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 교회혈
고(尻) ; 엉덩뼈와 꼬리뼈가 있는 부위.
고(股) ; [동의어] 넓적다리.
고(苦) ; ①5미의 하나. 쓴맛. ②고통스럽다. 괴롭다는 뜻. ③[동의어] 질병. ④앓는다는 뜻.
고(枯) ; 팔다리의 살이 여위어서 힘이 없어 잘 쓰지 못하는 것. 살이 여윈 것.
고(鼓) ; ①5불녀의 하나.선천적인 성기발육 이상으로서 처녀막이 이상적으로 질긴 것 혹은 처녀막이나 질이 막혀 있는 것. ②맥이 뛰는 것이 느껴지는 것.
고(痼) ; [동의어] 고병(痼病), 고질.
고(睾) ; [동의어] 고환.
고(膏) ; ①[동의어] 고제, 고약. 동약제형의 하나. ②[동의어] 심와부(심하부). ③[동의어] 기름(지방). ④윤택하다는 뜻.
고(蠱) ; ①기생충독으로 간비가 상하여 생긴 고창. 즉 기생충독으로 충고, 고창이 생긴 병증. ②아랫배에 열이 있으면서 아프고 오줌이 뿌옇게 되는 증.
③옛날에 독충을 가지고 만든 독약.
고가(固 ) ; ①대변을 볼 때 처음은 굳고 뒤에는 묽거나 굳은 것과 묽은 변이 혼합되어 나오면서 삭지 않은 음식물 찌꺼기가 섞여 나오는 증.
②오래도록 설사가 멎지 않는 것.
고개(高蓋) ; ①[동의어] 족태양방광경의 독유혈. ②[동의어] 족태양방광경의 신유혈.
고거(固居) ; [동의어] 고비(오래도록 잘 낫지 않는 비증).
고거(苦 ) ; [동의어] 방가지풀.
고경(苦梗) ; [동의어] 도라지.
고경저(股經疽) ; 다리에 생긴 저.
고경환(固經丸) ; 신음이 허하고 습열이 성하여 달거리 양이 많은 데, 부정출혈이 있으며 번열이 나고 배가 아프며 벌건 오줌을 누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고골 [동의어] ; 쇄골.
고곡(高曲) ; [동의어] 족소음신경의 상곡혈.
고골(尻骨) ; [동의어] 미저골(엉덩뼈와 꼬리뼈).
고골(股骨) ; [동의어] 대퇴골.
고골(苦骨) ; [동의어] 너삼.
고골(高骨) ; ①뼈가 도드라져 올라온 부위. ②요추골. ③손목 뒤의 도드라진 뼈. 노뼈의 경상돌기. ④경외기혈.
고관절염좌(股關節捻挫) ; 대퇴관절이 비틀려 생긴 손상.
고괴(孤拐) ; 바깥 복사뼈.
고구마 ; 메꽃과에 속하는 고구마(Ipomoea Batatas Lam var. edulis Mak.)의 덩이뿌리.
고규(苦葵) ; [동의어] 깜또라지.
고근전(枯筋箭) ; [동의어] 자후.
고금(枯芩) ; [동의어] 속썩은풀.
고기(固氣) ; 본래 몸 안에 있던 사기.
고기(故氣) ; [동의어] 원기 또는 정기(精氣).
고길경(苦桔梗) ; [동의어] 도라지.
고낭(睾囊) ; [동의어] 음낭.
고노(苦怒) ; 성을 잘 낸다는 말.
고뇌(苦惱) ; 괴로움과 고심. 고민하는 것.
고다(苦茶) ; [동의어] 차잎.
고달(膏疸) ; 황달의 하나. 황달이 있으면서 물을 많이 마시고 오줌량도 많다.
고독( 毒) ; [동의어] 익창.
고독(蠱毒) ; ①기생충의 감염으로 생기는 고창병. ②고의 독으로 생기는 위급한 병증.
고독리(蠱毒痢) ; [동의어] 고주리.
고독변혈(蠱毒便血) ; 고독으로 생긴 변혈.
고라복(枯蘿蔔) ; [동의어] 말린 무.
고랭(痼冷) ; 진양이 부족하여 음한이 몸 안에 오랫동안 머물러 있어서 나타나는 증.
고량(痼梁) ; ①[동의어] 고량진미(기름진 고기와 좋은 낟알로 만든 맛있는 음식). ②[동의어] 수수쌀.
고량강(高良薑) ; [동의어] 양강.
고량지변(膏梁之變) ; 기름지고 영양분이 많은 음식을 지나치게 오랫동안 먹으면 병이 생긴다는 말.
고량지질(膏梁之疾) ; 기름지고 영양분이 많은 음식을 오랫동안 지나치게 먹어서 생긴 병.
고량진미(膏梁珍味) ; 기름진 고기와 좋은 낟알로 만든 맛있는 음식.
고량후미(膏梁厚味) ; [동의어] 고량진미.
고련근피(苦 根皮) ; [동의어] 멀구슬나무뿌리껍질. [참조] 멀구슬나무껍질.
고련백환(古連栢丸) ; 어린이가 열설로 설사가 멎지 않으면서 몸에 열이 나고 안타까워하며 갈증이 나서 물을 마시려고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고련실(苦 實) ; [참조] 멀구슬나무열매.
고련자(苦 子) ; [참조] 멀구슬나무열매.
고련자고(苦 子膏) ; 머리털이 빠지는 데, 비듬이 많은 데 쓰는 동약처방.
고련피(苦 皮) ; [참조] 멀구슬나무껍질.
고룡담초(苦龍膽草) ; [동의어] 용담.
고루(蠱瘻) ; 독충으로 생긴 누창.
고리(蠱痢) ; [동의어] 고주리.
고림(膏淋) ; [동의어] 내림. 임증의 하나로 오줌이 쌀 씻은 물 같거나 기름 같으면서 시원히 나오지 않는 병증.
고마(膏摩) ; 고약을 몸 겉면의 일정한 부위에 바르고 문질러주는 방법.
고막(鼓膜) ; [동의어] 이막, 귀청. 겉귀길과 고실 사이에 긴장된 상태로 놓여 있는 희읍스름한 엷은 막.
고목(苦木) ; [참조] 소태나무.
고목건위산 ; 입맛없기, 소화불량, 식체, 위쓰리기, 위아픔 등에 쓰는 동약처방.
고목창(苦木瘡) ; [동의어] 춘근피.
고목탕(苦木湯) ; 만성위염(저산성), 소화가 잘 안되는 데, 만성설사에 쓰는 동약처방.
고미(苦味) ; 5미의 하나. 쓴맛.
고발(痼發) ; 옹저의 하나.
고방(古方) ; ①옛날 동약처방 또는 옛날 동의치료방법. ②옛날 방법. 고방(庫房) 족양명위경의 혈.
고백반(枯白礬) ; [동의어] 구운 백반.
고법( 法) ; [동의어] 타법.
고병(故病) ; [동의어] 오래된 병.
고병(苦病) ; 병으로 늘 고통을 받는 것 또는 병에 잘 걸리는 것.
고병(痼病) ; 오래 끌면서 잘 낫지 않는 병.
고병백음(蠱病白淫) ; 고병 때 아랫배가 아프면서 오줌이 뿌옇게 흐려져서 나오는 것.
고본(藁本) ; [동의어] 괴경, 지신, 미경. 미나리과에 속하는 고본(Ligusticum tenuissimum Kitag)의 뿌리를 말린 것.
고본건양단(固本健陽丹) ; 정혈이 부족하고 냉증으로 임신하지 못하는 데, 남자들의 신수가 부족하여 성기 능이 약하거나 사정이 잘 되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고본산(藁本散) ; 풍사가 침입하거나 너리증으로 잇몸이 붓고 이뿌리가 드러나면서 고름이 나오고 냄새가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고본원(固本元) ; 비신이 허하거나 소장에 열이 있어서 오줌이 벌겋거나 뿌연 데 쓰는 동약처방.
고본주(固本酒) ; 머리칼을 검게 하며 늙지 않게 하는 장수보약술로 쓰는 동약술.
고본지붕탕(固本止崩湯) ; 비기가 부족하여 생긴 붕루.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되며 배가 트적지근하고
때로 설사를 하며 어지럼증이 나고 기운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고본탕(藁本湯) ; 풍독으로 눈에 피가 지고 아프며 눈물이 많이 나오는 데, 가슴앓이가 심하면서 설사를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고본환정환(固本還睛還) ; 내장, 외장눈병으로 예막이 검은 자위를 가린 데, 풍안, 난현풍과 늙은이나 허약한 사람이 눈곱이 많이 끼는 데,
바람을 쐬게 되면 눈물이 나오는 데, 눈이 잘 보이지 않고 꽃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는 등의 증상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고부(孤府) ; [동의어] 3초.
고붕산(枯硼散) ; 만성중이염에 쓰는 동약처방.
고붕지대(固崩止帶) ; ①붕루나 이슬을 치료하는 방법을 통틀어 이르는 말. ②붕루나 이슬을 멎게 한다는 뜻.
고비(痼痺) ; [동의어] 고거. 오래도록 잘 낫지 않는 비증.
고사리 ; [동의어] 궐채, 궐. 고사리과에 속하는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L.) Kuhn.]의 어린 줄기와 잎을 말린 것.
고산(股疝) ; 복외산의 하나. 배 안의 내용물이 서혜관을 지나서 서혜인대 밑으로 빠져 나온 것.
고삼(苦蔘) ; [참조] 너삼.
고삼원(苦蔘元) ; [동의어] 곡달환.
고삼환(苦蔘丸) ; 간실열로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 여러 가지 버짐으로 몹시 가려운 데 쓰는 동약처방.
고삽(固澁) ; [동의어] 수삽.
고상주함(膏傷珠陷) ; [동의어] 복내함.
고선(股癬) ; [동의어] 음선.
고선(枯蟬) ; [동의어] 매미허물.
고설(固泄) ; 고는 대소변이 막히는 것이고 설은 대소변을 참지 못하는 것.
고설(苦泄) ; 맛이 쓴 약은 설사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것.
고섭(固攝) ; [동의어] 수삽.
고성반월(孤星伴月) ; 숙예의 하나. 혼정장(각막실질염)을 앓고 난 다음 흑정(각막)에 생긴 반혼성 혼탁.
고소(高消) ; [동의어] 상소.
고수 ; [동의어] 호유. 미나리과에 속하는 고수(Coriandrum sativum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고수(苦樹) ; [동의어] 소태나무.
고수(高水) ; 부종의 하나.
고수열매 ; [동의어] 호유실. 고수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고슴도치가죽 ; [동의어] 위피, 자위피. 고슴도치과에 속하는 고슴도치(Erinaceus europaeus amurensis Schrenek)의 가죽을 말린 것.
고식(苦識) ; [동의어] 너삼.
고신삽정(固腎澁精) ; 수삽법의 하나로 신기(腎氣)를 든든하게 하여 유정을 멎게 하는 방법.
고심(苦心) ; [동의어] 더덕.
고암심신환(古庵心腎丸) ; 심신이 장애되어 가슴이 할랑거리고 불안해 하며 잘 놀라고 잠자지 못하며 가슴이 답답한 데,
유정, 식은땀, 시력장애 , 귀울음, 음위증, 허리아픔, 다리마비 등에 쓰는 동약처방.
고약(膏藥) ; 동약제형의 하나로 피부나 점막의 염증, 궤양, 상처 등을 치료하기 위하여 피부나 점막에 붙이는 접착성이 있는 약.
고약( 藥) ; [동의어] 고위약.
고약풍(膏藥風) ; 고약 등 외용약으로 생긴 피부병.
고양(股陽) ; 넓적다리의 바깥쪽. 고음에 상대되는 말.
고양(孤陽) ; ①양만 있고 음이 없는 것. ②[동의어] 절음.
고양상월(孤陽上越) ; [동의어] 허양상부.
고양저(股陽疽) ; ①저의 하나. 넓적다리의 바깥쪽 위환도혈부위에 생긴 저. [참조] 저, 부골저. ②[동의어] 환도저.
고온조습(苦溫燥濕) ; ①조습법의 하나로 맛이 쓰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중초의 한습을 없애는 방법. ②맛이 쓰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습을 없앤다는 뜻.
고온평조(苦溫平燥) ; ①치료법의 하나로 양조를 치료하는 방법. ②맛이 쓰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조증을 낫게 한다는 뜻.
고우방실(苦牛蒡實) ; [동의어] 우엉씨.
고위까람 ; [동의어] 곡정초, 대성초. 고위까람과에 속하는 고위까람(Eriocaulon sieboldianum Sieb. et Zucc)의 꽃차례를 말린 것.
고위약( 圍藥) ; [동의어] 위약, 고약, 부첨, 첩협. 외용약의 하나로 창양 언저리 둘레에 붙이는 약.
고유(姑楡) ; [동의어] 느릅나무열매.
고음(股陰) ; 넓적다리의 안쪽. 고양에 상대되는 말.
고음저(股陰疽) ; 넓적다리의 안쪽 위 음낭 가까이에 생긴 저. [참조] 저.
고의(苦薏) ; ①[동의어] 들국화. ②[동의어] 연심.
고이대종(尻而代踵) ; 다리에 힘이 없어서 걷지 못하고 앉은 걸음을 하는 것.
고익(高益) ; [동의어] 족태양방광경의 독유혈.
고인(膏人) ; 옛날에 살찐 체질을 3가지로 구분한 것의 하나. 위팔 바깥쪽과 넓적다리 안쪽의 약간 도드라져 올라온
근육들이 실하지 못하고 살갗은 이완되어 있으며 뱃가죽이 늘어져 있는 사람.
고인탕 ; 폐결핵으로 열이 나고 기침과 가래가 나오며 몸이 허약한 데 쓰는 동약처방.
고자억지(高者抑之) ; 치료원칙의 하나로 기가 치밀어 오르는 병증은 기를 내리는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는 말.
고자화(鼓子花) ; [동의어] 메꽃.
고장(苦杖) ; [동의어] 범싱아뿌리.
고장탕(固腸湯) ; 습열로 피고름이 섞인 설사를 하는 적리와 한습으로 흰곱이 섞인 변을 누는 백리로 배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고장환(固腸丸) ; 활설이 오랫동안 계속되면서 배가 아픈 데와 비위허한으로 심하게 설사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고정(固精) ; [동의어] 고신삽정, 삽정.
고정원(固精元) ; [동의어] 비정원.
고정향(苦丁香) ; [동의어] 참외꼭지.
고정환(固精丸) ; 간신허로 손발이 늘 달아 오르면서 맥이 없고 음낭부위가 차고 유정이 잦은 데 쓰는 동약처방.
고제(膏劑) ; 동약제형의 하나로 동약가루나 엑기스에 꿀 또는 사탕을 섞어서 만든 된 엿 정도의 약엿.
고조풍(枯曹風) ; [동의어] 구내염. 입 안이 헌 것.
고종(高腫) ; 옹저 등에서 살갗 표면이 도드라져 부어 오른 것.
고주(苦酒) ; [동의어] 식초.
고주(蠱注,蠱 ) ; [동의어] 주창. 팔다리가 붓고 몸이 여위며 기침을 하고 배가 커지는 병.
고주리(蠱 痢) ; [동의어] 고독리, 고리. 독충이 내는 독기가 장부를 상해서 오래도록 낫지 않고 거무스름한 피곱이 섞인 대변을 누는 이질.
고중환(固中丸) ; 오랜 비설로 헛배가 부르고 그득하면서 자주 설사하고 먹으면 때로 게우며 몸이 몹시 무겁고 얼굴빚이 누러면서 윤기가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고진음자(固眞飮子) ; 음과 양이 다 허하고 기혈이 부족하여 입맛이 없고 손발바닥이 화끈 달아 오르며 미열이 있고 식은땀이 나는 데,
유정, 만성설사, 기침, 설사가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고진탕(固眞湯) ; 어린이가 비위허약으로 설사를 계속하고 몸이 약해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고진환(固眞丸) ; 흰 이슬이 오랫동안 멎지 않으면서 배가 차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고질(痼疾) ; 오래 끌면서 잘 낫지 않는 병.
고창(鼓脹, 脹) ; [동의어] 창만, 기창, 고창.
고창(蠱脹) ; [동의어] 충고.
고채(苦菜) ; [동의어] 마타리. 방가지풀. 패모. 왕고들빼기. 깜또라지.
고천(高喘) ; 높은 열이 나면서 숨차하는 증상.
고추 ; 가지과에 속하는 고추(Capsicum annum L.)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고추풍(鼓槌風) ; [동의어] 학슬풍. 정해증상이 7살 아래에서 생긴 것. [참조] 정해.
고치(叩齒) ; 아래위 이빨을 마주쳐서 소리가 나게 하는 것.
고치방(枯痔方) ; 치핵, 치루 때 붓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고치법(叩齒法) ; 옛날 양생법의 하나로 아랫니와 윗니를 부딪쳐서 소리 나게 하는 방법.
고치법(固齒法) ; 옛날 양생법의 하나로 이가 흔들리거나 솟기지 않고 든든해지게 하는 방법. [참조] 고치법(叩齒法).
고치법(枯痔法) ; 외치법의 하나. 치핵에 고치산을 붙이거나 고치정을 찔러 넣거나 고치주사약을 주사하여
치핵결절을 거멓게 괴사시켜 떨어지게 해서 낫게 하는 방법.
고치봉(枯痔棒) ; 치루나 만성염증성 질병 때 누공이 생긴 데 쓰는 동약처방.
고치산(枯痔散) ; 내치핵에 쓰는 동약처방.
고치연진법(叩齒嚥津法) ; 연진보정법의 하나. 이빨을 마주 부딪쳐 침이 생기게 하여 삼키는 방법.
고치정(枯痔釘) ; 내치핵에 쓰는 동약처방.
고치환소단(固齒還少丹) ; 늙은이들이 이빨이 흔들리고 잇몸이 붓고 아프며 머리칼이 희어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고침무우산(高枕無憂散) ; 심담이 허하여 마음이 불안하고 답답하고 무서움을 타면서 잠을 잘 자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고타법(叩打法) ; [동의어] 타법.
고태(枯胎) ; [동의어] 태부장.
고통(股痛) ; 넓적다리가 아픈 증.
고표(固表) ; 위기(衛氣)를 든든하게 하는 치료법.
고풍내장(高風內障) ; [동의어] 고풍작목.
고풍작목(高風雀目) ; [동의어] 고풍작목내장, 고풍내장, 고풍장증. 작목내장의 하나. 어두운 곳에서 시력이 낮아지는 눈병.
고풍작목내장(高風雀目內障) ; [동의어] 고풍작목.
고풍장증(高風障症) ; [동의어] 고풍작목.
고하환(固下丸) ; 오래된 비설로 배가 끓으면서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은 설사를 하며 배가 차고 허리와 무릎이 시린 데 쓰는 동약처방.
고한설열(苦寒泄熱) ; [동의어] 고한청열.
고한조습(苦寒燥濕) ; ①조습법의 하나로 맛이 쓰고 성질이 찬약으로 중초의 습열을 없애는 방법. ②맛이 쓰고 성질이 찬약으로 습을 없앤다는 뜻.
고한청기(苦寒淸氣) ; 청기법의 하나로 맛이 쓰고 성질이 찬약으로 기분의 사열을 없애는 방법.
고한청열(苦寒淸熱) ; [동의어] 고한설열. 청법의 하나로 맛이 쓰고 성질이 찬약으로 이(裏)의 사열을 없애는 방법.
고행인(苦杏仁) ; [동의어] 살구씨.
고호산(苦瓠散) ; 어린이들의 침음창이 점점 퍼지면서 낫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고화(鼓花) ; [동의어] 5불녀에 속하는 고(鼓).
고화두(鼓花頭) ; [동의어] 5불녀에 속하는 고(鼓).
고환(睾丸) ; 남자생식기.
고황(膏 ) ; ①심장과 가름막 사이. ②혈 이름.
고황유(膏 兪) ; 족태양방광경의 고황혈.
고황지질(膏 之疾) ; 고치기 힘든 중한 병.
곡 ; [동의어] 도루래.
곡(谷) ; 비교적 큰 근육들이 합쳐진 곳을 가리키는 말.
곡가(穀 ) ; [동의어] 미가. 가병의 하나로 먹기는 하나 대변을 보지 못하며 오래되면 뱃속에 덩어리가 생긴다.
곡골(曲骨) ; ①치골의 앞이음부위. ②혈 이름.
곡골단(曲骨端) ; [동의어] 족소음신경의 횡골혈.
곡기(穀氣) ; ①[동의어] 수곡지기(음식물을 소화하여 흡수한 영양물질). ②[동의어] 산곡지기(산골짜기의 기운).
곡기생( 奇生) ; [참조] 참나무겨우살이.
곡달(穀疸) ; [참조] 황달의 하나로 몸과 눈이 노래지면서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음식을 먹지 못하거나 음식을 먹고 나면 곧
어지럽고 가슴이 할랑거리면서 설사하며 오줌은 잘 나가지 않는다.
곡달원(穀疸元) ; [동의어] 곡달환.
곡달환(穀疸丸) ; [동의어] 고삼원, 곡달원. 음식에 체하거나 더위를 먹어 습열이 생겨서 소화가 안되고 황달이 온 데 쓰는 동약처방.
곡도(穀道) [동의어] 항문.
곡령환(谷靈丸) ; 몸이 여위고 다리가 가늘어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곡로(穀勞) ; [동의어] 반취(飯醉).
곡로후(穀勞候) ; 음식을 먹은 다음 노곤해지는 증.
곡맥지출환(曲麥枳朮丸) ; [동의어] 국얼지출환.
곡문(谷門) ; [동의어] 족양명위경의 천추혈.
곡발(曲髮) ; [동의어] 족소양담경의 곡빈혈.
곡빈(曲 ) ; [동의어] 곡발. 족소양담경의 혈. 족소양, 족태양의 회혈.
곡사(鵠瀉) ; [동의어] 택사.
곡신원(穀神元) ; 식체가 오래되어 소화되지 않고 명치 밑이 트적지근하고 배가 아프고 헛배가 불러 오르는 데,
비위허한으로 위부위가 트적지근하고 답답하며 음식 생각이 없고 때로 게우며 음식이 잘 내려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곡신탕(穀神湯) ; 비위허한으로 위부위가 그득하고 답답하며 음식 먹을 생각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곡실(穀實) ; [동의어] 닥나무열매.
곡아(曲牙) ; ①[동의어] 곡협(아래턱 모서리부위). ②[동의어] 족양명위경에 속한 협거혈.
곡액(曲腋, 曲掖) ; [동의어] 액와부위. 어깨 아래 겨드랑이 뒤의 접히는 곳.
곡엽산( 葉散) ; 대장의 실열로 피를 누며 배꼽 아랫부위가 비트는 듯이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곡영 ; [동의어] 물닭개비.
곡우(曲隅) ; [동의어] 곡주(협거혈부위).
곡우(穀雨) ; 24절기의 6번째. 매해 4월 20일이나 21일에 해당.
곡원(曲垣) 수태양소장경의 혈.
곡적(穀賊) ; 곡식 가시랭이가 목구멍에 걸려서 삼켜도 내려가지 않고 게워도 나오지 않는 것.
곡절(曲節) ; [동의어] 수소음심경의 내소해혈.
곡정초(谷精草) ; [참조] 고위까람.
곡정초탕(穀精草湯) ; 마마나 홍역으로 눈이 벌겋고 눈물이 나오며 눈이 부시고 깔깔하며 검은자위에 예막이 생겼을 때 쓰는 동약처방.
곡[국]제(麴劑) ; 동약법제품의 하나. 한 가지 또는 몇 가지 약재를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발효시켜 만든 약재.
곡주(曲周) ; [동의어] 곡우. 아래턱 모서리에 있는 협거혈부위.
곡지(曲池) ; [동의어] 귀신, 양택, 귀거. 수양명대장경의 혈.
곡차(曲差) ; [동의어] 비충. 족태양방광경의 혈.
곡창(穀脹) ; 창만의 하나로 명치 밑이 그득하고 뜬뜬하며 아프고 가슴이 답답하며 신트림이 나고 입맛이 없다.
곡채 [동의어] ; 물닭개비.
곡천(曲泉) ; 족궐음간경의 혈.
곡초 ; [동의어] 물닭개비.
곡추 ; [동의어] 팔굽.
곡추(曲鰍) ; [동의어] 위중옹.
곡추갈탈갈 ; 주관절 탈구.
곡추내 ; [동의어] 족태양방광경의 위중혈.
곡충형(曲蟲形) ; 팔단금의 하나. 지문이 구불구불한 벌레처럼 나타난 것.
곡취창(穀嘴瘡) ; 흔히 얼굴에 여드름 같은 것이 생겨 짜면 쌀가루즙 같은 것이 나오는 헌데.
곡택(曲澤) ; 수궐음심포경의 혈.
곡피( 皮) ; [동의어] 떡갈나무껍질.
곡협(曲頰) ; 아래턱 모서리에 해당하는 부위.
곡형(曲形) ; [동의어] 을자형.
곤(坤) ; ①팔괘의 하나. ②곤방과 곤시의 뜻.
곤권(困倦) ; 몸이 고달프고 나른한 것.
곤기(困氣) ; 피곤한 기색이나 느낌.
곤담환(滾痰丸) ; [동의어] 몽석곤담환. 습열과 담음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어지러우며 정신이 맑지 못하며 가래가 많은 데,
7정으로 정신이 똑똑하지 못한 데, 몸이 비만하고 기력이 좋은 사람이 중풍에 걸려 몸 절반을 잘 쓰지 못하면서 뒤가 굳은 데,
담음으로 신트림이 나고 소화가 안되며 군침을 흘리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곤독(困篤) ; 병이 매우 심한 것 또는 병이 위중한 증.
곤륜(崑崙) ; ①족태양방광경의 혈. 족태양경의 경혈이며 화. ②[동의어] 가위톱.
곤박(困薄) ; 몸이 피곤하고 쇠약해진 것.
곤방(坤方) ; ①24방위의 하나. 곧바른 남쪽과 곧바른 서쪽 사이의 한가운데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위. ②팔방의 하나.
곤법(滾法) ; 안마법의 하나.
곤시(坤時) ; 지난날에 쓰던 24시간 가운데서 열여섯번째 시간. 오후 2시 반부터 3시 반까지.
곤원(坤元) ; 만물을 성장시키는 근원이라는 말.
곤폐(困幣) ; 병에 지쳐서 몸이 나른해진 것.
곤포(昆布) ; [참조] 다시마.
골감(骨疳) ; [동의어] 신감(腎疳).
골경(骨 ) ; 뼈가 인두, 식도에 걸린 것.
골공(骨空) ; ①두 뼈 사이에 해당하는 부위. ②골수강. ③뼈마디 안.
골궐(骨厥) ; 궐증의 하나로 배가 고픈 감은 있으나 먹고 싶지 않으며 얼굴빛이 몹시 검어지고 기침하면 피가 나오며
숨이 차서 헐떡거리고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며 명치 밑이 더뿌룩하면서 아프고 놀라기를 잘하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무서워한다.
골극(骨極) ; 6극의 하나로 뼈가 몹시 허손된 증.
골단(骨斷) ; [동의어] 골절(骨折).
골담초(骨痰草) ; 콩과에 속하는 골담초(Caragana chamlagu Lam.)의 뿌리를 말린 것.
골도(骨度) ; [동의어] 골도분촌법.
골도법(骨度法) ; [동의어] 골도분촌법.
골도분촌법(骨度分寸法) ; [동의어] 등분법. 몸의 각 부위를 일정한 수로 등분한 다음 그 한 등분을 1치로 하고 그 수치에 의하여 혈의 위치를 정하는 방법.
골동(骨疼) ; 뼈가 시큰시큰 아픈 것.
골로(骨 ) ; [동의어] 유담.
골루저(骨 疽) ; 팔꿈치 앞 바깥쪽의 수양명대장경이 통하는 부위에 생긴 저.
골류(骨瘤) ; 유의 하나로 뼈에 생긴 종물.
골립모초(骨立毛焦) ; 몸이 여위어 뼈가 앙상하게 드러나고 머리털이나 피부가 까슬까슬한 것.
골맥(骨脈) ; 뼈와 혈맥을 합해서 이른 말.
골무꽃 ; 꿀풀과에 속하는 골무꽃(Scutellaria scordifolio. Fisch. et Schrank.)의 옹근풀을 말린 것.
골미(骨美) ; [동의어] 백미(白薇).
골본(骨本) ; ①광대뼈. ②[동의어] 골절. 뼈에서 기본이 되는 것.
골봉(骨鋒) ; 부러진 뼈의 뾰족한 끝.
골분골(骨盆骨) ; [동의어] 골반뼈.
골비(骨痺) ; [동의어] 연절. 비증의 하나로 뼈가 몹시 저리고 아프며 몸이 무겁고 마비감이 있으며 팔다리뼈마디가 무겁고 마비감이 있으며 찬 감을 느낀다.
골산(骨 ) ; 뼈마디가 몹시 시큰시큰한 것.
골상(骨傷) ; [동의어] 골절. 뼈조직에 병이 생긴 것.
골성(骨聲) ; 부러진 뼈를 만질 때 끝들이 서로 마주치는 소리.
골속신(骨屬腎) ; 뼈를 신(腎)에 소속시켜서 이른 말.
골쇄(骨碎) ; 골절 때에 뼈가 부스러진 것.
골쇄보(骨碎補) ; 고란초과에 속하는 골쇄보[Drynaria fortunei (Kunze) J. Sm.]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
골수(骨髓) ; 뼈의 해면질과 골수강에 들어 있는 연한 조직.
골식(骨蝕) ; 뼈가 상해서 점차 침식되어 들어가는 것.
골안응정( 眼凝睛) ; [동의어] 어정불야. 외장눈병의 하나로 눈알이 점차 두드러져 올라오고 잘 돌아가지 않는 병증.
골열(骨熱) ; 뼛속에 열감이 있는 것.
골열감로(骨熱疳 ) ; 감질 때 허열이 계속되는 병증.
골왜(骨歪) ; 외력을 받아 뼈의 해부학적 형태가 달라진 것.
골위(骨 ) ; [동의어] 신위. 허리와 잔등이 시큰거리면서 힘이 없고 폈다 굽혔다 하기 힘들며 다리의 힘살이 늘어지고 약해져서 잘 걷지 못하는 병증.
골위수부(骨爲髓府) ; 뼈는 수가 저장되는 곳이라는 말.
골위창(骨 瘡) ; 헌데의 하나. 허벅다리, 잔등에 생겨 오랫동안 낫지 않는 헌데.
골저(骨疽) ; 뼈에 생긴 저.
골저(骨 ) ; [동의어] 천골(엉덩뼈).
골절(骨折) ; [동의어] 절골, 골단. 뼈가 부러진 것.
골절(骨絶) ; 10절증의 하나로 등뼈가 시큰거리고 아프며 허리가 무거워서 돌아눕기 힘들어 하는 것.
골절근단상(骨折筋斷傷) ; 뼈가 부러지고 힘줄이 끊어진 것.
골절동통(骨節疼痛) ; 뼈마디가 아픈 것.
골조풍(骨槽風) ; [동의어] 아차발, 천후, 천시독, 천시발. 위, 아래턱뼈와 그 부위 살갗이 붓고 아픈 병증.
골중(骨重) ; 몸이 무겁다라는 뜻.
골증(骨蒸) ; [동의어] 골증열.
골증로(骨蒸勞) ; [동의어] 골증열.
골증로열(骨蒸勞熱) ; [동의어] 골증열.
골증병(骨蒸病) ; [동의어] 골증열.
골증야열(骨蒸夜熱) ; 골증열이 밤에 나는 것.
골증열(骨烝熱) ; [동의어] 골증로, 골증, 골증병, 골증로열. 허로병 때 뼛속이 후끈후끈 달아 오르는 증.
골지여(骨之餘) ; [동의어] 이빨.
골창(骨脹) ; 부골저에서 진물이 계속 나오고 오랫동안 아물지 않으면서 부골이 나오는 것.
골청(骨淸) ; 뼈가 시린 것. [참조] 골한.
골축병(骨縮病) ; 뼈와 힘줄이 위축되는 증상.
골통(骨痛) ; 뼈가 아픈 것.
골풀속살 ; [동의어] 등심, 등심초. 골풀과에 속하는 골풀[Juncus decipiens (Buch.) Nakai]의 줄기속살을 말린 것.
골풍(骨風) ; 무릎이 몹시 붓고 뻣뻣해서 잘 쓰지 못하는 것.
골한(骨寒) ; 뼈에 시린 감이 있는 것.
골해(骨解) ; 뼈와 뼈가 연결된 곳. 뼈마디.
골회(骨會) ; 8회혈의 하나로 족태양방광경의 대저혈.
곰두릅뿌리껍질 ; [동의어] 땅두릅뿌리껍질.
곰뼈약술 ; 각종 신경통, 관절염 그 밖의 아픔멎이약으로 쓰는 동약술.
곰열 ; [동의어] 웅담. 곰과에 속하는 곰(Ursus thibetanus Curier) 또는 큰곰(Ursus arctos L.)의 열을 말린 것.
곰취 ; 국화과에 속하는 곰취[Ligularia fischeri (Ledeb.) Turcz.]의 뿌리를 말린 것.
곱돌 ; [동의어] 활석, 액석, 탈석, 번석, 공석. 단사정계의 규산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광석.
곱흙 ; [참조] 적석지.
공(攻) ; [동의어] 하법. 보사법의 사(瀉).
공(恐) ; 7정 또는 5지의 하나. 무서워하는 것(겁내는 것).
공거(功鉅) ; [동의어] 버들옻.
공격(恐膈) ; [동의어] 한격(寒膈).
공견(攻堅) ; 소법의 하나로 굳고 뜬뜬한 것을 삭아 없어지게 하는 방법.
공고(控睾) ; 아랫배와 고환이 당기면서 아픈 병증.
공공수(公公須) ; [동의어] 주먹참외.
공구(恐懼) ; 몹시 무서워하거나 두려워하는 것.
공궤(攻潰) ; [동의어] 투농. 고름집이 생겼을 때 밖으로 터지게 해서 고름을 빼내고 독을 없애며 부은 것을 삭이고 아픔을 멈추는 치료방법.
공규(空竅) ; ①몸의 겉에 있는 구멍. 귀, 눈, 입, 코, 전음, 후음 등 9규. ②몸의 겉에 있는 9규와 한규, 진규, 정규 등을 말한다.
공독(攻毒) ; 치료법의 하나로 사독(邪毒)을 치는 방법.
공리(攻裏) ; [동의어] 하법(下法).
공리불원한(攻裏不遠寒) ; 치료원칙의 하나로 공하법으로 이실증을 치료할 때는 반드시 성질이 찬약을 써야 한다는 것.
공미 ; [동의어] 율무쌀.
공보겸시(攻補兼施) ; 치료법의 하나. 공하법과 보법을 같이 쓰는 방법.
공복(空腹) ; [동의어] 빈속. 소화가 다 되어 위 내용물이 소장, 대장으로 내려가고 위 속이 빈 때.
공복복(空腹服) ; [동의어] 평단복. 빈속에 약을 먹는 것. 주로는 끼니 전 새벽에 약을 먹는 것.
공사(攻邪) ; [동의어] 공(攻). 사기를 친다는 뜻.
공사인(貢砂仁) ; [동의어] 축사씨.
공상신(恐傷腎) ; 지나치게 무서워하면 신(腎)을 상한다는 말.
공석(共石) ; [동의어] 곱돌.
공손(公孫) ; 족태음비경의 혈. 족태음경의 낙혈이며 8맥교회혈의 하나.
공심(空心) ; [동의어] 빈속. 소화가 다 되어 위내용물이 소장, 대장으로 내려가고 위 속이 빈 때.
공심복(空心服) ; 위 속이 빈 때 약을 먹는 것. 끼니 전에 약을 먹는 것.
공연단(控涎丹) ; [동의어] 묘응단, 묘응환, 자룡환. 담음으로 몸이 여기저기 당기면서 아픈 데, 손발이 저리고 머리가 몹시 아픈 데,
몸이 붓거나 배에 물이 차서 숨차며 대소변을 잘 보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공연환(控涎丸) ; 여러 가지 간질이 오래 끌면서 발작할 때에 거품침이 많이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공염(公苒) ; [동의어] 박새뿌리.
공작고사리 ; 공작고사리과에 속하는 공작고사리(Adiantum pedatum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공장(空腸) ; [동의어] 속썩은풀.
공정싸리 ; [동의어] 싸리버들옻.
공정향(公丁香) ; [동의어] 정향.
공중(恐中) ; 유중풍 원인의 하나.
공즉기하(恐則氣下) ; 지나치게 무서워하면 기(정기)가 아래로 내려간다는 말.
공진단(拱辰丹) ; 어지럽고 얼굴에 핏기가 없으며 허리와 다리가 시리고 저리며 잘 보이지 않는 데, 여러 가지 빈혈, 만성소모성 질병, 음위증 등 때 쓰는 동약처방.
공진흑원단(拱辰黑元丹) ; 태음인이 음혈부족으로 잘 들리지 않고 잘 보이지 않는 데, 하지무력증, 허리아픔과 기침 등이 있는 데, 허약자의 이한증에 쓰는 동약처방.
공청(空靑) ; 탄산염류로 된 광석인 남동광(Azurite).
공청원(空靑元) ; 눈동자 속에 흰점이 생기면서 아픔이 낮에 덜하고 밤에 더한 데 쓰는 동약처방.
공초(空草) ; [동의어] 패모.
공최(孔最) ; 수태음폐경의 혈. 수태음경의 극혈.
공피증(鞏皮症) ; [동의어] 경피병.
공하(攻下) ; [동의어] 하법.
공하설(攻下說) ; 병치료에서는 사기를 몰아내는 데 기본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 옛날 의학이론의 하나.
공하약(攻下藥) ; [참조] 설사약.
공하축수탕(攻下逐水湯) ; 간경변으로 배에 물이 갑자기 많이 차서 숨이 몹시 가쁘고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 동약처방.
공혈(孔穴) ; [동의어] 침혈.
곶감죽 ; 출혈 일반에 쓰는 동약죽.
과[고]( ) ; [동의어] 살. 양쪽 넓적다리 사이.
과(過) ; ①정상보다 지나친 것. ②잘못된 것. ③잘 통하게 하거나 없어지게 한다는 것.
과( ) ; [동의어] 과골(복사뼈).
과개( 疥) ; 과창 또는 과창과 개창을 합해 이르는 말.
과견저(過肩疽) ; 견저의 하나. 어깨의 뒤쪽에 생긴 저.
과경(過經) ; ①상한 때 병이 1개 경맥으로부터 다른 경맥으로 넘어간 것. ②상한전경 날짜가 지난 것. [참조] 과경불해.
과경불해(過經不解) ; 상한전경 날짜가 다 지났는데도 병이 낫지 않는 것. 상한을 앓은 지 6-7일이 지났는데도 병이 낫지 않는 것.
과골 ; [동의어] 관골(골반뼈).
과골( 骨) ; [동의어] 관골(골반뼈).
과골(跨骨) ; ①[동의어] 관골(골반뼈). ②[동의어] 족양명위경의 양구혈.
과골( 骨) ; ①안쪽 복사뼈와 바깥 복사뼈를 합해서 이르는 말. ②노뼈의 경상돌기.
과골( 骨) ; [동의어] 관골(골반뼈).
과권설( 圈舌) ; [동의어] 흥훈변흑설.
과궐( 厥) ; ①장딴지가 싸늘해지면서 쥐가 이는 증. ②족태양방광경의 시동병으로서 허리가 아프고 넓적다리 마디를 구부리지 못하여
오금을 마음대로 놀리지 못하고 장딴지가 터지는 것같이 아픈 증.
과기경행(過期經行) ; [동의어] 월경후기.
과기음(過期飮) ; 달거리 양이 적어지게 되면서 핏덩이가 섞여 나오고 아랫배가 아파서 누르지도 못하게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과동(顆冬) ; [동의어] 관동화.
과등력(瓜藤 ) ; 나력의 큰 결절이 목에서부터 가슴, 겨드랑이, 등에까지 내려가면서 생긴 것.
과등전(瓜藤纏) ; 다리에 여러 개의 멍울이 잇닿아 생기는 것.
과라(果 ) ; [동의어] 하늘타리뿌리.
과렴( ) ; 옛날에 상처를 감을 때 쓰던 천, 붕대 등.
과루(瓜蔞) ; [참조] 하늘타리열매.
과루경엽(瓜蔞莖葉) ; [동의어] 하늘타리 줄기, 잎.
과루계지탕(瓜蔞桂枝湯) ; 태양경병으로 머리가 아프고 목덜미가 당기며 열이 나고 바람을 싫어하고
팔다리가 뻣뻣한 감이 있거나 당기는 등 증상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과루근(瓜蔞根) ; [참조] 하늘타리뿌리.
과루근산(瓜蔞根散) ; 돌림병을 앓은 뒤에 열이 내리지 않거나 때때로 열이 나는 데, 어린이가 열이 있고 갈증이 나서 답답해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과루산(瓜蔞散) ; 유옹으로 젖퉁이에 멍울이 생겨 부어 오르면서 오싹오싹 춥고 열이 나는 데와 여성들의 젖퉁이의 깊은 곳에
농양이 생겨 딴딴하면서 뻐끈하고 약간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과루실(瓜蔞實) ; [동의어] 하늘타리열매.
과루실환(瓜蔞實丸) ; 먹은 것이 잘 내려가지 않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숨이 차고 아픈 것이 잔등까지 뻗치는 데와 열격에 쓰는 동약처방.
과루우방탕(瓜蔞牛蒡湯) ; 유옹 초기에 젖퉁이가 벌겋게 붓고 열감이 나면서 아프고 오싹오싹 춥고 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과루인(瓜蔞仁) ; [참조] 하늘타리씨.
과루지각탕(瓜蔞枳殼湯) ; 담이 몰려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나며 기침을 하고 숨이 차며 몸이 나른하면서
맥이 없는 데와 급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기관지천식 등 때 쓰는 동약처방.
과루지실탕(瓜蔞枳實湯) ; 목안에 가래가 붙어 잘 나오지 않고 가슴이 아파 돌아눕지 못하는 데, 담이 심규를 막아 말을 잘하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과루피(瓜蔞皮) [참조] ; 하늘타리열매껍질.
과루해백반하탕(瓜蔞 白半夏湯) ; 흉비증에 쓰는 동약처방.
과루해백백주탕(瓜蔞 白白酒湯) ; 가슴아픔이 등으로 퍼지면서 숨이 차며 기침이 나고 가래가 성하며 답답한 데와 협심통 등에 쓰는 동약처방.
과루행련환(瓜蔞杏連丸) ; 술을 많이 마신 것이 원인이 되어 가래가 성하고 기침을 하는 데와 오랜 기침에 쓰는 동약처방.
과루환(瓜蔞丸) ; 소갈로 가슴이 답답하면서 갈증이 심하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과립산제 ; [동의어] 싸락약.
과마옹(跨馬癰) ; 엉덩이 아래 가로간 금이 있는 데 생긴 옹.
과반산(瓜礬散) ; 코 안에 군살이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과병(瓜病) ; 뱃속에 참외 모양의 적이 있는 병.
과산룡(過山龍) ; [동의어] 꼭두서니.
과슬풍(過膝風) ; 학슬풍이 두 무릎에 생긴 것.
과식(過食) ; 음식을 정상보다 지나치게 많이 먹는 것.
과신 ; [동의어] 볼기살(둔근).
과실(過失) ; 잘못이나 허물.
과월(課月) ; 달마다. 매달.
과월불산(過月不産) ; 해산달이 퍽 지났어도 해산하지 않는 것. 임신이 42주 이상 지속되는 것.
과음(過淫) ; 성생활을 지나치게 하는 것.
과음(過飮) ; 술이나 물을 너무 지나치게 많이 마시는 것.
과일(課日) ; 날마다. 매일.
과자금(瓜子金) ; [동의어] 애기풀.
과저(過疽) ; 발목에 생긴 저.
과절(過節) ; 정상보다 지나친 것.
과정(瓜丁) ; [동의어] 참외꼭지.
과정산(瓜丁散) ; [동의어] 세신산. 코 안에 군살이 생겨 코가 메고 역한 냄새가 나며 냄새를 맡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과종(果宗) ; [동의어] 배.
과창( 瘡) ; 팔다리에 대칭성으로 생기는 습진.
과채적(菓菜績) ; 적의 하나로 설사가 심하고 뱃속에서 덩이가 만져진다.
과체(瓜 ) ; [참조] 참외꼭지.
과체산(瓜 散) ; 오랜 담과 식적로 정신이 흐리고 어지러우며 가슴이 답답한 데와 태음인의 졸중풍 초기에 쓰는 동약처방.
곽란( 亂) ; 갑자기 게우고 설사하는 병증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곽란건구( 亂乾嘔) ; 곽란 때 헛구역을 하는 것.
곽란구얼( 亂嘔 ) ; 곽란 때 게우거나 딸꾹질을 하는 것.
곽란망음증( 亂亡陰證) ; 게우기와 설사로 음액이 많이 소모된 증.
곽란번갈( 亂煩渴) ; 곽란으로 갈증이 나고 안타까워하는 증.
곽란사역( 亂四逆) ; 곽란 때 팔다리가 싸늘해지는 것.
곽란심복통( 亂心腹痛) ; 곽란 때 명치 밑이 아픈 것.
곽란전근( 亂轉筋) ; [동의어] 조각사. 게우기와 설사로 다리의 힘살 주로 비장근에 경련이 이는 병증.
곽란하리( 亂下利) ; 곽란으로 설사하는 것.
곽란허번( 亂虛煩) ; 곽란을 앓은 뒤에 허번이 생긴 증.
곽란허탈증( 亂虛脫證) ; 게우기와 설사로 진액과 양기가 몹시 손상된 증.
곽탕(藿湯) ; [동의어] 미역국.
곽향(藿香) ; 꿀풀과에 속하는 방아풀 곧 배초향(Agastache rugosa O. Kuntze)과 광곽향[Pogostemon cablin (Blanco) Benth.]의 옹근풀을 말린 것.
곽향안위산(藿香安胃散) ; 비위가 허약하여 먹은 것이 잘 내려가지 않고 명치 밑이 트적지근하면서 게우는 데와 급성 및 만성 위염에 쓰는 동약처방.
곽향양위탕(藿香養胃湯) ; 위가 허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며 팔다리가 점차 약해져서 잘 걷지 못하는 데, 질벽에 미란이 생겨서 잘 낫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곽향좌금환(藿香左金丸) ; 몹시 게우고 설하면서 열이 나고 배가 꼬이는 듯이 아프며 입 안이 마르고 가슴이 답답하며
오줌이 누렇고 토물과 대변에서 역한 냄새가 날 때 쓰는 동약처방.
곽향죽(藿香粥) ; 중늙은이가 여름철 더위에 상하여 오슬오슬 춥고 열이 나면서 머리가 아프며 속이 더뿌룩하며
게우거나 설하고 입맛이 없고 정신이 맑지 못한 데 쓰는 동약처방.
곽향평위산(藿香平胃散) ; 비위가 허약하여 명치 밑이 트적지근하고 소화가 안되며 때로 트림이 나면서 게우는 데와 급성 및 만성 위염에 쓰는 동약처방.
관 ; 꼬리뼈와 엉덩뼈 부위. 엉덩이부위.
관(關) ; ①[동의어] 관맥, 관부. ②[동의어] 슬관절. ③기구맥이 인영맥보다 2배 정도 세게 뛰는 것. ④오줌이 통하지 않는 병증. ⑤오줌이 전혀 나오지 않는 것.
관(灌) ; 외치법의 하나로 옛날에 찬물로 목욕을 시켜서 체온을 내리게 하던 방법.
관( ) ; [동의어] 관골(광대뼈).
관거(貫渠) ; [동의어] 쇠고비.
관격(關格) ; ①여러 가지 병증. ②병리적인 측면에서 음양이 조화되지 못한 것. ③인영맥과 촌구맥이 세게 뛰는 것.
관계(官桂) ; [동의어] 육계.
관계부자이중탕(官桂附字理中湯) ; [동의어] 인삼부자관계탕. 소음인이 기침을 하는 데 소화되지 않은 변을 설사하며 배가 불러 오르고
입 안이 마르며 팔다리가 찬 데, 음성격 양증으로 가슴이 답답하고 메스꺼우며 의식이 혼미한 데 쓰는 동약처방.
관고 ; 엉덩이와 꽁무니를 합해서 이른 말.
관골 ; ①골반뼈. 장골, 좌골, 치골 등 3개의 뼈가 붙어 이루어진 하나의 넓적한 뼈. ②족소양담경의 환도혈.
관골( 骨) ; [동의어] 광대뼈.
관골정( 骨 ) ; 광대뼈부위에 생긴 정창. [참조] 정창.
관구저( 口疽) ; [동의어] 예저, 미려발. 꼬리뼈 끝에 난 저.
관농(貫膿,灌膿) ; 천연두를 앓을 때 구슬이 내돋은 다음 속에 고름이 차는 것.
관동꽃봉오리 ; [동의어] 관동화.
관동백부환(款冬白附丸) ; 기침을 하고 가래가 나오며 숨이 차고 가슴이 아픈 데, 급성(만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에 쓰는 동약처방.
관동화(款冬花) ; [동의어] 과동. 국화과에 속하는 관동(Tussilago farfara L.)의 꽃봉오리를 말린 것.
관동화산(款冬花散) ; 풍한에 폐가 상하여 가슴이 답답하고 가래가 많이 나오면서 숨이 차고 기침을 하고 목안이 붓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관동화탕(款冬花湯) ;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폐결핵, 감기, 돌림감기 등으로 기침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관량(關梁) ; [동의어] 족태양방광경의 금문혈.
관릉(關陵) ; [동의어] 족소양담경의 양관혈.
관맥(關脈) ; [동의어] 관부맥. 촌구 3부맥의 하나. 관부위에서 나타나는 맥.
관명(關明) ; [동의어] 족양명위경의 관문혈.
관문(關門) ; ①[동의어] 문호(門戶). 드나드는 문. ②[동의어] 신(腎). ③혈 이름. 족양명위경에 속한다.
관문불리(關門不利) ; 관문이 장애된 것. 신(腎)의 기화작용의 장애로 오줌이 잘 나오지 못하여 몸이 붓는 것.
관부맥(關部脈) ; [동의어] 관맥.
관비 ; 엉덩이와 넓적다리의 경계부위.
관상(關上) ; 관맥을 보는 부위. 양쪽 팔 촌구의 관부위. [참조] 촌관척.
관수1 ; 손을 씻는 것.
관수2 ; 이빨을 닦고 얼굴을 씻는 것.
관신색(觀神色) ; 망진내용의 하나.신기(神氣)와 색깔을 살펴보는 것.
관양(關陽) ; [동의어] 족소양담경의 양관혈.
관양(觀瘍) ; 광대뼈 끝에 난 헌데. [참조] 정창.
관원(關元) ; ①정혈이 저장되어 있는 곳. ②혈 이름,
관원유(關元兪) ; 족태양방광경의 혈.
관음(關陰) ; ①음이 몹시 성해서 양기와 조화되지 못하여 나타나는 맥상, 촌구맥이 인영맥보다 4배 이상 커진 것. ②오줌을 누지 못하는 증.
관자(關刺) ; [동의어] 기자, 연자. 옛날에 쓰던 침법인 5자의 하나로 침을 팔다리마디의 둘레에 붙어 있는 근육과 힘줄에 직접 놓는 방법.
관적(觀赤) ; 광대뼈부위가 벌겋게 된 것.
관절(貫節) ; [동의어] 쇠고비.
관제(寬劑) ; 기를 고르게 해서 답답한 것을 시원하게 하고 불러 오른 것을 내리게 하는 약제.
관중(貫仲) ; [참조] 쇠고비.
관중(寬中) ; 중초를 편안하게 한다는 말.
관중거담탕(寬中 痰湯) ; 기침을 하고 걸죽한 가래가 나오며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며 명치 밑이 그득하고 구역질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관중양위탕(寬中養胃湯) ; 가슴이 말째고 명치 밑이 그득하고 불러 오르며 메스껍고 게우며 자주 설사하고 입맛이 없으며 온몸이 노곤한 데 쓰는 동약처방.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 담음으로 먹은 것이 잘 내려가지 않고 명치 밑이 그득하며 온몸이 노곤하고 메슥메슥하면서 입맛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관중환(寬中丸) ; 적취로 헛배가 부르고 아프며 얼굴색이 누렇고 몸이 여위는 데 쓰는 동약처방.
관즐 ; 얼굴을 씻고 머리를 빗는 것.
관진(觀診) ; 환자의 기색을 살펴보는 진찰방법.
관천곽(關泉廓) ; [동의어] 뇌곽(눈구석 아랫부위).
관추(關樞) ; [동의어] 태양지양.
관충(關衝) ; 수소양삼초경의 혈.
관침(管針) ; 침을 놓을 때 보조적으로 쓰는 기구.
관타태(慣墮胎) ; [동의어] 활태.
관형찰색(觀形察色) ; 망진내용의 하나. 몸의 형체와 색깔을 살펴보는 것.
관화(菅花) ; [동의어] 띠꽃.
관화(款花) ; [동의어] 관동화.
관흉(寬胸) ; 가슴을 편안하게 한다는 말.
괄(刮) ; [동의어] 괄제. 동약가공방법의 하나로 칼 또는 그 밖의 기구로 약으로 쓰지 않는 부분을 긁어버리는 것.
괄골( 骨) ; [동의어] 쇄골.
괄루( 樓) ; [동의어] 하늘타리열매.
괄루근( 樓根) ; [동의어] 하늘타리뿌리.
괄루인( 樓仁) ; [동의어] 하늘타리씨.
괄법(刮法) ; ①침놓는 방법의 하나. ②안마방법의 하나.
괄장(刮腸) ; ①옛날 병명으로서 음식을 먹자마자 이내 설사하는 것. 직장설사. ②이질증상의 하나.
③여러 가지 병이 괴증이 되어 오랫동안 피고름이 섞인 대변을 누는 것.
괄제(刮除) ; [동의어] 괄(약으로 쓰지 않는 부분을 긁어버리는 것).
광(匡) ; 눈확 둘레를 이루는 뼈.
광(狂) ; [동의어] 광증.
광( ) ; 눈확의 둘레를 이루는 뼈.
광견독(狂犬毒) ; 미친개 병독. 미친개병을 일으키는 독. 미친개병 비루스.
광견상(狂犬傷) ; 미친개에게 물린 것.
광견상출독법(狂犬傷出毒法) ; 미친개 독을 없애는 방법.
광곽향(廣藿香) ; [동의어] 곽향.
광기(狂氣) ; 미친 기미.
광나무열매 ; [동의어] 여정자, 여정실.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광나무(Ligustrum japonicum Thunb.)와
넓은잎광나무(당광나무, 제주광나무)(Ligustrum lucidum Ait.)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광녀(狂女) ; [동의어] 미친 여자.
광대싸리 ; [동의어] 싸리버들옻.
광대중명탕(廣大重明湯) ; 눈에 열감이 나고 벌겋게 부우면서 가렵고 눈곱이 끼고 눈물이 나며 눈이 깔깔하여 뜨기 힘든 데 쓰는 동약처방.
광랑 ; [동의어] 관골(골반뼈).
광망(狂妄) ; 건망이 몹시 심한 것.
광망(狂忘) ; 말과 행동이 비정상적인 것.
광명(光明) ; ①족소양담경의 혈. 족소양경의 낙혈. ②[동의어] 족소양별락. ③경외기혈. ④족태양방광경의 찬죽혈.
광명(廣明) ; 양에 속하는 부위.
광명사(光明砂) ; [동의어] 주사.
광무궤견탕(廣茂潰堅湯) ; [동의어] 광출궤견탕.
광박설(光剝舌) ; [동의어] 광박태(혀이끼가 갑자기 벗겨지는 것).
광박여저신설(光剝如猪腎舌) ; 혀이끼는 끼지 않고 혓바닥이 껍질을 벗긴 콩팥처럼 번들거리고 색이 선명한 혀.
광박태(光剝苔) ; 혀이끼가 갑자기 벗겨지는 것.
광병(狂病) ; [동의어] 광증.
광부(狂夫) ; [동의어] 미친 남자.
광분(光粉) ; [동의어] 연분.
광사(廣嗣) ; 자녀가 많은 것.
광약(狂藥) ; ①사람을 미치게 하는 약. ②[동의어] 술.
광언(狂言) ; 미쳐서 허튼 말을 하는 것.
광월(狂越) ; 미쳐서 날뛰는 것. 광인 척주 양쪽 부위에 있는 근육.
광인(狂人) ; 미친 사람 또는 정신이상이 온 사람.
광장(廣腸) ; S자상 결장과 곧은창자.
광전(狂癲) ; [동의어] 전광. 미쳐 날뛰면서 겸해서 머리아픔과 어지럼증이 있는 것.
광제비급(廣濟秘 ) ; 동의고전의 하나로 1790년경 이경화가 구급법과 민간치료법을 종합하여 편찬한 책.
광조(狂躁) ; 몸이 괴로워 어찌할 바를 몰라 미친 듯이 날뛰는 증상.
광증(狂證) ; [동의어] 광, 무치. 정신에 이상이 생긴 병증.
광질(狂疾) ; [동의어] 광증.
광창(廣瘡) ; [동의어] 양매창, 매독.
광천찜찔 ; 온천물이나 약수를 살갗이나 점막에 일정한 시간 작용시켜 병을 치료하는 방법.
광출(廣朮) ; [동의어] 봉출.
광출화벽환(廣朮化癖丸) ; 어린이가 유벽 또는 식적으로 가슴과 배가 그득하고 뜬뜬하며 만지지 못하게 아파하며 썩은 냄새가 나는 트림을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괘(卦) ; 고대 중국의 기형(紀形)의 글자.
괘선법 ; [동의어] 약실(또는 보통실)이나 고무줄 등을 누관을 관통시켜 넣은 다음 양쪽 끝을 조여 매어 누관이 벌어지게 하는 방법.
괭이밥풀 ; [동의어] 초장초, 산거초. 괭이밥풀과에 속하는 괭이밥풀(Oxalis corniculata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괴(槐) ; [동의어] 속단.
괴각(槐角) ; [동의어] 홰나무열매.
괴각원(槐角元) ; 풍랭 또는 열독으로 생긴 치질 때나 대장에 화가 성하여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괴각이격환(槐角利膈丸) ; 풍담이 성하여 가슴이 트적지근하고 그득하고 기침하고 숨이 찬 데 쓰는 동약처방.
괴경(槐卿) ; [동의어] 고본.
괴금산(槐金散) ; 오줌에 피가 섞여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괴두(怪痘) ; 두창(천연두)의 경과가 몹시 나쁜 것.
괴두(槐豆) ; [동의어] 망강남자.
괴려지기(乖戾之氣) ; [동의어] 여기. 괴뢰 [참조] 회뢰.
괴맥(怪脈) ; 생명이 위급할 때 나타나는 특수한 맥상.
괴미(槐米) ; [참조] 홰나무꽃.
괴백피(槐白皮) ; [동의어] 홰나무속껍질.
괴백피산(槐白皮散) ; 풍사를 받아서 생긴 이빨아픔이 멎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괴병(壞病) ; [동의어] 괴증. ①태양병을 잘못 치료하여 생긴 병증. ②태양병을 앓는 과정에 또 외사에 감촉되어 태양병이 온학, 풍온 등 다른 병으로 된 것.
괴부(壞府) ; 내장(內臟)이 몹시 상한 것.
괴산(怪産) ; 정상인 태아를 낳지 못하고 기형아나 태아가 아닌(포도상귀태) 것을 낳는 것.
괴상한(壞傷寒) ; 상한병 때 땀을 냈는데 도리어 열이 몹시 나는 것.
괴실(槐實) ; [참조] 홰나무열매.
괴쑥 ; [동의어] 백두산떡쑥. 국화과에 속하는 괴쑥 곧 백두산떡쑥[Antennaria dioica (L.) Gaertner]의 옹근풀을 말린 것.
괴아(槐鵝) ; [동의어] 홰나무꽃.
괴예(槐 ) ; [동의어] 홰나무꽃.
괴옹저(壞癰疽) ; 옹저 때 고름이 터져 나온 후에도 높은 열이 계속되는 것.
괴육(壞肉) ; [동의어] 부육.
괴자(槐子) ; [동의어] 홰나무열매.
괴자환(槐子丸)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괴저(壞疽) ; 몸의 일정한 부위가 손상되거나 기혈순환이 장애되어 괴사된 것. 괴저알약 특발성 괴저 때 앓는 다리가 밤에
몹시 더 아프고 국소가 거멓게 되면서 마르거나 붓고 아프면서 고름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괴증(壞證) ; [동의어] 괴병.
괴질(怪疾) ; ①지난날에 병의 원인과 본태를 알 수 없는 이상한 병을 가리키던 말. ②[동의어] 곽란(콜레라).
괴합(魁蛤) ; [동의어] 피조개.
괴형환(槐荊丸) ; 장풍과 치루로 대변을 본 뒤 피가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괴화(槐花) ; [참조] 홰나무꽃.
괴화산(槐花散)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괴화탕(槐花湯) ;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데 특히 장풍과 장독에 쓰는 동약처방.
괴화환(槐花丸) ;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으로 피나기 증상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괵( ) ; [동의어] 괵중(오금의 한가운데).
괵중( 中) ; 오금 한가운데. 위중혈부위에 해당.
괵혈( 血) ; 오금부(위중혈부위)에서 피가 나오는 것. 오금핏줄에서 나오는 출혈.
굉(肱) ; ①위팔. 어깨에서 팔굽까지. ②[동의어] 팔뚝. ③팔 전체.
굉골(肱骨) ; [동의어] 상박골(위팔뼈).
굉현 ; 여자의 전음부위에서부터 양쪽 서혜부 임파절까지 붓고 아픈 것.
교( ) ; [동의어] 옆구리.
교각사(絞攪 ) ; [동의어] 건곽란.
교감단(交感丹) ; 기울로 가슴이 답답하고 명치 밑이 그득하며 아무것도 먹고 싶은 생각이 없으면서 몸이 여위고, 마음이 항상 불안한 데 쓰는 동약처방.
교감지황전원(交感地黃煎元) ; 해산 후 미친 사람처럼 발광하는 데, 가슴과 배가 그득하고 번갈이 나고 입 안이 허는 데,
목안이 부으면서 추웠다 열이 났다 하고 가슴이 할랑거리면서 잠들기 힘든 데,
산후중풍으로 얼굴이 벌겋고 몸을 뒤틀면서 이를 악무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교감출혈(交感出血) ; [동의어] 교접출혈.
교결출혈(交結出血) ; [동의어] 교접출혈.
교경(交脛) ; [동의어] 행경상교.
교경무자(交經繆刺) ; [동의어] 무자법.
교골(交骨) ; ①여자 골반의 좌골. ②치골결합부위.
교골불개(交骨不開) ; 해산할 때 산부의 교골이 벌어지지 않는 것. 교골은 치골이나 치골결합.
교골불개난산(交骨不開難産) ; 해산할 때에 산부의 교골이 벌어지지 않아 해산이 장애되는 것.
교골저(咬骨疽) ; 넓적다리의 안쪽에 생긴 부골저.
교괴(驕槐) ; [동의어] 너삼.
교구 ; [동의어] 성생활.
교내 ; [동의어] 기병( 病).
교담(膠痰) ; [동의어] 노담. 오래 지속되는 완고한 담증의 하나.
교등(交藤) ; [동의어] 은조롱.
교등환(交藤丸) ; 정혈부족으로 머리카락이 일찍 희어지는 데, 허리와 다리가 시큰시큰하고 힘이 없으며 유정 등이 있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교룡(蛟龍) ; [동의어] 교룡가.
교룡가(蛟龍 ) ; 8가의 하나.
교룡병(蛟龍病) ; [동의어] 교룡가.
교마( 摩) ; [동의어] 안마.
교맥(蕎麥) ; [참조] 메밀.
교밀탕(膠蜜湯) ; 늙은이나 허약한 사람이 뒤가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교백고(較白膏) ; 모든 창양과 타박받은 데 쓰는 동약처방.
교상(咬傷) ; 짐승, 뱀, 독벌레 등 동물에게 물린 것 또는 물려서 생긴 상처을 통틀어 이르는 말.
교시(交時) ; [동의어] 바위손.
교신(交信) ; 족소음신경의 혈.
교아(咬牙) ; [동의어] 개치(이빨을 가는 것).
교아풍(咬牙風) ; [동의어] 쇄후풍.
교애궁귀탕(膠艾芎歸湯) ; 태동불안이 있으면서 아래로 피가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교애사물탕(膠艾四物湯) ; 임신부가 음혈부족으로 아랫배가 무직하거나 아프면서 피가 보이는 데, 절박유산 때 쓰는 동약처방.
교애육합탕(膠艾六合湯) ; 임신부가 상한을 앓아 땀을 내고 설사를 시킨 다음에 자궁에 출혈이 계속되면서 배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교애탕(膠艾湯) ; 임신부가 기혈부족으로 아래로 피가 보이는 데, 태아가 처지면서 허리와 아랫배가 아픈 데,
충임맥이 허하여 달거리 양이 많아지면서 허리와 아랫배가 아픈 데, 임신부가 몸조리를 잘못하여 태기가 위로 치미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교유(咬乳) ; [동의어] 기병( 病).
교의(交儀) ; [동의어] 족궐음간경의 여구혈.
교이(膠飴) ; [참조] 엿.
교인 ; [동의어] 도인법.
교자(蕎子) ; [동의어] 메밀.
교장(嬌臟) ; [동의어] 폐.
교장사(絞腸 ) ; [동의어] 건곽란.
교장증(交腸症) ; [동의어] 대소장교. 여자가 오줌에 대변이 섞여 나오는 증.
교접출혈(交接出血) ; [동의어] 교결출혈, 교감출혈. 성생활 때 생기는 성기출혈 즉 접촉출혈.
교제(膠劑) ; 동약제형의 하나로 동물의 가죽, 뿔, 뼈 등을 끓여서 얻은 단백물질을 졸여 덩어리 모양으로 굳힌 반투명한 고체약재.
교제수화(交濟水火) ; [동의어] 수화상제.
교충(交衝) ; [동의어] 독맥의 후정혈.
교치(咬齒) ; [동의어] 개치(이빨을 가는 것).
교태환(交泰丸) ; 가슴이 트적지근하고 답답하고 쓰리며 뒤가 굳었다 묽었다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교통(絞痛) ; 비트는 것처럼 몹시 아픈 것.
교통심신(交通心腎) ; ①심신불교를 치료하는 방법. ②심과 신(腎)을 서로 통하게 한다는 뜻.
교합(交合) ; [동의어] 성생활.
교현루(絞弦漏) ; 치루의 하나. 환홍루 때 누관이 일정한 부위에서 터진 것.
교황산(膠黃散) ; 어린이들이 피를 게우거나 코피가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교회(交會) ; ①2개 이상의 경맥이 한 곳에 모였다가 다시 갈라져 가는 것. ②성생활.
교회(咬蛔) ; [동의어] 거위(회충).
교회혈(交會穴) ; 2개 또는 그 이상의 경맥이 서로 교차되거나 교회하는 부위의 침혈.
'대체요법 > 동양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의학사전( 나 ~능후 ) (0) | 2010.06.03 |
---|---|
한의학 사전 (구 ~귤홍삼하탕) (0) | 2010.06.03 |
거 ~계흉 (0) | 2010.06.03 |
한의학사전 (0) | 2010.06.03 |
4대의서 (0) | 2010.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