가감호골산(加減虎骨散) : 역절풍으로 뼈마디가 아플 때 쓰는 동약처방.

가개(痂疥) : 헌데에 마른 딱지가 앉고 가려운 것.

가골 : [동의어] 장골. 골반골 위 절반.

가골(假骨) : 뼈가 부러졌거나 결손되었을 때 국소에 새로 생긴 불완전뼈조직.

가구증(可灸證) : [동의어] 가구형증. 뜸을 뜨는 것이 좋은 병증.

가구형증(可灸形證) : [동의어] 가구증. 가독(苛毒) 심한 병독.

가두배추 : [동의어] 양배추. 배추과에 속하는 가두배추(Brassica oleracea L.).

가래 : 가래과에 속하는 가래(Potamogeton franchetii Benn. et Baagoe)의 옹근풀을 말린 것.

가래나무껍질 : [동의어] 추목피, 추피, 추수피. 가래나무과에 속하는 가래나무(Juglans mandshurica Maxim.)의 뿌리껍질 또는 줄기껍질을 말린 것.

가래토시나무껍질 : [동의어] 가래나무껍질.

가려(訶黎) : [동의어] 가자

가려륵환(訶黎勒丸) : 구소로 인한 발열, 마른기침, 폐창으로 인한 증세, 폐결핵, 폐기종, 오랜 이질로 인한 여러 병증에 쓰는 동약처방.

가려륵(訶黎勒) : [동의어] 가자. 가뢰 [참조] 반묘.

가뢰(痂癩) : 딱지가 앉은 문둥병

가루약 : [참조] 산제

가막사리 : 국화과에 속하는 가막사리(Bidens tripartita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가막조개살 : [동의어] 현육, 현패육. 가막조개과에 속하는 가막조개(Corbicula leana)의 살을 말린 것.

가물치 : [동의어]여어,예어,흑어,동어. 가물치(Ophicephalus argus Cantor)는 가물치과에 속하는 민물고기의 하나.

가미(加味) : ①이미 구성되어 있는 처방에 다른 약재를 더 넣는 것. ②음식물에 다른 식료품이나 양념을 더 넣어서 맛을 돋구는 것.

가미강부탕(加味薑附湯) : [동의어] 사순부자탕. 곽란으로 인한 복통, 설사하며 손발이 싸늘하고 맥이 없어 말을 잘하지 못하는 데, 급성위장염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국화산(加味菊化散) : 풍열로 인한 여러 내장과 외장눈병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궁하탕(加味芎夏湯) : 습성 늑막염으로 물이 차 있고 옆구리아픔, 발열, 숨이 찬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귀비탕(加味歸脾湯) : 간기, 비기 울결로 신경이 예민해지고 달거리가 없는 데, 가슴이 답답하고 불안하며 가슴과 옆구리가 아프고 식은땀이 나는 데,
                                      잠을 자지 못하고 건망증이 있는 데, 신경쇠약증, 심장신경증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규자산(加味葵子散) : 석림 초기에 오줌이 잘 나가지 않고 오줌길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귤피죽여탕(加味橘皮竹茹湯) : 위열로 인한 갈증, 구역질과 딸꾹질로 인해 음식을 못 먹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금령자산(加味金鈴子散) : 간옹 초기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기혈이 허하여 내풍이 생겨 온몸을 잘 쓰지 못할 때 쓰는 동약처방.

가미도적산(加味導赤散) : 어린이가 심과 소장에 열이 있어 오줌색이 붉고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백출산(加味白朮散) : 기허로 입맛이 없고 숨이 차며 기침을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백화고(加味白花膏) : 만성기침과 만성기관지염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 : 음허증으로 인한 여러 가지 허약증세, 기침과 가래, 조열, 어지럼증, 가슴답답증이 있을 때 쓰는 동약처방

가미복령탕(加味茯?湯) : 담음으로 몸이 무겁고 정신이 흐려지고 말이 똑똑하지 못하며 건망증이 있을 때 쓰는 동약처방.

가미불환금정기산(加味不換金正氣散) : 옹저 때 춥고 열이 나며 뼈마디가 쑤시고 노곤하고 맥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사군자탕(加味四君子湯) : 폐기허로 숨이 차고 기침이 나는 데, 기관지천식, 만성기관지염에, 비와 위의 기가 허해 입맛이 떨어지고 설사하는 데,
                                             만성위장염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사근원(加味四斤元) : 간과 신이 허하여 생긴 비증, 신경통, 류머티즘성 관절염, 허약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 : 습열로 인한 허약, 허화로 인한 목병, 혈허로 인한 두통, 불규칙적인 달거리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사성산(加味四聖散) : 홍역 때 구슬이 시원히 돋지 않거나 속으로 들어가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사칠탕(加味四七湯) : 담음과 기울로 인한 매핵기증상, 가슴이 답답하고 두근거리며 잘 놀랄 때 쓰는 동약처방.

가미산화탕(加味散火湯) : 소양인의 인후병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삼요탕(加味三拗湯) : 풍한으로 인한 기침, 오한과 감기, 기관지천식, 급성 및 만성 기관지염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생맥산(加味生脈散) :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고 손발이 싸늘하고 잘 놀라며 맥이 약할 때 쓰는 동약처방.

가미소건중탕(加味小建中湯) : 비위허한으로 윗배 아픈 데, 급성 및 만성 위염, 위신경증으로 위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소시호탕(加味小柴胡湯) : 상한 때 옆구리 통증, 열이 혈실로 들어가 추우면서 열이 날 때, 약을 먹으면 게울 때 쓰는 동약처방.

가미수성원(加味壽星元) : 담음으로 정신이 흐려지고 건망증이 있는 데, 불안증세와 팔다리가 오그라드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승마탕(加味升麻湯) : 홍역 예방 혹은 홍역 초기 치료에 표증증상이 나타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시평탕(加味柴平湯) : 적으로 명치 밑이 뜬뜬하고 아프며 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시호탕(加味柴胡湯) : 장역으로 윗몸에 열이 심하고 정신이 흐리며 말을 잘 못하는 등의 증상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신기환(加味腎氣丸) : [동의어] 신기환. 신기가 허하여 허리가 아프며 다리와 무릎이 시리면서 오줌을 잘 누지 못하며 붓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십기산(加味十奇散) : 옹저가 달아 오르면서 곪은 뒤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십전탕(加味十全湯) : 옹저가 곪아터진 뒤에 입맛을 돋우며 고름이 나오게 하고 새살을 나오게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양영환(加味養榮丸) : 달거리가 있기 전에 나타나는 여러 증상과 대하증, 불임, 태동, 태루로 인한 복통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연각환(加味連殼丸) : [참조] 향각환②.

가미영신환(加味寧神丸) : 심혈부족으로 인한 신경쇠약증, 건망증, 심장신경증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오령산(加味五 散) :  한산으로 인한 음낭병, 습으로 인한 병, 방광이 허할 때 쓰는 동약처방.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 : [동의어] 삼호온담탕. 심과 담이 허하여 생기는 병증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용호산(加味龍虎散) : 풍한으로 아플 때 쓰는 동약처방.

가미육군자탕(加味六君子湯) : 식궐로 정신을 잃었을 때 쓰는 동약처방.

가미이모환(加味二母丸) : 폐허로 인한 기침,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등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이묘환(加味二妙丸) : 습열로 아픈 데, 관절염, 신경통, 골관절결핵 등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이중탕(加味理中湯) : 허약한 사람의 만성기관지염, 오래된 비위허한증, 만성위염 등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 담궐로 인한 병증, 기담으로 인한 매핵기, 만성위염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익국환(加味 麴丸) :  기울, 습울, 열울로 인한 여러 병증이 나타날 때 쓰는 동약처방.

가미익모환(加味益母丸) : 어혈과 음혈 부족으로 달거리가 고르지 않고 달거리가 있을 때마다 아랫배와 허리가 아프면서 임신하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인삼자원산(加味人蔘紫 散) : 폐음부족으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병증과 폐결핵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자원탕(加味紫 湯) : 열이 나고 입 안이 마르며 기침과 가래가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정지환(加味定志丸) : 담음으로 인한 여러 병증과 신경증, 심장신경증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제습탕(加味除濕湯) : 습에 상하여 몸이 무겁고 오줌을 잘 누지 못하면서 이질이 낫지 않는 데와 만성대장염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조중익기탕(加味調中益氣湯) : 기혈부족으로 두통, 이명 등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지출환(加味枳朮丸) : 식적으로 인한 복통, 트림 등이 있고 게우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창백산(加味蒼栢散) : 습열각기로 잘 걷지 못할 때 쓰는 동약처방.

가미청심음(加味淸心飮) : 심열로 입 안이 마르는 등의 증상과 벌건 오줌을 누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청심탕(加味淸心湯) : 태음인이 코피, 토혈, 하혈이 있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가미청아원(加味靑娥元) : 신기가 허하여 허리가 아픈 데와 그 밖의 여러 증상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청주백원자(加味靑州白圓子) : [동의어] 백원자환.

가미출부탕(加味朮附湯) : 여름철 찬 음식이나 날 음식으로 인한 중습증, 어린이 설사로 인한 여러 증상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 : 열이 나고 두통, 요통이 있는 데와 온역병으로 인한 발진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평위산(加味平胃散) : 비위에 습이 몰려서 생기는 여러 병증과 급성 및 만성 위염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 : 기치, 내치에 탈항이 겹친 데 풍한으로 인한 여러 병증에 쓰는 동약처방.

가미향소탕(加味香蘇湯) : [참조] 가미향소산①.

가미형황탕(加味荊黃湯) : [참조] 소독음③

가미호잠환(加味虎潛丸) : 정혈부족으로 인한 여러 병증과 보약으로 쓰는 동약처방.

가미황랍고(加味黃蠟膏) : 악창에 쓰는 동약처방.

가반(假反) : 가한증상과 가열증상에 대한 반치(종치)법.

가반(假斑) : 반보다 질면서 약간 불그스레한 것.

가백작약(家白芍藥) : [동의어] 집함박꽃뿌리.

가병(茄病) : [동의어] 음정(자궁하수)

가사(假死) : [동의어] 거짓죽음.

가사물탕(加四物湯) : [동의어] 가미사물탕

가산( 疝) : [동의어] 산가

가새풀  : [동의어] 톱풀.

가설( 泄) : [동의어] 대가설.

가소(假蘇) : [동의어] 형개.

가수(假收) : 두창 때 얼굴에 빽빽하게 돋았던 구슬이 갑자기 꺼멓게 되는 것.

가수증(可水證) : [동의어] 가수형증. 물을 먹는 것이 좋은 병증. 몸 안에 진액이 부족한 증.

가수형증(可水形證) : [동의어] 가수증.

가슴속구역 : [동의어] 흉강구. [참조] 머리침요법.

가슴쓰리기 : [참조] 탄산.

가슴아픔 : [참조] 흉통

가슴점 : [참조] 손침요법

가시연밥 : [동의어] 검인, 검실, 안훼실, 계두실. 수련과에 속하는 가시연꽃(Euryale ferox Salisb.)의 씨를 말린 것.

가시오갈피 : 오갈피나무과에 속하는 가시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와
                    왕가시오갈피나무[E. asperatus (Fr. et Sav.) Koidz.]의 줄기껍질을 말린 것.

가시오갈피나무뿌리 : 가시오갈피나무와 왕가시오갈피나무의 뿌리를 말린 것

가열(假熱) : 병의 본질은 한증인데 겉으로는 열증 비슷한 거짓증상이 나타나는 것.

가온(家溫) : 온역의 하나로 집안 사람들 속에서 전염된다고 하여 붙인 이름. [참조] 온역.

 가온형증(可溫形證) :  [동의어] 가온증

가와유주( 窩流注) : [동의어] 축각유주.

가위톱 : [동의어] 백렴, 백초, 토핵, 곤륜, 백근. 포도과에 속하는 가위톱(Ampelopsis japonica Mak.)의 뿌리를 말린 것.

가자(茄子) : [참조] 가지.

가자(訶子) : [동의어] 가려, 가려륵. 사군자과에 속하는 가자나무(Terminalia chebula Retz.)와 털가자나무(T.c. Retz.var.tomentella Kurt.)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가자백출산(訶子白朮散) : [동의어] 가출산.

가자산(訶子散) : 심한 기침, 심한 설사, 비위허한으로 인한 병증과 곽란 등에 쓰는 동약처방.

가자질(茄子疾) : [동의어] 음정(자궁하수).

가자청음탕(訶子淸音湯) ; 풍증으로 말을 못할 때 쓰는 동약처방.

가저시( 猪屎) ; [동의어] 저령.

가제제습탕(加劑除濕湯) ; 습으로 인한 여러 증상에 쓰는 동약처방.

가종피 ; [참조] 용안열매살.

가죽나무뿌리껍질 ; [동의어] 저근백피. 소태나무과에 속하는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 Swingle)의 뿌리껍질을 말린 것.

가지 ; [동의어] 가자, 낙소. 가지과에 속하는 가지(Solanum melongena L.)의 익은 열매.

가질(苛疾) ; 중한 병.

가출산(訶朮散) ; [동의어] 가자백출산. 임신 때에 설하면서 배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가취( 聚) ; ①가와 취를 합해서 이른 말. ②여자의 임맥에 생긴 병증후. [참조] 징가, 적취.

가태(假胎) ; 임신이 아닌데 임신한 것처럼 달거리가 없어지고 배가 커지는 것.

가태(假苔) ; [동의어] 염태(染苔).

가토증(可吐證) ; [동의어] 가토형증. 게우게 하는 것이 좋은 병증.

가토형증(可吐形證) ; [동의어] 가토증.

가피(痂皮) ; [동의어] 헌데딱지. [참조] 결가.

가하증(可下證) ; [동의어] 가하형증. 설사를 시키는 것이 좋은 병증.

가하형증(可下形證) ; [동의어] 가하증. 가한(假寒) 병의 본질은 열증인데 겉으로는 한증 비슷한 거짓증상이 나타나는 것.

가한증(可汗證) ; [동의어] 가한형증. 땀을 내게 하는 것이 좋은 병증.

한형증(可汗形證) ; [동의어] 가한증.

가화단(家火丹) ; 양쪽의 뺨, 팔, 옆구리에 생긴 단독.

가화증(可火證) ; [동의어] 가화형증. 뜨겁게 해주는 것이 좋은 병증.

가화형증(可火形證) ; [동의어] 가화증.

가흠(呵欠) ; [동의어] 흠(하품).

각(角) ; ①5불녀의 하나로 선천적인 성기발육기형. ②5음의 하나.

각(刻) ; ①한 시간을 넷으로 나눈 하나. 15분. ②시헌력. 14분 24초.

각( ) ; [동의어] 겨드랑이.

각(脚) ; [동의어] 다리. ①무릎 아래에서 발목까지. ②발.

각경(脚硬) ; 5경의 하나로 다리가 뻣뻣하고 싸늘한 것.

각과갈탈갈(脚  脫 ) ; [동의어] 족관절탈구.

각괴독(脚拐毒) ; [동의어] 외과저.

각궁반장(角弓反張) ; [동의어] 후궁반장. 몸이 뒤로 잦혀지는 증.

각근 ; [동의어] 발뒤축.

각근통 ; [동의어] 족근통.

각기(脚氣) ; [동의어] 완풍, 각약, 연각풍. 다리 힘이 약해지고 저리거나 지각 이상이 생겨서 제대로 걷지 못하는 병증.

각기공심(脚氣攻心) ; [동의어] 각기충심.

각기상기(脚氣上氣) ; 각기 때 기운이 위로 치미는 것

각기심복창만(脚氣心腹脹滿) ; 각기 때 명치 밑이 창만한 것.

각기안마법(脚氣按摩法) ; 각기병을 안마로 치료하는 방법.

각기완약(脚氣緩弱) ; 각기로 다리가 늘어지고 약해진 증.

각기입복(脚氣入腹) ; 각기병을 경과하는 과정에 사독이 점차 배에까지 영향을 준 것.

각기입신(脚氣入腎) ; 각기병이 경과하는 과정에 사독이 점차 신에까지 영향을 준 것.

각기입심(脚氣入心) ; [동의어] 각기충심.

각기종만(脚氣腫滿) ; 각기 때 몹시 붓는 것.

각기창(脚氣瘡) ; 발이나 다리에 난 헌데.

각기충심(脚氣衝心) ; [동의어] 각기입심, 각기공심. 가슴이 할랑거리고 답답하며 숨이 가쁘고 불안해지며 게우고 입맛이 없으며 입 안이 마른 각기 증세.

각기충심번민(脚氣衝心煩悶) ; 각기충심으로 가슴이 안타깝게 답답한 것. [참조] 각기충심.

각기팔처구(脚氣八處灸) ; [동의어] 각기팔혈.

각기팔혈(脚氣八穴) ; [동의어] 각기팔처구. 각기병을 치료할 때에 뜸을 뜨는 복토, 독비, 족삼리, 상거허, 허거허, 풍시, 현종, 내슬안 혈.

각단(角 ) ; 벌겋게 부으며 아픈 단독.

각답연화생(脚踏連花生) ; [동의어] 역산.

각련근(脚攣根) ; [동의어] 족근저.

각련근(脚攣筋) ; [동의어] 아킬레스건. 발뒤축에서 장딴지로 올라간 큰 힘줄.

각로(却老) ; [동의어] 구기자.

각로(覺勞) ; [동의어] 노채.

각로오수건양단(却老烏鬚建陽丹) ; 음혈부족으로 머리카락이 일찍 희어지는 데와 늙은이의 장수보약으로 쓰는 동약처방.

각면(脚面) ; [동의어] 족면(발등).

각면골(脚面骨) ; [동의어] 부골(발몸뼈).

각박( 膊) ; ①[동의어] 상박(위팔). ②팔 전체.

각반출구(脚盤出臼) ; [동의어] 족관절탈구.

각발(脚發) ; 다리와 발에 난 옹저.

각법(角法) ; 부항 치료.

각병연수탕(却病延壽湯) ; 늙은이의 보약이나 기혈부족증 등에 쓰는 동약처방.

각선(脚癬) ; [동의어] 족선.

각손(角孫) ; 수소양삼초경의 혈.

각습기(脚濕氣) ; [동의어] 무좀. 발가락 사이가 진무르면서 냄새가 나는 병증.

각시괴불 ; [동의어] 산아귀꽃나무.

각심(脚心) ; [동의어] 족심(발바닥의 한가운데).

각심통(脚心痛) ; 발바닥의 한가운데가 아픈 것.

각씨[시]분취 ; [동의어] 큰각시취. 국화과에 속하는 각씨[시]분취 곧 큰각시취[Saussurea japonica (Thunb.) DC.]의 옹근풀을 말린 것.

각아(脚 ) ; 발가락 사이.

각아독(脚 毒) ; [동의어] 무좀. 발가락 사이에 생긴 헌데.

각아생모(脚 生毛) ;  발가락 사이에 털이 나와 건드리면 몹시 아픈 것.

각아양란(脚  爛) ; 발가락 사이가 가려우면서 진무른 것.

각아파란(脚 破爛) ; 발가락 사이가 진무르며 헤진 것. [참조] 각습기.

각약(脚弱) ; [동의어] 각기.

각연(脚軟) ; ①5연의 하나로 다리가 연약하고 무력한 증. ②[동의어] 행지.

각저천심정(脚底穿心 ) ; [동의어] 족심옹. 발바닥 용천혈부위에 생긴 헌데.

각저판(脚底板) ; [동의어] 족저(발바닥).

각점(脚 ) ; [동의어] 변지(  ).

각종(脚腫) ; 다리가 붓는 증. [참조] 수종.

각주 ; 발에 생긴 무좀.

각주(脚 ) ; [동의어] 팔굽마디.

각지갈실(脚趾 失) ; [동의어] 족지간관절탈구.

각지와( 肢窩) ; [동의어] 액와(겨드랑이).

각지흑사(脚指黑 ) ; 발가락이 꺼멓게 썩어 떨어지는 병증. [참조] 탈저.

각질(脚疾) ; 다리에 생긴 모든 병.

각통(脚痛) ; 다리가 아픈 증상.

각통산 ; 몸을 차게 했을 때 생기는 여러 병증에 쓰는 동약처방.

각한(脚汗) ; 발바닥에서 땀이 많이 나는 것.

각혈( 血) ; 기도를 통해 나오는 피나기.

각화(角花) ; 5불녀에 속한 각.

각화두(角花頭) ; 5불녀에 속한 각.

간 ; [동의어] 전간.

간(干) ; [동의어] 생강.

간(艮) ; ①8괘의 하나. ②간방과 간시.

간(肝) ; ①5장의 하나. ②안마하는 부위. [참조] 간경.

간( ) ; [동의어] 간증.

간( ) ; [동의어] 바꽃.

간(揀) ; 동약재에 섞여 있는 섞임물질을 골라내는 것.

간( ) ; [동의어] 간증(기미).

간간 ; [동의어] 견간. 5간의 하나.

간감(肝疳) ; [동의어] 풍감, 근감. 눈이 깔깔하고 가렵고 얼굴색이 누르푸르스름하며 몸이 여위고 헛배가 부르며 설사를 하는 증상.

간갑두(肝甲痘) ; 천연두 때 구슬이 먼저 손가락에서부터 돋는 것.

간격구(間隔灸) ; [참조] 간접뜸.

간결(肝決) ; [동의어] 동신축소. 눈동자가 몹시 작아진 것.

간경(肝經) ; ①[동의어] 족궐음간경. ②[동의어] 간, 간목. 안마부위의 하나.

간경(肝驚) ; 팔다리에 경련이 일면서 눈이 벌겋고 대변색은 푸른 장부경증.

간경(間經) ; 2달, 3달, 4달에 한번씩 하는 달거리.

간경두(肝經痘) ; 두창 때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고 얼굴이 벌겋게 되면서 눈에 피가 지고 숨결이 거칠어지며 구슬의 색이 검붉으면서 잘 내돋지 못하는 것.

간경습열(肝經濕熱) ; [동의어] 간담습열.

간경실화(肝經實火) ; 간경에 화가 몹시 성한 것

간경해소(肝經咳嗽) ; [동의어] 간해.

간계(肝系) ; 간과 직접 연계되어 있는 총수담관, 임파관, 신경, 동맥, 정맥을 통틀어 이른 말

간곡(間谷) ; 수양명대장경의 이간혈.

간궐(肝厥) ; 간기가 치밀어서 생기는 궐증.

간궐( 厥) ; 족양명위경의 시동병 증후.

간궐(癎厥) ; 정신을 잃고 손발이 싸늘해지는 전간발작 때 나타나는 궐증. [참조] 궐증.

간기(肝氣) ; ①간의 기능. ②간의 정기.

간기(間氣) ; 운기론에서 쓰는 말.

간기범비(肝氣犯脾) ; ①간기가 비의 기능에 장애를 준 것. ②간의 기가 횡역하고 소설기능이 지나치게 세어져 비의 기능이 장애된 증.

간기범비설사(肝氣犯脾泄瀉) ; [동의어] 간기울결설.

간기범위(肝氣犯胃) ; [동의어] 간위불화. ①간기가 위의 기능에 장애를 준 것. ②간의 기가 횡역하거나 소설기능이 지나치게 세어져 위의 기능이 장애된 증.

간기부족(肝氣不足) ; [동의어] 간기허.

간기불서(肝氣不舒) ; 간기가 잘 퍼지지 못하는 것.

간기불화(肝氣不和) ; 간의 기능이 장애된 증.

간기상역(肝氣上逆) ; 간기가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

간기성(肝氣盛) ; 간기가 왕성한 것.

간기승비(肝氣乘脾) ; [동의어] 간기범비

간기역(肝氣逆) ; 간기가 상역되거나 횡역된 것. [참조] 간기횡역, 간기상역.

간기열(肝氣熱) ; 간열로 간기가 왕성해진 것.

간기울(肝氣鬱) ; [동의어] 간기울결.

간기울결(肝氣鬱結) ; ①간기가 몰려서 생긴 병증. ②간기가 몰린 것

간기울결불잉(肝氣鬱結不孕) ; 불임증의 하나.

간기울결설(肝氣鬱結泄) ; [동의어] 간기범비설사. 설사의 하나.

간기통(肝氣痛) ; 간기의 장애로 가슴과 옆구리가 아픈 증.

간기통어목(肝氣通於目) ; 간기는 눈에 통해 있다는 말.

간기허(肝氣虛) ; [동의어] 간기부족. 간의 정기가 부족해진 증.

간기협통(肝氣脇痛) ; [동의어] 간울협통.

간기횡역(肝氣橫逆) ; 간기가 장애되어 비위의 기능에 영향을 준 것

간달(肝疸) ; 목이 마른 증상이 있는 황달.

간담구실(肝膽俱實) ; 간담경에 실사가 있어서 해당 경맥이 장애된 것.

간담구역 ; [참조] 머리침요법.

간담불녕(肝膽不寧) ; 간혈이 부족한 데다 7정내상으로 간과 담의 기능이 장애되어 불안해지는 증.

간담습열(肝膽濕熱) ; 습열이 간담에 몰려서 생긴 병증.

간로(肝勞) ; 간이 허손되어 오는 허로.

간만(肝滿) ; 간경맥에 사기가 몰려 그득해진 것.

간맥(肝脈) ; [동의어] 청맥. 간에 소속시킨 맥상.

간모(肝募) ; ①족궐음간경의 기문혈.②간의 모혈.

간목(肝木) ; ①[동의어] 간. ②안마부위의 하나. [참조] 간경.

간목승비토(肝木乘脾土) ; 간의 소설기능이 지나치게 세어져 비위의 소화기능이 장애된 것. [참조] 간기범비, 간기범위.

간방(艮方) ; ①24방위의 하나. ②팔방의 하나.

간병(肝病) ; 5장병의 하나로 간이 장애되어 생긴 여러 병증. [참조] 간실증, 간허증.

간비(肝痺) ; 밤에 자다가 잘 놀라며 머리가 아프고 목이 마르고 오줌이 잦고 배가 불러 오르며 허리와 옆구리가 아프고 발이 싸늘한 증세의 비증.

간비부조(肝脾不調) ; [동의어] 간기범비.

간비불화(肝脾不和) ; [동의어] 간기범비.

간비양허(肝脾兩虛) ; 간과 비가 다 허약해진 병증.

간비혈어(肝脾血瘀) ; 간기울결이 오래되어 간경에 어혈이 생기고 그것이 비에 영향을 주어 나타나는 병증.

간사(肝邪) ; 간에 있는 사기.

간사(間使) ; [동의어] 귀로. 수궐음심포경의 혈. 수궐음경의 경혈이며 금에 속함.

간사장(肝死臟) ; 간의 진기가 다 없어졌을 때 나타나는 맥상.

간산(肝疝) ; [동의어] 근산. 간경과 관련된 산증.

간생근(肝生筋) ; [동의어] 간주근. 간이 힘줄을 자양한다는 말.

간생어좌(肝生於左) ; 간기가 돌아가는 부위는 몸 왼쪽이라는 말.

간선(肝善) ; 5선의 하나.

간성(肝盛) ; [동의어] 간기성.

간소(肝嗽) ; [동의어] 간해.

간손(肝損) ; 간이 허손된 것.

간수(肝水) ; 수기가 간에 침범하여 생긴 부종.

간승비(肝乘脾) ; 간기가 지나치게 성하게 됨으로써 비위의 기능에 장애를 준 것을 상극(목극토)관계로 설명한 것.

간승폐(肝乘肺) ; 간기가 지나치게 성하여 폐의 기능에 장애를 준 것. [참조] 간화범폐.

간시(艮時) ; 새벽 2시 반부터 3시 반까지.

간신동원(肝腎同源) ; [동의어] 을계동원. 간과 신은 근원이 같아 생리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말.

간신상생(肝腎相生) ; 간과 신의 생리적인 밀접한 관계를 5행의 상생관계로 설명한 것.

간신음허(肝腎陰虛) ; [동의어] 간신휴손. 간음과 신음이 모두 허한 증.

간신허손월경통(肝腎虛損月經痛) ; [동의어] 간신휴손통경. 간신의 정혈이 부족하여 포맥을 잘 영양하지 못한 결과 생긴 월경통.

간신허손통경(肝腎虛損 痛經) ; [동의어] 간신허손월경통.

간신휴손(肝腎虧損) ; [동의어] 간신음허.

간신휴손통경(肝腎虧損痛經) ; [동의어] 간신허손월경통.

간실(肝實) ; 간이 실한 병증.

간실열(肝實熱) ;간에 열이 성한 싫증.

간실증(肝實證) ; [동의어] 간실.

간심(間甚) ; 병이 경한 것과 중한 것 또는 병이 좋아지는 것과 심해지는 것.

간심통(肝心痛) ; 간과 관련된 심통.

간양(肝陽) ; 간의 양기. 주로 승발하고 소설하는 기능 수행.

간양두통(肝陽頭痛) ; 간양이 치밀어서 생긴 두통.

간양상승(肝陽上升) ; [동의어] 간양상역, 간양상항, 간양편왕. 간양이 성하여 위로 오르는 증.

간양상역(肝陽上逆) ; [동의어] 간양상승.

간양상항(肝陽上亢) ; [동의어] 간양상승.

간양편왕(肝陽偏旺) ; [동의어] 간양상승.

간양허(肝陽虛) ; [동의어] 간양허쇠. 간의 양기가 허하여 생긴 병증.

간양허쇠(肝陽虛衰) ; [동의어] 간양허.

간양현훈(肝陽眩暈) ; 어지럼증과 두통이 있고 깊이 잠들지 못하며 노여움이 잦은 현훈.

간양화풍(肝陽化風) ; 간양이 몹시 성하여 생긴 풍증.

간양화풍상모(肝陽化風上冒) ; [동의어] 간양화풍.

간양화화(肝陽化火) ; 간양이 몹시 왕성하여 화로 된 것.

간역두통(肝逆頭痛) ; 두통의 하나.

간열(肝熱) ; ①간에 생긴 여러 열증을 통틀어 이르는 말. ②간에 열사가 침범하였거나 간기울결에 의한 열로 생긴 증.

간열목통(肝熱目痛) ; 간열로 눈이 아픈 증.

간열병(肝熱病) ; [동의어] 간열.

간열오조(肝熱惡阻) ; 음식을 먹으면 게우고 몸은 여위고 어지럼증이 생기며 살갗이 마르며 오줌색이 진하고 양이 적은 오조.

간열유정(肝熱遺精) ; 가슴이 답답하고 노여움을 잘 타며 눈에 피가 지고 입 안이 쓰면서 목이 마르고 오줌이 잦은 유정.

간염해독탕(肝炎解毒湯) ; 만성간염으로 인한 여러 병증과 신경이 예민해진 데 쓰는 동약처방.

간염환(肝炎丸) ; 만성간염으로 소화가 잘 안되며 헛배가 부르고 갈증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간오풍(肝惡風) ; 5장 소오의 하나로 간은 풍을 싫어한다는 말.

간옹(肝癰) ; 간에 생긴 옹.

간울(肝鬱) ; [동의어] 간기울결.

간울건구(肝鬱乾嘔) ; 헛구역이 있었다 멎었다 하고 가슴과 옆구리가 답답하고 음식맛이 없는 구토.

간울경행선기(肝鬱經行先期) ; 월경선기의 하나.

간울구토(肝鬱嘔吐) ; 게우고 가슴이 쓰리면서 트림을 자주 하며 답답하고 옆구리가 아픈 구토.

간울비허(肝鬱脾虛) ; [동의어] 목울토허. 간기울결로 비기가 허해진 것.

간울협통(肝鬱脇痛) ; [동의어] 기울. 양옆구리가 당기면서 아픈 협통.

간위(肝 ) ; [동의어] 근위.

간위강장(肝爲剛臟)  ; 간은 강한 장기라는 뜻.

간위기통(肝胃氣痛) ; [동의어] 기울완통.

간위모장(肝爲牡臟) ; 간은 양의 속성을 가진 장기라는 말.

간위불화(肝胃不和) ; [동의어] 간기범위. 간과 위의 기능이 조화롭지 못한 것.

간유(肝油) ; 대구과에 속하는 대구(Gadus macrocephalus Til.)와 명태[Theragra chalcogramma(Pall.)]의 간에서 짠 기름.

간유(肝兪) ; 족태양방광경의 혈. 간의 배유혈.

간유(肝遺) ; [동의어] 간열유정.

간음(肝陰) ; 간의 음혈과 음액 등의 총칭.

간음부족(肝陰不足) ; [동의어] 간음허

간음허(肝陰虛) ; [동의어] 간음부족. 간음이 부족한 증.

간의지관(諫議之官) ; [동의어] 비.

간이벽온방(簡易 瘟方) ; 전염병에 관한 동의고전의 하나.

간일학(間日 ) ; 하루 건너 한번씩 발작하는 학질.[참조] 학질.

간자병행(間者竝行) ; 병이 경과하면서 여러 증상이 나타날 때는 주증과 경증, 표병과 본병을 동시에 치료해야 한다는 치료원칙.

간장(肝臟) ; [동의어] 간.

간장(間臟) ; 5행의 상생관계에 따라 병이 한 장기에서 다른 장기로 옮겨가는 것.

간장수양법(肝臟修養法) ; 도인법의 하나로 이른 아침에 하는 숨쉬기법.

간장적열(肝臟積熱) ; 초기에는 눈에 피가 지고 아프며 눈물이 나고 깔깔하고 후에는 눈을 뜰 수 없는 외장눈병.

간장혈(肝藏血) ; 혈을 저장하고 혈량을 조절하는 간의 생리적 기능.

간장혼(肝藏魂) ; 간은 혼을 간직하고 있어 정신활동과 일정한 관계가 있다는 말.

간저(肝疽) ; 저의 하나로 간의 깊은 곳에 생긴 고름집.

간적(肝積) ; [동의어] 비기. 간과 관련되어 생긴 적으로 얼굴색이 퍼렇고 양옆구리 아래에 덩이가 만져지며 아픈 증세.

간절(肝絶) ; 10절증의 하나로 간기가 거의 끊어져가는 증상.

간접구(間接灸) ; [동의어] 간접뜸. 간접뜸 뜸뜰 자리에 소금, 마늘, 약물등을 올려놓고 그 위에 뜸봉을 놓고 뜸뜨는 방법.

간정(肝 ) ; [동의어] 자엽정

간족궐음지맥(肝足厥陰之脈) ; [동의어] 족궐음간경.

간좌폐우(肝左肺右) ; [동의어] 좌간우폐.

간주근(肝主筋) ; 간은 온몸의 근(힘줄)을 주관한다는 것.

간주모려(肝主謀慮) ; 간의 지략을 주관한다는 것.

간주목(肝主目) ; 간은 눈을 주관한다는 것.

간주소설(肝主疏泄) ; 간은 소통시키고 배설하는 기능을 주관한다는 말.

간주승발(肝主升發) ; 간기는 상승하고 발산하는 특성이 있다는 말.

간주혈해(肝主血海) ; 간은 혈을 저장하고 혈의 순환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는 말.

간중열(肝中熱) ; 간이 열사를 받은 것.

간중한(肝中寒) ; 간이 한사를 받은 것.

간증  ; [동의어] 전간.

간증(肝蒸) ;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병증.

간증(  ) ; [동의어] 기미. 살갗에 생긴 거무스름한 점.

간지(干支) ; [동의어] 천간지지.

간지노(肝志怒) ; 간은 노하는 것과 일정한 관계가 있다는 말.

간질 ; [동의어] 전간.

간착(肝着) ; ①간에 기혈이 울체된 증. ②간에 사기가 머물러 있다는 뜻.

간창(肝脹) ; 옆구리가 부어 오르는 것 같으면서 아랫배까지 당기면서 아픈 창만.

간체음용양(肝體陰用陽) ; 간은 음에 속하는 장기지만 그 기능은 다 양에 속한다는 말.

간충(肝蟲) ; 5장충의 하나.

간평맥(肝平脈) ; [동의어] 평간맥. 5장 평맥의 하나로 간의 정상 맥상.

간풍(肝風) ; 병이 경과하는 과정에 몸이 떨리고 어지러우며 경련이 이는 등 풍이 동 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

간풍 ; [동의어] 전간(간질, 천질).

간풍내동(肝風內動) ; [동의어] 간풍.

간풍산(肝風疝) ; 산증의 하나로 외감풍사를 받아서 생긴 간산.

간한(肝寒) ; 간병의 하나로 간의 양기가 부족하고 기능이 쇠약해지거나 한사가 간경에 몰려서 생김.

간합근(肝合筋) ; 5장에 속한 간과 5체에 속한 근(힘줄)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말.

간합담(肝合膽)  ; 장부유합의 하나로 간과 담은 배합관계에 있는 장부로서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말.

간해(肝咳) ; [동의어] 간경해소. 해소의 하나로 간의 기능장애로 오는 기침.

간허(肝虛) ; 간의 기, 혈, 음, 양이 다 허하거나 부족한 증. [참조] 간기허, 간혈허, 간양허, 간음허.

간허목암(肝虛目暗) ; 내장눈병의 하나로 간이 허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병증.

간허열(肝虛熱) ; ①간이 허해서 나는 열. ②간로 때 나는 허열.

간허작목(肝虛雀目) ; [동의어] 간허작목내장.

간허작목내장(肝虛雀目內障) ; [동의어] 간허작목. 작목내장의 하나로 간이 허해서 오는 밤눈증.

간허적열외장(肝虛積熱外障) ; 눈까풀이 벌겋게 붓고 아프며 눈이 깔깔하고 눈물이 나오며 눈을 뜰 수 없는 외장눈병.

간허증(肝虛症) ; [동의어] 간허.

간허한(肝虛寒) ; 간경의 기가 허한한 것.

간허협통(肝虛脇痛) ; 협통의 하나.

간혈(肝血) ; 간에 저장된 혈. 넓은 의미의 간음.

간혈부족(肝血不足) ; [동의어] 간혈허.

간혈허(肝血虛) ; [동의어] 간혈부족. ①간혈이 부족하다는 말. ②간혈이 부족한 증.

간화(肝火) ; 간기가 몹시 왕성하여 생긴 화로 머리가 어지럽고 얼굴이 벌개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간화범폐(肝火犯肺) ; 간화가 폐를 침범하여 생기는 병리적 현상.

간화범폐해소(肝火犯肺咳嗽) ; [동의어] 간화해소.

간화상염(肝火上炎) ; [동의어] 간양상승. 간화가 성할 때 나타나는 병리적 현상.

간화이롱(肝火耳聾) ; 이롱의 하나로 간화가 치밀어 올라 생긴 난청.

간화이명(肝火耳鳴) ; 이명의 하나로 7정으로 생긴 간화가 치밀어 올라 귀에서 소리가 나는 것.

간화해소(肝火咳嗽) ; 해소의 하나로 간화가 폐에 침범하여 생긴 기침.

간화현훈(肝火眩暈)  ; 현훈의 하나로 어지럼증과 함께 얼굴이 벌겋고 입이 쓰고 피가 지는 증상.

간황 ; 황달의 하나로 몸이 노랗고 팔다리에 힘이 없고 게우는 증세.

간황(肝黃) ; ①황달의 하나. ②소의 열주머니에서 얻은 우황.

간황(姦黃) ; 황달의 하나로 귀항이 변해서 온몸이 누렇고 두서없이 말하며 미친 사람처럼 되는 증상.

갈(渴) ; [동의어] 갈증. 갈( ) ①[동의어] 중서. ②열성 질병에서 열이 몹시 심한 상태.

갈(竭) ; 병이 아랫도리에 있을 때는 설사시키거나 오줌을 많이 누게 해서 치료하는 것.

갈근(葛根) ; [참조] 칡뿌리.

갈근귤피탕(葛根橘皮湯) ; 풍열로 피부에 발진이 돋고 기침을 하면서 가슴이 답답한 데 쓰는 동약처방.

갈근금련탕(葛根芩蓮湯) ; [동의어] 갈근황금황련탕.

갈근부평탕(葛根浮萍湯) ; 태음인의 부종, 이열증에 쓰는 동약처방.

갈근소독음(葛根消毒飮) ; 여러 가지 창독, 단독 등에 쓰는 동약처방.

갈근승기탕(葛根承氣湯) ; 태음인이 온병으로 춥다가 열이 나는 데, 얼굴과 뒷덜미가 아프고 음식을 먹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갈근인삼탕(葛根人蔘湯) ; 상한병 때 열이 나고 두통 등의 증상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갈근죽여탕(葛根竹茹湯) ; 위열로 갈증이 나고 구역이 나는 등의 증세에 쓰는 동약처방.

갈근탕(葛根湯)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갈근해기탕(葛根解肌湯)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갈루(蝎瘻) ; 항문에 여러 개의 누공이 생긴 것.

갈률만(葛 蔓) ; [동의어] 한삼덩굴.

갈륵만(葛勒蔓) ;[동의어] 한삼덩굴. 갈매열매 [동의어] 서리자, 우리자.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갈매나무(Rhamnus davurica Pall.)
                        또는 같은 속 식물의 열매를 말린 것.

갈뿌리 ; [동의어] 노근, 위근. 벼과에 속하는 갈(Phragmites longivalvis Miquel)의 뿌리를 말린 것.

갈사백원자(蝎麝白元子) ; 중풍 때 담이 성하고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등의 증상에 쓰는 동약처방.

갈상정장(葛上亭長) ; [동의어] 반묘(가뢰).

갈석상(蝎 傷) ; 전갈에게 쏘인 것. 갈우( *) ①가슴뼈의 검상돌기. ②앞가슴의 뼈의 총칭. ③임맥의 구미혈.

갈인만(葛人蔓) ; [동의어] 한삼덩굴.

갈조화(葛條花) ; [동의어] 칡꽃.

갈증(葛症) ; [동의어] 구갈. 입 안과 목이 마르면서 물이 많이 당기는 증상.

갈출탕(葛朮湯) ; 주달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증상에 쓰는 동약처방.

갈퀴나물 ; [참조] 말굴레풀. 갈퀴덩굴 [동의어] 팔선초.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갈퀴덩굴(Galium aparine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갈풀 ; [동의어] 달.

갈한(  ) ; ①가슴뼈의 검상돌기. ②임맥에 속한 구미혈.

갈호정(蝎虎 ) ; 설정의 하나로 혀 밑에 생긴 정창.

갈화(葛花) ; [참조] 칡꽃.

갈화해독음(葛花解毒飮) ; 정황시묘증에 쓰는 동약처방.

갈화해정탕(葛花解 湯) ; 술을 지나치게 마신 데 쓰는 동약처방.

갈환자(褐丸子) ; 어린이의 소화불통, 감질과 이질로 인한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감1 ; 감나무과에 속하는 감나무(Diospyros kaki L. fil.)의 익은 열매. 

감2 ; 입과 뺨 사이에 생긴 보조개.

감(甘) ; 5미의 하나로 단맛.

감(坎) ; ①팔괘의 하나. ②[동의어] 감방.

감(疳) ; [동의어] 감질.

감( ) ; [동의어] 피조개.

감각( 殼) ; [동의어] 와릉자.

감각구역 ; [참조] 머리침요법.

감갈(疳渴) ; 감질 때 갈증으로 물을 자주 마시는 병증.

감감(甘疳) ; 감질의 하나로 눈에 흰 막이 생기고 입술은 희고 눕기를 좋아하며 헌데가 생기는 등의 증상.

감갑(嵌甲) ; [동의어] 갑저.

감건(疳乾) ; 감질 경과 도중에 진액과 기혈이 몹시 상하여 몸이 대단히 여윈 병증. [참조] 건감.

감고(疳蠱) ; 감질로 생긴 고독.

감고변감(疳蠱變疳) ; 감질의 하나로 고독으로 생긴 병증.

감골(監骨) ; [동의어] 장골. 아랫배의 양쪽 옆에 있는 뼈. 

감과자(甘瓜子) ; [동의어] 참외씨.

감국(甘菊) ; [참조] 단국화.

감국화(甘菊花) ; [참조] 단국화.

감국화산(甘菊花散) ; 풍독으로 눈동자가 처지고 물체를 똑똑히 보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감국화음자(甘菊花飮子) ; 여성들이 풍현으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가슴이 답답하고 입 안이 마르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감궁(坎宮) ; [동의어] 미궁. 어린이 안마부위의 하나.

감극(疳極) ; 몹시 심하게 나타나는 감질증상. [참조] 감질.

감극창(疳極脹) ; 감질이 몹시 심해진 상태에서 헛배가 부른 증상. [참조] 감창(疳脹).

감근(甘根) ; [동의어] 백급.

감기(坎氣) ; [동의어] 제대(탯줄).

감기(疳氣) ; ①[동의어] 감질. ②감질의 시초.

감기(感氣) ; [참조] 감모.

감기이롱(疳氣耳聾) ; 감질을 앓는 도중에 귀가 들리지 않는 병증.

감기입음(疳氣入陰) ; 감질로 음낭이 붓는 증.

감기창(疳氣脹) ; 감질로 헛배가 부어 오르는 병증. [참조] 감창(疳脹).

감길탕(甘桔湯) ; 풍한으로 목안이 붓고 아프며 말소리가 낮거나 목쉰 소리가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감꼭지 ; [동의어] 시체. 감나무의 익은 열매에 달려 있는 꽃받침을 말린 것.

감나무잎 ; [동의어] 시엽. 감나무과에 속하는 감나무(Diospyros kahi L. fil.)의 잎.

감나무잎차 ; 마른 감나무 잎으로 만든 차.

감닉(疳 ) ; ①비감(鼻疳) 또는 폐감, 감습. ②감질때 잔등과 정강이에 경련이 일고 등이 뻣뻣해서 몸을 움직이지 못하는 것.

감닉창(疳 瘡) ; [동의어] 감습.

감담환(甘膽丸) ; 식초를 먹고 난 뒤 목안이 부으면서 숨이 차고 기침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감도(疳刀) ; 옛날 의료기구의 하나로 이빨때를 긁어내는 데 쓰는 칼.

감독안(疳毒眼) ; [동의어] 소아감안.

감두(疳 ) ; 감질로 배가 커지는 병증.

감두탕(甘豆湯) ; 각기로 온몸이 붓는 데와 약물중독, 어린이 태열독으로 인한 증상에 쓰는 동약처방.

감란수(甘瀾水, 甘爛水) ; 흐르는 물을 담아 떠서 쏟아 구슬 같은 거품이 일어나면서 서로 부딪치게 한 물.

감람(甘藍) ; [동의어] 가두배추.

감로(疳 ) ; 얼굴색이 희끄므레하고 골증조열이 나며 피로하고 식은땀이 나며 설사하며 배가 돌같이 뜬뜬한 증상의 감질.

감로음(甘露飮)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감루(疳瘻) ; 감질로 생긴 누창. [참조] 누창.

감리(疳痢,疳利) ; 감질을 앓는 도중에 이질을 겸한 증.

감리고(坎離膏) ; 음허화동으로 조열과 식은땀이 나며 해혈, 타혈, 각혈을 하며 몸이 쇠약해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감리기제환(坎離旣濟丸) ; 음허화동으로 미열과 식은땀이 나고 각혈을 하거나 허약해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감리습닉(疳痢濕 ) ; 감리를 앓는 도중에 습이 침범하여 생긴 병증.

감리탕(坎離湯) ; 어린이가 생 음식, 날 음식을 잘못 먹었거나 찬바람이 원인이 된 열담에 쓰는 동약처방.

감리환(坎離丸) ; 유정과 몽설에 쓰는 동약처방.

감맥대조탕(甘麥大棗湯) ; [동의어] 감초소맥대조탕. 신경증, 신경쇠약증, 히스테리, 정신분열증, 소무도병 등에 쓰는 동약처방.

감모(感冒) ; 외감병의 하나로 머리가 아프고 재채기가 나며 코가 메거나 콧물을 흘리고 추우며 열이 남.

감모두통(感冒頭痛) ; 머리가 아프면서 코가 메고 목소리가 탁하며 땀이 나고 맥이 부완한 증상의 두통.

감모협경(感冒挾驚) ; 감기에 경련증후가 겹친 병증.

감모협식(感冒挾食) ; 감기에 식체가 겹친 병증.

감모협열(感冒挾熱) ; 이열에 감기가 겹친 병증.

감모협통(感冒脇痛) ; [동의어] 풍한협통.

감미(甘味)  ; [동의어] 단맛. 5미의 하나.

감방(坎方) ; 팔방③의 하나.

감벽(疳癖) ; 감질과 벽이 겹친 것. [참조] 감질, 벽.

감병(疳病) ; [동의어] 감질.

감사(疳瀉) ; [동의어] 감적양사, 감적사. 감질을 앓는 어린이가 설사를 하는 병증.

감서(甘薯) ; [동의어] 고구마.

감서(感暑) ; [동의어] 상서.

감서현훈(感暑眩暈) ; [동의어] 중서현훈.

감소(疳嗽) ; 감질 때 기침을 하는 병증.

감송(甘松) ; [동의어] 감송향.

감송향(甘松香) ; [동의어] 감송. 마타리과에 속하는 감송향(Nardostachys chinensis Batal.)의 뿌리를 말린 것.

감수(甘遂) ; 버들옻과에 속하는 감수(Euphorbia sieboldiana Morren et Decaisne 또는 E. kansui Liou.)의 뿌리를 말린 것.

감수(疳水) ; 감질 때 몸이 붓는 병증.

감수(疳瘦) ; 감질로 몸이 여윈 병증.

감수산(甘遂散) ; 감질 일반에 쓰는 동약처방.

감수진환(甘守津還) ; 맛이 단약으로 중초의 기를 보하여 진액을 생기게 하는 치료방법.

감습(疳濕) ; [동의어] 습닉, 익창, 감습창, 감닉. 입안점막, 혀 잇몸, 코에 헌데가 생겨 헤지고 딱지가 앉으며 항문이 가려우면서 허는 감질.

감습리(疳濕痢) ; 감질에 습리를 겸한 것.

감습산(疳濕散) ; 여성들의 음부가 헐어서 진물이 나오며 파이고 가려운 데 쓰는 동약처방.

감습창(疳濕瘡) ; [동의어] 감습.

감식(疳蝕) ; 감질 때 헌데가 생긴 병증.

감식창(疳蝕瘡) ; [동의어] 승장창.

감신무강(甘辛無降) ; 동약의 약성(맛과 성질).

감안(疳眼) ; [동의어] 소아감안.

감열(疳熱) ; [동의어] 감적발열. 감질로 나는 열증상.

감열유주(疳熱流注) ; 감질 때 조열이 나면서 헌데가 생기는 증.

감온제대열(甘溫除大熱) ; [동의어] 감온제열.

감온제열(甘溫除熱) ; [동의어] 감온제대열.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열을 치료하는 방법.

감응원(感應元) ; 중기가 허하고 차서 여러 증상이 나타날 때 쓰는 동약처방.

감자 ; [동의어] 마령서. 가지과에 속하는 감자(Solanum tuberosum L.)의 덩이뿌리.

감자각( 子殼) ; [동의어] 와릉자.

감저(甘疽) ; 양쪽 가슴의 근육이 비교적 발달한 곳에 생긴 저. [참조] 옹저.

감적(疳積) ; [동의어] 비감(脾疳).

감적발열(疳積發熱) ; [동의어] 감열.

감적병(疳積餠) ; 감적으로 인한 여러 증상에 쓰는 동약처방.

감적사(疳積瀉) ; [동의어] 감사.

감적상목(疳積上目) ; [동의어] 소아감안.

감적양사(疳積糧瀉) ; [동의어] 감사.

감적창(疳積脹) ; 감질 때 헛배가 불러 오르는 증상. [참조] 감창.

감적토(疳積吐) ; 감적이 오래되어 음식을 먹으면 게우는 증.

감제(甘劑) ; 18제의 하나로 맛이 단 약제로 구성된 처방들. [참조] 18제.

감제풀뿌리 ; [동의어] 범싱아뿌리.

감종(疳腫) ; 감질 때 몸이 붓는 증상.

감종창(疳腫脹) ; 감질을 앓는 아이가 몸이 붓고 배가 불러 오르는 증.

감증(疳證) ; [동의어] 감질.

감지(嵌指) ; [동의어] 갑저.

감질(疳疾) ; [동의어] 감, 감증, 감병. 비위의 기능장애로 몸이 여위는 병증.

감질상목(疳疾上目) ; [동의어] 소아감안. 감차잎 범의귀풀과에 속하는 감차(Hydrangea serrata Seringe)의 잎을 말린 것.

감창(疳脹) ; 감질로 배가 불러 오르는 병증.

감창(疳瘡) ; ①감질 때 생긴 헌데. ②[동의어] 하감(下疳).

감창식비(疳瘡蝕鼻) ; [동의어] 비감.

감창지관(監倉之官) ; [동의어] 대장.

감초(甘草) ; [동의어] 국로. 콩과에 속하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또는 곧은감초(Glycyrrhiza glabra L.)의 뿌리를 말린 것.

감초건강탕(甘草乾薑湯) ; 상한 때와 폐위 때 나타나는 여러 증상에 쓰는 동약처방.

감초법(甘草法) ; 하태독법의 하나.

감초부자탕(甘草附子湯) ; 풍습으로 인한 여러 증상, 류머티즘성 관절염, 신경통, 골수염, 특발성 괴저 등 때 쓰는 동약처방.

감초사심탕(甘草瀉心湯) ; 상한 중풍 때와 호혹병 때 쓰는 동약처방.

감초소맥대조탕(甘草小麥大棗湯) ; [동의어] 감맥대조탕.

감초수구(甘草水灸) ; 동약법제방법의 하나. 동약재를 달인 물에 담갔다가 볶는 것.

감초초(甘草梢) ; 감초의 잔뿌리.

감초탕(甘草湯) ; 상한음독증, 소음병, 외감열병으로 인한 여러 증상에 쓰는 동약처방.

감충(疳蟲) ; 몸이 여위면서 살갗이 누렇게 되고 설사가 잘 멎지 않는 감질.

감충식순치(疳蟲蝕脣齒) ; 감질 때 입술이 헐고 이빨이 삭는 병증.

감침( 浸) ; [동의어] 미감침. 감탕찜질 치료용 감탕을 일정한 온도로 덥혀서 살갗이나 점막에 작용시켜 병을 치료하는 방법.

감태(甘苔) ; [참조] 김.

감한(感寒) ; [동의어] 감모.

감한복통(感寒腹痛) ; 한사를 받아서 생기는 복통.

감한생진(甘寒生津) ; ①맛이 달고 성질이 찬약으로 열에 의하여 진액이 상한 것을 치료하는 윤조법의 하나. ②맛이 달고 성질이 찬약으로 진액이 생기게 한다는 뜻.

감한요통(感寒腰痛) ; 허리에 한사가 침범하여 생기는 요통.

감한자윤(甘寒滋潤) ; ①맛이 달고 성질이 찬약으로 폐음이 허해진 것을 치료하는 윤조법의 하나. ②맛이 달고 성질이 찬약으로 마른 것을 눅여준다는 뜻.

감허(疳虛) ; 몸이 여위고 얼굴이 누렇게 되면서 배가 불러 오르고 커지는 감질. [참조] 무고감.

감황(疳黃) ; 황달과 비슷하나 눈에는 황달이 없는 감질.

감후천주도(疳後天柱倒) ; 감질로 목을 세우지 못하는 증.

갑(甲) ; ①천간의 첫번째. ②차례나 등급에서 첫번째. ③딱딱한 껍데기. ④[동의어] 갑방, 갑시.

갑(胛) ; [동의어] 어깨뼈부위.

갑개골(甲介骨) ; 코 안의 하비갑개, 중비갑개, 상비갑개을 통틀어 이른 말.

갑근(甲根) ; 경외기혈.

갑기탕(甲己湯) ; [동의어] 작약감초탕

갑방(甲方) ; 24방위의 하나.

갑봉(胛縫) ; 경외기혈. 팔을 아래로 내리드리운 때 겨드랑 뒤에 생긴 금 끝.

갑시(甲時) ; 새벽 4시 반부터 5시 반까지.

갑안(甲眼) ; 양쪽 어깨뼈부위의 한가운데. 청종혈부위.

갑야(甲夜) ; [동의어] 초경(밤 8시-10시).

갑저(甲疽) ; [동의어] 갑저창. 손발톱부위에 생긴 표저.

갑저창(甲疽瘡) ; [동의어] 갑저.

갑착(甲錯) ; 살갗이 말라서 거칠어진 것.

갑편(甲片) ; [동의어] 천산갑. 갓난아이 나서 한 달까지의 어린이.

강(降) ; ①약성의 하나. ②치밀어 오르거나 떠오르는 것을 내리거나 억누른다는 뜻.

강(薑) ; [동의어] 간(생강). [참조] 간(干).

강가거승(降可去昇) ; 아래로 가라앉게 하는 작용이 있는 약은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할 수 있다는 약물의 특성.

강간(剛干) ; 천간 가운데서 양간에 속하는 갑, 병, 무, 경, 임.

강간(强間) ; [동의어] 대우. 독맥의 혈.

강갈산(薑蝎散) ; 풍열과 풍담으로 귀머거리가 된 데 쓰는 동약처방.

강개(薑芥) ; [동의어] 형개.

강경(剛痙) ; [동의어] 강치. ①경증의 하나로 몸과 팔다리가 뻣뻣해지면서 오그라드는 병증. ②[동의어]양경.

강계탕(薑桂湯) ; 명치가 차고 아픈 것이 갓 생긴 데와 윗배가 차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강계환(薑桂丸) ; 한담으로 기침이 나고 머리가 아프며 오한이 나면서 가래가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강구(强瞿) ; [동의어] 나리.

강구(薑灸) ; [동의어] 강즙초.

강국산(羌菊散) ; 급성 열성 전염병을 앓은 뒤 눈에 예막이 생겼을 때 쓰는 동약처방.

강궁(絳宮) ; [동의어] 5장의 심.

강귤탕(薑橘湯) ; 어린이가 비위허한으로 게우는 데와 늙은이가 열병으로 가슴이 그득하고 소화가 안되고 답답할 때 쓰는 동약처방.

강기(降氣) ;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을 내리는 이기법.

강기약(降氣藥) ; 이기약의 하나로 기가 거슬러 오르는 병증을 낫게 하는 동약.

강냉이수염 ; 벼과에 속하는 강냉이(Zea mays L.)의 꽃술대(화주)을 말린 것.

강뇌사(控腦砂) ; [동의어] 비연.

강랑(  ) ; [동의어] 길강, 길랑. 풍뎅이과에 속하는 말똥구리(Aphodium rectus Motschlsky)를 말린 것.

강랑고(  蠱) ; 고독의 하나.

강랑주( 螂注) ; 손가락뼈마디에 생긴 유담.

강리(江籬) ; [동의어] 궁궁이싹.

강명길(康命吉) ; (1737-1806) 우리나라의 이름 난 의학자.

강밀탕(薑蜜湯) ; 몸이 허약하면서 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강반하(薑半夏) ; 끼무릇을 생강 달인 물 또는 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강부(  ) ; [동의어] 격부.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지는 것.

강부탕(薑附湯) ; 상한음증, 중한, 풍습으로 인한 여러 증상에 쓰는 동약처방.

강상(强上) ; 목이 뻣뻣하면서 눈을 치뜨는 것.

강상인배(强上引背) ; 목이 뻣뻣한 것이 심해서 등까지 뻗치는 것.

강설산(絳雪散) ; 목안이 달아 오르면서 아프고 부어서 막힌 감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강식(强食) ; 음식을 억지로 먹는 것.

강신환 ; 전간으로 경련 발작이 자주 일어나고 두통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강심단(降心丹) ; 심신이 허약하여 불안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면서 건망증이 심한 데 쓰는 동약처방.

강심탕(降心湯) ; 심화가 상역되고 신수가 부족하여 가슴이 답답하고 두근거리며 잠을 자지 못하고 건망증이 심할 때 쓰는 동약처방.

강아지풀 ; 벼과에 속하는 강아지풀[Setariaviridis (L.) Beauvois]의 옹근풀을 말린 것.

강약(剛藥) ; 양기를 세게 돕는 약.

강양(强陽) ; [동의어] 족태양방광경의 낙각혈.

강양부도(强陽不倒) ; [동의어] 강중.

강엄 ; [동의어] 강즙침(생강즙에 재우는 것).

강역(降逆) ; [동의어] 강기.

강역하기(降逆下氣) ; [동의어] 강기.

강연(降延) ; [동의어] 해산.

강유(剛柔) ; ①강한 것과 유연한 것. ②음양을 가르는 데서 기준을 삼는 말. ③강간과 유간의 총칭.

강음(强陰) ; [동의어] 자보신음. 허리가 시큰거리는 데, 오줌량이 많아지는 데, 유정 등 신음허증상이 있는 데 쓰는 치료법.

강일(剛日) ; 지난날의 날짜를 천간지지에 맞추어놓은 것 가운데서 천간의 갑, 병, 무, 경, 임에 해당하는 날.

강자(剛子,江子) ; [동의어] 파두.

강자(腔子) ; 가슴 안과 배 안의 내장 장기가 들어 있는 곳.

강자(薑炙) ; [동의어] 강즙초.

강자(薑煮) ; [동의어] 강즙자.

강자사지(强者瀉之) ; [동의어] 실즉사지.

강작약(江芍藥) ; [동의어] 집함박꽃뿌리.

강잠( 蠶) ; [동의어] 백강잠.

강잠산( 蠶散) ; 전후풍, 후비 등으로 목안이 아프며 붓고 음식을 넘기기 힘든 데 쓰는 동약처방.

강장고(强壯膏) ; 허약자, 앓고 난 뒤 빈혈증, 만성소모성 질병 등 때에 보약으로 쓰는 동약처방.

강장보혈환(强壯補血丸) ; 몸이 허약해진 데, 앓고 난 뒤 보약으로 쓰는 동약처방.

강전(剛前) ; [동의어] 삼지구엽초.

강제(降劑) ; 기가 거슬러 오른 것을 아래로 내리는 약재와 약제, 강기하는 약재와 약제.

강제(薑製) ; 동약재를 생강 달인 물이나 생강즙에 법제하는 것.

강주언(姜周彦) ; (1897. 1. 2 - 1973. 7. 25) 동의학 박사.

강중(强中) ; [동의어] 양강, 강양부도. 음경이 때없이 오랫동안 발기되어 있으면서 때로 정액 이 절로 나오는 병증.

강즙구(薑汁灸) ; [동의어] 강즙초.

강즙자(薑汁炙) ; [동의어] 강즙초.

강즙자(薑汁煮) ; [동의어] 강자. 동약재를 생강즙이나 생강 달인 물에 넣고 삶은 것.

강즙초(薑汁炒) ; [동의어] 강초, 강자, 강구, 강즙자, 강즙구. 동약재를 생강 달인 물이나 생강즙에 담갔다가 볶는 것.

강즙침(薑汁浸) ; [동의어] 강엄. 동약재를 생강 달인 물에 담그는 것.

강직(强直) ; 온몸이 뻣뻣해지는 증상.

강진향(降眞香) ; [동의어] 강향.

강창(糠瘡) ; [동의어] 마진.

강청(羌靑) ; [동의어] 따두릅.

강초(薑炒) ; [동의어] 강즙초.

강출탕(薑朮湯) ; 허약한 사람이 담음으로 명치 밑이 트적지근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강치(剛 ) ; [동의어] 강경.

강태 ; [동의어] 깜또라지.

강풍(剛風) ; 8풍의 하나로 서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풍사된 것.

강향(降香) ; [동의어] 강진향.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강진향나무[Acronychia pedunculata (L.) Miquel]의 속살.

강호리 ; [동의어] 강활. 미나리과에 속하는 강호리(Ostericum praeteritum Kitag.)의 뿌리를 말린 것.

강화(降火) ; 화를 내리는 치료법.

강화안심법(降火安心法) ; 눈을 약간 뜨고 발끝을 보면서 정신을 안정시키는 치료법.

강활(羌活) ; [참조] 강호리.

강활고(羌活膏) ; 어린이가 풍한으로 열이 나고 기침을 하며 경련을 일으킬 때 쓰는 동약처방.

강활방기탕(羌活防己湯) ; 골수에 화농성 염증이 생겨 국소가 미만성으로 붓고 아프면서 곪아터져 고름이 나오는 부저증에 쓰는 동약처방.

강활방풍탕(羌活防風湯) ; 풍한으로 힘줄과 힘살이 당기고 열이 나면서 경련이 이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강활산(羌活散) ; 풍, 한, 습으로 이빨과 잇몸이 아프고 머리가 아픈 데와 열이 몹시 나고 몸이 무거우며 설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강활속단탕(羌活續斷湯) ; 간과 신이 허하여 힘줄이 당기면서 뼈가 아픈 데와 류머티즘성 관절염, 다발성 신경염, 위축성 각기,
                                      교원병 등으로 뼈마디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강활승습탕(羌活勝濕湯) ; 풍, 한, 습으로 목이 뻣뻣하고 아프고 등골이 아픈 데와 후두신경통, 감기, 신경통, 류머티즘성 관절염 때 쓰는 동약처방.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강활제습탕(羌活除濕湯) ; 습에 상하여 팔다리가 가늘어지고 저리며 무릎이 붓고 아프며 가슴과 등의 감각이 둔해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강활충화탕(羌活沖和湯) ; [동의어] 구미강활탕.

강활탕(羌活湯) ; 풍열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운 데와 풍습열로 오는 화감에 쓰는 동약처방.

강활퇴예탕(羌活退 湯) ; 외감풍한으로 눈의 검은자위에 예막이 생겨 잘 보이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강황(薑黃) ; [동의어] 편자강황. 생강과에 속하는 강황(Curcuma aromatica Salisb.), 울금(Curcuma longa L.),
                  누른강황(Curcuma zanthorrhiza Roxb.)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

강황산(薑黃散) ; 풍랭으로 팔과 어깨가 아픈 데와 위팔신경아픔, 자궁에 한습이 몰려 달거리가 고르지 못하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갖풀 ; [동의어] 아교, 우피교, 부치교, 분복교. 소가죽으로 만든 갖풀.

갖풀약 ; [참조] 교제.

개(疥) ; ①[동의어] 개창, 옴. ②가려움증을 주증상으로 하는 피부병의 총칭.

개(盖) ; 독맥의 백회혈.

개(開) ; ①열다, 열리다, 겉 또는 시작. ②태양경과 태음경.

개감수 ; [참조] 감수.

개결도인환(開結導引丸) ; [동의어] 개울도음환. 각기병 때 다리가 부으면서 아프고 가슴이 답답하고 소화가 안 될 때 쓰는 동약처방.

개결서경탕(開結舒經湯) ; [동의어] 개울서경탕, 개결서근탕. 풍습으로 기와 담이 몰려서 팔다리가 저린 데, 여성들이 울증으로 팔다리가 저린 데 쓰는 동약처방.

개결서근탕(開結舒筋湯) ; [동의어] 개결서경탕(개울서경탕).

개결지실환(開結枳實丸) ; 담음과 기울로 가슴과 명치 밑이 답답하고 배가 아프고 소화가 안되며 대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개골(盖骨) ; [동의어] 하횡골(치골상지).

개관산(開關散) ; 중풍과 파상풍으로 인한 여러 가지 질병과 풍열로 경련을 일으킬 때 쓰는 동약처방.

개구검(開口劍) ; [동의어] 만년청근.

개구리밥 ; [동의어] 부평, 수화, 수백, 수소, 수평. 개구리밥과에 속하는 머구리밥풀(Spirodela polyrhiza Schleid.)과
                개구리밥풀(Lemma paucicostata Hegelm.)의 옹근풀을 말린 것.

개귀문(開鬼門) ; 땀구멍을 열어준다.

개규(開竅) ; [동의어] 개폐, 개규통신, 성뇌, 성신. ①심규가 막혀서 생긴 폐증을 치료하는 방법의 총칭. ②정신을 들게 한다는 뜻. 개규통신(開竅通神) [동의어] 개규. 개금법(開 法) [동의어] 개금통관.

개금침법(開金針法) ; [동의어] 금침발장법.

개금통관(開 通關) ; ①중풍으로 정신을 잃고 넘어져서 이를 악문 것을 치료하는 법. ②입을 악문 것을 벌리게 한다는 뜻.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 ; 기울로 가슴이 답답하고 목안이 아프면서 좁아지는 감이 있는 데와 습담이 팔다리에 뭉쳐 멍울이 생긴 데 쓰는 동약처방.

개달막원(開達膜原) ; 막에 있는 화근을 없애는 방법.

개동백나무 ; [동의어] 생강나무. [참조] 생강나무가지.

개똥쑥 ; [동의어] 잔잎쑥.

개뢰(疥癩) ; [동의어] 개창.

개리 ; 이빨을 닦는 것.

개맨드라미 ; [동의어] 들맨드라미.

개명환(開明丸) ; 모든 눈병에 쓰는 동약처방.

개미나물 ; 패랭이꽃과에 속하는 개미나물[Sogina japonica (Sw.) Ohwi]의 옹근풀을 말린 것.

개미취 ; [동의어] 자원, 반혼초. 국화과에 속하는 개미취(Aster tataricus L. fil.)의 뿌리를 말린 것.

개별꽃 ; [동의어] 들별꽃.

개비(開 ) ; 맛이 맵고 향기로운 행기약으로 답답하고 트적지근한 감이 있는 것을 치료하는 방법.

개살구나무 ; [동의어] 산살구나무. [참조] 살구씨.

개상사화 ; [동의어] 노란상사화. [참조] 상사화.

개선(疥癬) ; ①[동의어] 개창, 옴. ②옴과 버짐을 통틀어 이르는 말.

개설(開泄) ; [동의어] 신개고설.

개소산(開笑散) ; 풍한을 받아 이가 쑤시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개수리취 ; [동의어] 절구대. [참조] 절구대열매.

개심(開心) ; [동의어] 개규.

개심산(開心散) ; [동의어] 개심환. 심혈부족으로 건망증이 심한 데 쓰는 동약처방.

개심환(開心丸) ; [동의어] 개심산.

개아약 ; ①이닦기약. ②잇몸에 바르는 약.

개암 ; [동의어] 진자.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개암나무(Corylus heterophylla Fisch.)의 여문씨를 말린 것.

개암풀열매 ; [동의어] 파고지, 보골지. 콩과에 속하는 개암풀(Psoralea corylifolia L.)의 열매를 말린 것.

개열 ; [동의어] 구담. 개열을 말린 것.

개열귀약 ; 귀에서 진물과 고름이 멎지 않고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개오동나무 ; [동의어] 향오동나무.

개울(開鬱) ; 기가 울체된 것을 통하게 한다.

개울도기탕(開鬱導氣湯) ; 소화가 되지 않고 신물이 올라오며 헛배가 부르면서 아플 때 쓰는 동약처방.

개울도음환(開鬱導飮丸) ; [동의어] 개결도인환.

개울사물탕(開鬱四物湯) ; 여성들의 불규칙적인 달거리에 쓰는 동약처방.

개울서경탕(開鬱舒經湯) ; [동의어] 개결서경탕.

개울이진탕(開鬱二陳湯) ; 여성들의 불규칙적인 달거리에 쓰는 동약처방.

개울정원산(開鬱正元散) ; [동의어] 소적정원산.

개울종옥탕(開鬱種玉湯) ; 여성들이 간기울결로 불임증이 있으면서 달거리 때의 통증에 쓰는 동약처방.

개위(開胃) ; ①위의 소화기능을 돕고 입맛을 돋우는 방법. ②성비, 소도, 보중익기.

개[계]자(芥子) ; [참조] 겨자.

개제(開提) ; 표와 이의 사기를 없애고 청기를 끌어올리는 방법.

개창(疥瘡) ; [동의어] 창개, 개뢰. 피부병의 하나로 헌데가 겹친 진옴.

개치 ; 이빨을 닦는 것.

개치( 齒) ; [동의어] 알치, 교치, 교아, 치개. 이빨을 가는 것.

개치산 ; 풍감으로 잇몸에서 피가 나오고 아프고 이빨이 들뜨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개폐(開閉) ; [동의어] 개규.

개폐법(開閉法) ; 어린이가 풍담이 몰려서 정신이 혼미해진 데 쓰던 치료법.

개합보사법(開闔補瀉法) ; 침보사법의 하나.

개회산(開懷散) ; 명치 밑에 멍울이 생겨 윗배가 답답하고 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객(客) ; ①머무르다, 침입한다는 뜻. ②몸 안에 머물러 있는 사기. ③기본 맥에 상대되는 부차적인 맥.

객기(客氣) ; [동의어] 객운. ①천기. 하늘에서의 3음 3양의 기. ②병인이 되는 외사.

객기상역(客氣上逆) ; 몸 안에 침입한 사기가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

객랍(客臘) ; 지난해 음력 섣달(12월).

객사(客邪) ; 밖으로부터 침입한 사기.

객색(客色) ; 기후와 환경, 생리적 기분상태 등의 변화에 따라 건강한 사람의 얼굴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색깔.

객열(客熱) ; ①밖으로부터 침입한 열사. ②상한병에서 허열이나 가열(假熱).

객오(客 ) ; [동의어] 중객, 중인, 소소객오. 어린이가 갑자기 놀란 것이 원인이 되어 생긴 병증.

객오경(客悟痙) ; 얼굴색이 변하고 열이 나고 땀이 나고 잠꼬대를 하며 손발을 떠는 소아경병.

객오사간(客悟似癎) ; 얼굴색이 변하면서 게우는데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이 섞여 나오는 급경풍유증.

객오야제(客悟夜啼) ; 밤에 울면서 잘 놀라고 거품을 게우며 경련이 이는 야제증.

객운(客運) ; [동의어] 객기.

객자제지(客者除之) ; 밖으로부터 침입한 사기가 몸 안에 머물러 있는 것은 내보내는 원칙에서 치료해야 한다는 치료원칙.

객주인(客主人) ; 족소양담경의 상관혈.

객한(客寒) ; 찬바람을 맞아서 생긴 오한.

객혈(喀血) ; [동의어] 각혈.

갯방풍 ; 미나리과에 속하는 갯방풍(Glehnia littoralis Fr. Schm. 또는 Phellopteris littoralis Benth. et Hook.)의 뿌리를 말린 것.

갯완두싹 ; [동의어] 대두황권. 콩과에 속하는 갯완두(Lathyrus japonjcus Willd. 또는 L. maritimus Bigel.)의 어린 싹을 말린 것.

갯지치 ; 지치과에 속하는 갯지치(Mertensia asiatica Machride)의 뿌리를 말린 것.

갯질경 ; 갯질경이과에 속하는 갯질경[Limonium tetragonum (Thunb.) Bullock]의 옹근풀을 말린 것.

갯활량나무 ; [동의어] 잠두싸리.

갱미(粳米) ; [참조] 멥쌀

갱미초(粳米炒) ; [참조] 미초.

갱생(更生) ; 단국화.

갱의(更衣) ; ①옷을 갈아입는 것. ②대변을 누는 것.

'대체요법 > 동양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의학 사전 (구 ~귤홍삼하탕)  (0) 2010.06.03
한의학사전 - 고 ~ 교회혈  (0) 2010.06.03
거 ~계흉  (0) 2010.06.03
4대의서  (0) 2010.06.02
"침 효과 과학적으로 입증"<美연구진>  (0) 2010.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