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요법/동양의학

한의학사전( 나 ~능후 )

나비채 2010. 6. 3. 13:01

 나 ~능후

나(螺) ; ①5불녀의 하나. 질의 선천적 발육기형. ②[동의어] 우렁이.
나( ) ; 나력에서 멍울이 작은 것. [참조] 나력.
나(羅) ; 약가루를 가는 채로 치는 것.
나개예(螺盖 ) ; [동의어] 선라돌기.
나격(羅膈) ; [동의어] 가름막.
나도겨이삭 ; [동의어] 조풀.
나도근( 稻根) ; [동의어] 찰벼뿌리.
나도근수( 稻根鬚) ; [동의어] 찰벼뿌리.
나도여로 ; 나리과에 속하는 나도여로[Zygadenus sibiricus (L.) A. Gray]의 옹근풀을 말린 것.
나래취 ; [동의어] 각씨취. 국화과에 속하는 나래취[Saussurea pulchella (Fisch.) DC.]의 옹근풀을 말린 것.
나력(  ) ; ①임파절에 멍울이 생긴 병증. 노서창, 역자경, 구자포, 경력, 서창, 서천창. ②경외기혈.
나력경풍(  驚風) ; 나력을 앓는
과정에 만경풍 증후가 겹친 병증.
나력구(  灸) ; 경외기혈.
나력루(  瘻) ; 나력이 곪아터져서 누공이 생기고 아물지 않는 것.
나력풍(  風) ; 나력의 하나. 설감이 오래되어 목과 턱에 멍울이 생겨 아프고 딴딴하며 점차 곪는 것.
나루( 瘻) ; [동의어] 나력루.
나륵(羅勒) ; [동의어] 난향. 꿀풀과에 속하는 나륵(Ocimum basilicum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나리 ; [동의어] 백합, 중상, 마라, 중봉화, 강구. 나리과에 속하는 참나리(Lilium lancifolium Thunb.),
          하늘나리[Lilium concolor Salisb. var. partheneion(Sieb. et De vr.) Bak.], 털중나리(Lilium amabile Palib.),
          말나리(Lilium distichum Nakai) 등의 비늘줄기를 말린 것.
나리죽 ; 늙은이들의 만성기관지염, 폐열로 인한 마른기침, 콧물, 눈물이 많이 나는 데, 신경쇠약, 폐결핵, 여성들의 갱년기 장애에 쓰는 동약죽.
나마(蘿 ) ; [참조] 박주가리.
나마자(蘿 子) ; [참조] 박주가리씨.
나물취 ; [동의어] 참취.
나미( 米) ; [참조] 찹쌀.
나미초( 米炒) ; [참조] 미초.
나법(拿法) ; ①안마법의 하나. [참조] 추나법. ②정골법의 하나. 손상된 부위를 당기는 방법.
나병( 餠) ; [동의어] 찰떡.
나병(癩病) ; [동의어] 문둥병. [참조] 뇌풍.
나복(蘿蔔) ; [동의어] 무.
나복고(蘿蔔膏) ; [동의어] 조각산.
나복자(蘿蔔子) ; [동의어] 무씨.
나부목(蘿芙木) ; [동의어] 나우월피아뿌리. 유선화과에 속하는 나부목(Rauwolfia serpentina Bentham)의 뿌리를 말린 것.
나비나물 ; 콩과에 속하는 나비나물(Vicia unijuga A. Br.)의 옹근풀을 말린 것.
나사 ; [동의어] 우렁이.
나언(懶言) ; 말하기 싫어하는 증상.
나팔꽃씨 ; [동의어] 견우자, 금령, 흑축, 백축. 메꽃과에 속하는 나팔꽃(Pharbitis nil Chois.)의 여문씨를 말린 것.
나포도(癩葡萄) ; [동의어] 유자.
나[뇌]풍(癩風)  ; [동의어] 문둥병.
나하초(奈荷草) ; [동의어] 할미꽃뿌리.
나흘마(癩 麻) ; [동의어] 마른두꺼비.
낙(烙) ; [동의어] 낙법.
낙(絡) ; ①[동의어] 낙법. ②12경맥이 표리관계를 가지는 장 또는 부와의 연계를 표현.
낙가(落痂) ; 헌데가 다 나아서 딱지가 떨어지는 것 또는 떨어진 딱지.
낙각(絡却) ; [동의어] 강양, 뇌개, 낙극. 족태양방광경의 혈.
낙극(絡 ) ; [동의어] 족태양방광경의 낙각혈.
낙노(酪奴) ; [동의어] 찻잎.
낙려(落藜) ; [동의어] 능쟁이.
낙맥(落脈) ; [동의어] 맥락, 해맥. 경맥에서 갈라져 나온 가지. [참조] 15낙맥, 365락.
낙맥요법(落脈療法) ; 낙혈에 침을 놓아 병을 치료하는 방법.
낙법(烙法) ; 외치법의 하나. 여러 가지 형태의 금속기구를 불에 벌겋게 달구어 병조부위를 지지는 방법.
낙산(落産) ; [동의어] 유산.
낙석등(落石藤) ; [참조] 마삭줄줄기.
낙소(落蘇) ; [참조] 가지.
낙유(絡兪) ; 살갗에서 보이는 맥락.
낙자(落刺) ; 침놓는 방법의 하나. 체표면에 울혈되어 있는 가는 핏줄을 찔러 피를 뽑는 방법.
낙지경(落地驚) ; [동의어] 초생불제(갓나서 울지 못하는 증).
낙지다리 ; 범의귀풀과에 속하는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의 옹근풀을 말린 것.
낙초(落草) ; [동의어] 해산.
낙추자(洛 子) ; [동의어] 댑싸리씨.
낙치(落齒) ; 이빨이 빠지는 것.
낙치복생(落齒復生) ; 늙은이가 이빨이 빠진 뒤에 다시 이빨이 나오는 것.
낙침(落枕) ; [동의어] 실침, 곧은목, 실경. 목이 아파서 잘 놀리지 못하는 증.
낙침경통(落枕頸痛) ; 베개를 잘못 베고 자서 목이 아픈 것.
낙태(落胎) ; [동의어] 반산(半産).
낙함(落 ) ; [동의어] 탈하해. 하악관절탈구.
낙혈(絡穴) ; 15낙맥이 갈라져 나온 곳에 있는 침혈.
낙혈(絡血) ; 낙맥 속으로 흐르는 혈.
낙화생(落花生) ; [참조] 땅콩.
낙화생피(落花生皮) ; [참조] 땅콩 속껍질.
낙회(落回) ; [동의어] 죽사초.
낚시둥굴레 ; [동의어] 황정, 토죽, 녹죽, 계격, 중류. 나리과에 속하는 낚시둥굴레(Polygonatum sibiricum Rehd.)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
난(卵) ; [동의어] 음낭(고환).
난각풍(爛脚風) ; ①발이 가려우면서 진물이 나고 허는 것. ②뇌풍(문둥병) 때 발바닥이 짓무르며 허는 것.
난간(暖肝) ; 간경에 한사가 몰린 것을 치료하는 방법.
난간전(暖肝煎) ; 간신의 음한으로 아랫배와 음낭부위가 차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난경(亂經) ; [동의어] 경행선후무정기.
난궁종사환(暖宮 斯丸) ; 기혈부족과 신양부족으로 생긴 불임증에 쓰는 동약처방.
난궁환(暖宮丸) ; 음혈부족 또는 신기가 허하여 달거리 양이 적어지는 데 쓰는 동약처방.
난기(暖氣) ; 따뜻한 기운.
난기(亂氣) ; ①기가 혼란된 것. ②기와 혈이 혼란된 것.
난담법(暖痰法) ; 한담을 치료하는 방법.
난대(蘭臺) ; [동의어] 왼쪽 콧방울.
난두유아(爛頭乳蛾) ; [동의어] 난유아.
난력(爛 ) ; 나력이 곪아터진 것.
난문( 門) ; [동의어] 희맹부. 소장과 대장이 연결되는 곳.
난문(蘭門) ; 경외기혈.
난문형(亂紋形) ; 지문의 한 형태. 지문이 헝클어진 무늬처럼 나타난 것.
난미혈(蘭尾穴) ; [동의어] 경외기혈인 충수혈.
난병(暖病) ; 지나치게 덥게 하여 생긴 병증.
난산(難産) ; [동의어] 산난. 태아만출에 장애를 주는 여러 가지 이상해산을 통틀어 이르는 말.
난설변(爛舌邊) ; [동의어] 설란(舌爛).
난수장(煖水臟) ; [동의어] 온신. 난을 덥게 한다는 뜻.
난아(爛牙) ; [동의어] 충치(蟲齒).
난위(暖胃) ; [동의어] 온위산한. ①성질이 따뜻하거나 더운 약으로 위한증을 치료하는 방법. ②위를 덥게 한다는 뜻으로도 쓴인다.
난유(難乳) ; [동의어] 불유증.
난유아(爛乳蛾) ; [동의어] 난두유아. 유아의 하나. 후액(편도)이 허는 병증.
난육(爛肉) ; 연부조직이 헤지거나 짓무르는 것.
난의창(爛衣瘡) ; 갓난아이가 난 지 30일 안에 좁쌀 같은 벌건 점이 온몸에 돋는 것.
난자법(亂刺法) ; 침놓는 방법의 하나. 삼릉침이나 잎침으로 살갗의 여러 곳을 찔러 피를 빼는 방법.
난장(爛腸) ; 위장 안에 궤양이나 미란이 생긴 것.
난정(爛 ) ; 정창의 하나. 살갗상처를 통하여 사독이 침입하거나 습열화독이 기부에 몰려서 생김.
난창(爛瘡) ; [동의어] 표저.
난청(難廳) ; [동의어] 이롱. 헷갈릴 정도로 잘 듣지 못하는 증.
난충형(亂蟲形) ; 지문의 한 형태. 지문이 벌레들이 무질서하게 움직이는 모양처럼 나타난 것.
난축(卵縮) ; [동의어] 향등골나물.
난초(蘭草) ; [동의어] 낭축 .
난퇴(卵 ) ; ①퇴산의 하나. 고환이 붓고 뜬뜬하며 배가 켕기면서 쥐어 트는 것같이 아픈 증. ②[동의어] 수산.
난퇴(爛腿) ; [동의어] 염창.
난향(蘭香) ; [동의어] 나륵.
난향음자(蘭香飮子) ; 물과 음식을 많이 먹으며 오줌을 많이 누고 땀이 나며 뒤는 굳고 몸이 여위는 소갈에 쓰는 동약처방.
난현풍(爛弦風) ; [동의어] 검현적란.
난후단사(爛喉丹 ) ; [동의어] 나후산, 역후사, 후사, 성홍열. 온독의 하나.
난후비(蘭喉痺) ; 후비의 하나. 간위의 열독이나 돌림사기에 의해 생김.
난후사(爛喉 ) ; [동의어] 난후단사.
난후옹(爛喉癰) ; [동의어] 종란후옹.
난후풍(爛喉風) ; 후풍의 하나. 목안에 궤양이 생기고 아픔이 있는 병증.
날가(辣茄) ; [동의어] 고추.
날료(辣蓼) ; [동의어] 맴쟁이.
날료초(辣蓼草) ; [동의어] 맴쟁이.
날법(捏法) ; 안마법의 하나. [참조] 날척법.
날석(涅石) ; [동의어] 백반.
날완골입요법(捏腕骨入 法) ; 정곡수법의 하나. 완관절탈구정복에 쓰이는 방법.
날자(辣子) ; [동의어] 머귀나무열매.
날적법(捏積法) ; [동의어] 날척법.
날척법(捏脊法) ; [동의어] 날적법. 날법의 하나.
남가새열매 ; [동의어] 백질려, 방통, 굴인, 지행, 시우, 승추, 즉려, 자생. 남가새과에 속하는 남가새(Tribulus terrestris L.)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남경(男莖) ; 남자의 외생식기인 음경.
남과인(南瓜仁) ; [참조] 호박씨.
남과자(南瓜子) ; [참조] 호박씨.
남극수성탕(南極壽星湯) ; [동의어] 남성탕. 풍열담이 성하여 생긴 급경풍으로 경련이 일어날 때 쓰는 동약처방.
남극연생탕(南極延生湯) ; [동의어] 우황사심탕(牛黃瀉心湯).
남근(男根) ; 남자의 외생식기인 음경.
남내(男內) ; 남자가 병이 생기면 성생활을 삼가해야 한다는 것.
남로(藍露) ; [동의어] 청대.
남문설(藍紋舌) ; 남색 주름이 무질서하게 생긴 혀.
남미설(藍微舌) ; 연한 남색을 띠는 혀.
남박하(南薄荷) ; [동의어] 박하.
남사등(南蛇藤) ; [참조] 노박덩굴줄기.
남색설(藍色舌) ; 남색을 띠는 혀.
남생이배딱지 ; [동의어] 구판, 신옥. 남생이과에 속하는 남생이(Geoclemys reevesii Gray)의 배딱지를 말린 것.
남성(南星) ; [동의어] 천남성.
남성방풍산(南星防風散) ; 풍이 몰려 턱이나
뺨이 부어 오르면서 속에 멍울이 생긴 데와 전후풍에 쓰는 동약처방.
남성탕(南星湯) ; [동의어] 남극수성탕.
남실(藍實) ; [동의어] 쪽씨.
남엽(藍葉) ; [동의어] 쪽잎.
남엽산(藍葉散) ; 여러 가지 단독으로 붓고 아프며 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남왕(男王) ; [동의어] 석웅황.
남자(藍子) ; [동의어] 쪽씨.
남전근(藍 根) ; [동의어] 대청뿌리.
남초(南草) ; [동의어] 속단.
남태설(藍苔舌) ; 남색 혀이끼가 낀 혀.
남편두(南扁豆) ; [동의어] 까치콩.
납거미 ; [동의어] 벽전, 벽경. 납거미과에 속하는 납거미(Uroctea compactilis Koch.)를 말린 것.
납기(納氣) ; ①신(腎)의 기능의 하나. 들이쉰 숨을 받아들인다는 말. ②[동의어] 보신납기.
납기귀신(納技歸腎) ; 신의 납기작용이 잘 되도록 한다는 말.
납기법(納氣法) ; 소아허탈, 숨차기, 기가 허한 데 쓰는 치료법.
납다(臘茶) ; [동의어] 찻잎.
납매(納) ; 위가 음식을 받아들이는 기능이 장애된 것.
납법(拉法) ; [동의어] 발신법, 예법, 신법, 발법. 안마법의 하나.
납월(臘月) ; [동의어] 음력 섣달(12월).
납자( 子) ; [동의어] 빈랑.
납전산(蠟煎散) ; 허로로 기침을 하며 숨이 차고 피고름이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납촉감(蠟燭疳) ; 감창의 하나. 음경에 생긴 헌데가 오래되어 터진 것.
납침(納針) ; [동의어] 내침. 침을 살 속으로 들이미는 것.
납향고(臘享膏) ; 동상으로 피부가 허는 데 쓰는 동약처방.
납환(蠟丸) ; [동의어] 밀알약.
낭(囊) ; [동의어] 음낭.
낭독(狼毒) ; [참조] 오독도기.
낭루(狼瘻) ; 누창의 하나.
낭리(囊痢) ; 이질의 하나. 갑자기 찬 기운을 받아서 생긴 이질.
낭산(狼疝) ; 산증의 하나. 아랫배와 전윽이 당기면서 아프고 뒤가 굳은 증.
낭습증(囊濕症) ; 음낭에 땀이 많이 나서 축축한 증.
낭아(狼牙) ; 장미과에 속하는 집신나물(Agrimonia pilosa Ledeb.)의 싹이 붙은 어린 뿌리줄기를 말린 것.
낭아초(狼牙草) ; [동의어] 낭치, 낭자, 선학초, 용아초. 집신나물의 옹근풀을 말린 것.
낭어(浪語) ; [동의어] 섬어. 말하는 것이 조리가 없는 것.
낭옹(囊癰) ; [동의어] 신낭옹. 음낭에 생긴 옹.
낭이(囊耳) ; 정이( 耳) 때 약한 귀울음이 있으면서 퍼런 색의 고름이 나오는 것.
낭자(狼子) ; [동의어] 낭아초.
낭종(囊腫) ; ①[동의어] 낭옹. ②음낭이 부은 것.
낭축(囊縮) ; [동의어] 난축. 음낭이 줄어드는 증상.
낭치(狼齒) ; [동의어] 낭아초.
낭탈(囊脫) ; [동의어] 탈낭.
낭탕근(狼 根) ; [참조] 독풀뿌리.
낭탕자(狼 子) ; [참조] 사리풀씨.
낭파초(狼把草) ; [동의어] 가막사리.
낭하습양(囊下濕 ) ; 음낭부위가 늘 축축하고 가려운 것.
내(內) ; ①안, 안쪽. 바깥, 바깥쪽과 상대되는 말. ②받아서 넣어두거나 들여놓는다. ③침을 꽂는다. ④성생활을 한다는 뜻.
내간 ; 젖먹이 어린이의 전간.
내감 ; [동의어] 비감.
내감(內疳) ; ①감질의 하나. 감질이 오래되어 위장의 증상이 나타나는 병증. ②[동의어] 유감.
내감창 ; 내감 때 생긴 헌데. [참조] 비감(脾疳).
내감창(內疳瘡) ; 내감으로 생긴 헌데.
내격(內格) ; ①생리적 기능이 외부환경에 잘 적응되지 못하는 것. ②속에 음기가 지나치게 성하여 양기와 서로 사귀지 못하는 것.
내견우(內肩 ) ; 경외기혈. 내경(內經) 경맥이 장부에 들어간 것.
내고청심산(內固淸心散) ; 심옹과 옹저, 악창으로 가슴이 답답하며 태질을 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내고환(內固丸) ; 손발과 속이 차고 소화가 잘 안되며 입맛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내곤륜(內崑崙) ; 경외기혈.
내공(內攻) ; 홍역, 천연두 등의 병독이 속으로 들어가서 중한 상태에 빠지는 것.
내과(內 ) ; [동의어] 합골. 발목 안쪽 복사뼈.
내과저(內 疽) ; 저의 하나. 안쪽 복사뼈 부위에 생긴 저.
내과첨(內 尖) ; ①발목 안쪽 복사뼈의 맨 도드라진 곳. ②경외기혈.
내관(內關) ; ①[동의어] 일음(溢陰). 속에 몹시 성한 음사가 몰려 양기와 음기가 서로 조화되지 못하는 것. ②대변이 막혀서 통하지 못하는 것.
                   ③병이 중한데 맥상은 변화가 없는 것. ④혈 이름. ⑤[동의어] 수궐음별락.
내궤(內潰) ; 속에서 내옹이 터진 것.
내급(內急) ; ①갑자기 대변을 보고 싶어하는 것. ②속으로 힘줄이 오그라드는 것.
내급외이지병(內急外弛之病) ; 눈까풀 살갗은 이완되고 그 기슭은 줄어들어 속눈썹과 그 주위 피부가 풍륜(각막)쪽으로 향한 눈병.
내기(來氣) ; 6기 가운데서 해당한 시기에 맞추어 오는 기.
내뉵(內 ) ; 입으로 피가 나오는 것.
내단(內丹) ; 남자의 정낭이나 여자의 자궁이 있는 곳.
내독(內毒) ; ①몸 속에서 생긴 열독. ②속에 있는 독.
내동(乃東) ; [동의어] 꿀풀.
내동자요(內瞳子 ) ; [동의어]
경외기혈인 어미혈.
내렴(內廉) ; ①안쪽 기슭. ②정강이와 팔뚝의 안쪽.
내로(耐老) ; 나이는 많아도 기력이 약해지지 않아서 늙은이 같지 않은 것.
내루(內漏) ; ①외상으로 인한 내출혈. ②속에 생긴 누공. ③귓속에서 고름이 나오는 것.
내림(內淋) ; [동의어] 고림.
내마 ; [동의어] 내마자, 태마, 유마. 갓난아이의 온몸에 반점이 돋는 병증.
내마자 ; [동의어] 내마.
내마점(內麻点) ; 경외기혈.
내발(內發) ; 내인으로 병이 생긴 것.
내발단독(內發丹毒) ; 단독의 하나. 가슴과 배, 허리에 생긴 단독.
내번(內煩) ; 열이 높지 않은 것 같으나 속에 열이 있어서 가슴이 답답한 것.
내범(內泛) ; 눈알 안쪽에서 혹정에로 군살이 자라서 들어가는 것. [참조] 노육반정.
내벽 ; [동의어] 유옹벽.
내병외취(內病外取) ; 몸 속에 생긴 병을 몸 겉부위에서 치료하는 방법.
내보환(內補丸)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내복(萊 ) ; [동의어] 무.
내복근(萊 根) ; [참조] 무.
내복단(來復丹) ; [동의어] 흑석단.
내복자(萊 子) ; [참조] 무씨.
내부(內府) ; [동의어] 6부.
내사형(來蛇形) ; 지문형태의 하나.
내상(內傷) ; ①내장장기가 허손되어 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 것. ②외상이나 기타 요인으로 내장장기와 기혈이 상한 것. ③[동의어] 내손(內損).
내상곽란(內傷 亂) ; 내인에 의하여 생긴 곽란.
내상두통(內傷頭痛) ; 내상으로 생기는 머리아픔.
내상발열(內傷發熱) ; 발열의 하나. 내상으로 생기는 열.
내상오한(內傷惡寒) ; 오한의 하나. 내상으로 생긴 오한.
내상요통(內傷腰痛) ; 요통의 하나. 간, 비, 신이 허하거나 습담, 어혈, 내상 등에 의해서 생김.
내상음식경(內傷飮食痙) ; 소아경병의 하나. 음식에 상하여 생긴 경련.
내상축혈(內傷蓄血) ; 내상으로 어혈이 속에 몰려 있는 병증.
내상해소(內傷咳嗽) ; 해소의 하나. 내상으로 생긴 기침.
내상해역(內傷咳逆) ; 천증의 하나. 내상에 의해 기가 치밀어서 생긴 숨찬 증.
내상해혈(內傷咳血) ; 해열의 하나. 7정내상으로 간화가 폐의 낙맥을 상하거나 폐신음이 허하거나 기가 허한 것 등으로 생김.
내상후비(內傷喉痺) ; 후비의 하나. 내상으로 생긴 후비.
내생기환(內生肌丸) ; 오래된 누창이 잘 아물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내선 ; [동의어] 태렴창.
내소 ; [동의어] ; 유소(乳嗽).
내소(內消) ; ①[동의어] 창양내소법. ②[동의어] 하소. 소갈병의 하나. ③[동의어] 강중(强中). ④[동의어] 자형피.
내소법(內消法) ; [동의어] 외과소법. 창양치료법의 하나. 창양이 곪기 전에 약을 먹어서 삭게 하는 방법.
내소산(內消散) ; ①음식을 먹고 체한 데, 옹저 및 장옹, 배벽에 생긴 옹, 변독 등으로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내소승마탕(內消升麻湯) ; 부골저로 뼈에 고름집이 생긴 데 쓰는 동약처방.
내소옥설탕(內消沃雪湯) ; 여러 가지 옹과 항문 주위가 붓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내소해(內少海) ; [동의어] 곡절. [참조] 소해.
내소환(內消丸) ; 나력으로 목부위에 멍울이 생기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내소황련탕(內疎黃連湯) ; 옹저로 피부가 부어 오르고 열이 몹시 나면서 입 안이 마르고 가슴이 답답하며 뒤가 굳은 데 쓰는 동약처방.
내손(內損) ; 외상으로 기혈이나 장부가 상한 병증. [동의어] 내상.
내습(內濕) ; 몸 안에서 생긴 습.
내승부(內承扶) ; 경외기혈.
내신(內腎) ; [동의어] 신(腎). 외신과 상대되는 말.
내실(內實) ; [동의어] 이실.
내실외허(內實外虛) ; [동의어] 내통외쾌.
내실외허맥(內實外虛脈) ; 맥상의 하나. 사기가 성하고 표에는 기가 허한 때 나타나는 맥.
내안각(內眼角) ; [동의어] 내자(눈구석).
내암 ; [동의어] 유암.
내약(內藥) ; [동의어] 먹는 약.
내양지(內陽池) ; 경외기혈.
내열(內閱) ; 7규를 살펴보고 5장의 상태를 추측하는 것.
내열(內熱) ; [동의어] 이열.
내열외한(內熱外寒) ; [동의어] 외한내열. ①속에는 열이 있고 겉으로는 한증증상이 나타나는 병리현상. [참조] 진열까한.
                               ②표한증과 이열증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 [참조] 표한이열.
내염창(內 瘡) ; 정강이뼈 안쪽에 생긴 염창. [참조] 염창.
내오한(內惡寒) ; 속이 차서 오한이 나는 증.
내온(內溫) ; 침 놓는 방법의 하나.
내옹(內癰) ; 장부 혹은 가슴이나 뱃속에 생긴 옹.
내외치(內外痔) ; [동의어] 내외치질.
내외치질(內外痔疾) ; [동의어] 내외치, 혼합치질. 내치질과 외치질이 겸한 것.
내외치핵(內外痔核) ; [동의어] 내외치질.
내유구한(內有久寒) ; [동의어] 침한 고랭.
내이(內耳) ; 속귀. 균형감각과 청각을 받아들이는 장치가 있는 부위.
내인(內因) ; 병인분류의 하나. 병을 일으키는 내적 요인.
내일(內溢) ; 항문으로 피가 나오는
것.
내자(內 ) ; [동의어] 목내자, 대자, 내안각. 눈의 코쪽 아래 위 눈꺼풀이 연결된 부위.
내자외(內 外) ; 족태양방광경의 정명혈.
내장(內障) ; [동의어] 목내장. 동신이나 눈 속에 생긴 눈병들.
내장(內藏) ; 가슴과 배 안에 있는 여러 기관.
내저(內疽) ; 몸 안 즉 장부에 생긴 저.
내적 ; [동의어] 유벽.
내정(內 ) ; 정창의 하나. 비교적 깊은 곳에 생긴 정창.
내정(內庭) ; 족양명위경의 혈.
내조(內釣, 內弔) ; [동의어] 경조. 어린이 경풍의 하나. 흔히 한랭을 받은 것이 원인이 되어 생김.
내조(內燥) ; 조증의 하나.
내조사간(內釣似*) ; 급경풍류증의 하나. 한사가 몰려서 생김.
내조제(內釣啼) ; 경풍내조제의 하나. [참조] 경풍내조제.
내즙 ; [동의어] 유즙(젖).
내증(內蒸) ; 증병의 하나.
내지실(內志室) ; 경외기혈. 내진자 젖먹이 어린이의 발진성 질병.
내취(內吹) ; [동의어] 내치유.
내취(內取) ; 먹는 약으로 치료한다는 말.
내취유(內吹乳) ; [동의어] 내취. 임신시기에 생긴 유옹.
내치(內治) ; 먹는 약으로 여러 가지 병증을 치료한다는 말.
내치(內痔) ; [동의어] 내치질.
내치루(內痔漏) ; 치루의 하나. 누공이 항문 및 직장 안에 난 것.
내치질(內痔疾) ; [동의어] 내치. 항문 안 즉 치상선 위에 생긴 치질.
내치핵(內痔核) ; [동의어] 내치질.
내침(內針) ; [동의어] 납침.
내침우황환(內針牛黃丸)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내탁(內托) ; [동의어] 내탁법.
내탁강활탕(內托羌話湯) ; 엉덩이에 옹이 생긴 때 쓰는 동약처방.
내탁백렴산(內托白斂散) ; 겨드랑이 밑에 생긴 멍울이 터져 고름이 나오고 아물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내탁법(內托法) ; [동의어] 탁법, 탁리. 창양치료법의 하나.
                         창양이 곪았을 때 기혈을 보하는 약으로 정기를 보하고 독을 밖으로 몰아내서 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방법.
내탁부전산(內托復煎散) ; 음저가 속으로 몰려 장부를 침범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내탁산(內托散) ; 헌데가 붓고 아프며 잘 아물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내탁승마탕(內托升麻湯) ; [동의어] 승마탁리탕. 젖퉁이에 생긴 옹이나 여러 가지 악창에 쓰는 동약처방.
내탁천금산(內托天金散) ; 옹저와 악창이 생겨 잘 낫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내탁황기원(內托黃 圓) ; 헌데가 생긴 뒤 아물지 않고 고름이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내탁황기탕(內托黃 湯) ; 부골저 때 미만성 종창이 있으면서 뜬뜬하며 몸이 허약하고 추위를 타며 열이 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내탈(內奪) ; 여러 가지 원인으로 정혈이나 정기가 부족해지거나 쇠약해진 것.
내통외쾌(內痛外快) ; [동의어] 내실외허. 속만 아프고 겉은 아프지 않다는 말.
내풍(內風) ; 병을 앓는 과정에서 생긴 풍증.
내풍소(內風嗽) ; 해소의 하나. 노권내상으로 땀을 많이 흘린 뒤 바람을 맞아 생김.
내한(內寒) ; ①양기가 부족해서 장부의 기능이 약해지고 음한이 성하여 생긴 병증. ②속이 차다는 뜻. ③[동의어] 이한.
내한(耐寒) ; 추위를 견디는 것.
내한외열(內寒外熱) ; [동의어] 외열내한. ①속은 차고 겉으로는 열증증상이 나타나는 병리현상. ②표열증과 이한증이 동시에 나타나는 것. [참조] 표열이한.
내함(內陷) ; ①사기가 속으로 들어간다는 말. ②사기가 왕성하여 정기가 사기를 밖으로 몰아낼 수 없기 때문에 사기가 영분이나 혈분으로 침범해 들어가는 것.
                   ③상한표증이 채 없어지지 않았을 때 잘못 설사를 시켜서 결흉증이나 비증이 생긴 것.
내함증(內陷證) ; [동의어] 내함.
내허(內虛) ; ①몸이 여위고 허약해져 병이 있는 것처럼 보이나 맥상은 정상인 것. ②내장장기가 허약한 것. ③[동의어] 이허. ④[동의어] 속썩은풀.
내허외실맥(內虛外實脈) ; 맥상의 하나. 이의 기는 허하고 표에는 사기가 성한 때 나타나는 맥.
내화천역(內火喘逆) ; [동의어] 화염폐위천.
내황(內黃) ; 황달의 하나. 비위에 몰린 습열이 곡기와 상박되어 생김.
냉감(冷疳) ; [동의어] 수냉감. 냉열감의 하나. 한사의 침입으로 생김.
냉궐(冷厥) ; [동의어] 한궐.
냉기심통(冷氣心痛) ; [동의어] 냉심통.
냉담(冷痰) ; [동의어] 한담.
냉독감리(冷毒疳痢) ; 냉독으로 생긴 감리. [참조] 감리.
냉로(冷勞) ; 허로의 하나. 허로 때 한증이 심한 증.
냉루(冷淚) ; 유루증의 하나. 눈 겉에는 아무런 소견 없이 눈물이 나오는 병증.
냉리(冷痢) ; [동의어] 한리.
냉림(冷淋) ; [동의어] 한림. 임증의 하나.
냉반단(冷飯團) ; [동의어] 비해(  ).
냉보환(冷補丸) ; 신음부족으로 입 안이 마르고 눈이 잘 안 보이고 귀가 들리지 않으며 허리가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냉복(冷服) ; 달임약을 식혀서 먹는 것.
냉비(冷秘) ; [동의어] 한결. 변비의 하나. 방위에 침입한 찬 기운이 기혈순환을 장애하여 생김.
냉비(冷痺) ; [동의어] 한비.
냉설(冷泄) ; [동의어] 한설.
냉소(冷嗽) ; [동의어] 한소.
냉습창(冷濕瘡) ; 가을이나 겨울에 더하고 열감이 없는 습창. [참조] 습독창.
냉심통(冷心通) ; [동의어] 냉기심통, 한궐심통, 한심통. 심통의 하나. 비와 신의 양기가 허하거나 가슴이나 배에 찬 기운을 받아서 생김.
냉애(冷 ) ; 애역의 하나. 갑자기 찬 음식을 먹었거나 찬바람을 맞아 생김.
냉연범(冷涎泛) ; 담이 몰려 냉침을 게우는 것.
냉열감(冷熱疳) ; ①감질의 하나. 열감과 냉감을 합해 이르는 말. [참조] 냉감, 열감 ②피고름이 섞인 설사가 계속되어 어린이가 점차 여위는 병증.
냉열리(冷熱利) ; [동의어] 적백리.
냉열사(冷熱瀉) ; [동의어] 적백리.
냉열소(冷熱嗽) ; 해소의 하나. 한사와 열사를 함께 받아 생긴 기침.
냉열울법(冷熱 法) ; [동의어] 음양울법.
냉음(冷飮) ; 찬 음식을 먹으려 하는 것.
냉음상(冷飮傷) ; 찬물을 지나치게 마셔 생긴 병증.
냉이 ; [동의어] 제채. 배추과에 속하는  냉이(Capsella bursa-pastoris Medicus)의 옹근풀을 말린 것.
냉이죽 ; 쇠약한 늙은이, 노인성 부종, 유미뇨, 만성콩팥염에 쓰는 동약죽.
냉장(冷 ) ; 장학의 하나. [참조] 장학.
냉적(冷積) ; 적의 하나. 비위가 허랭한 데다 한사를 받아 생김.
냉절(冷節) ; [동의어] 한식.
냉정(冷 ) ; 정창의 하나. 발뒤축이나 발바닥에 밤알 같은 것이 나 터져 구멍이 깊이 생긴 것.
냉주(冷 ) ; [동의어] 노채.
냉천(冷喘) ; [동의어] 한천.
냉초(冷草) ; [참조] 숨위나물. 냉초합제 만성위염에 쓰는 동약처방.
냉토(冷吐) ; [동의어] 한토.
냉통(冷痛) ; ①[동의어] 냉심통. ②아픈 곳에 찬 감이 있는 것.
냉한(冷汗) ; ①몸이 차면서 나는 땀. ②열이 없으면서 나는 땀.
냉효(冷哮) ; 한담으로 오는 효증. 너리증 잇몸이 헐어 헤어지는 병.
너삼 ; [동의어] 고삼, 수괴, 고식, 지괴, 교괴, 백경, 호마, 금경, 녹백. 콩과에 속하는 너삼(Sophora flavescens Ait.)의 뿌리를 말린 것.
너삼환 ; 폐결핵으로 열이 나고 기침을 하면서 피가래가 나오는 데 쓰는 동약처방.
너삼황백알약 ; 만성대장염으로 배가 아프고 자주 설사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넓은잎광나무 ; [동의어] 제주광나무. [참조] 광나무.
넘나물뿌리 ; [동의어] 원추리뿌리.
넙(넓)적나무잎 ; [동의어] 식나무잎.
네가래 ; 네가래과에 속하는 네가래(Marsilea quadrifolia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네점고정법 ; 골절 후 전이가 있을 때 네 점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
노(努) ; 침놓는 방법의 하나. 침을 놓을 때 비비는 조작.
노(怒) ; 7정 또는 5지의 하나. 노하거나 성내는 것.
노( ) ; ①윗팔 안쪽의 근육.②[동의어] 윗팔. ③[동의어] 노골(윗팔뼈).
노(勞) ; ①[동의어] 허로.②지나치게 피로했을 때. ③손(損)이 심해진 것.
노(露) ; ①동약법제 방법의 하나. 약물을 그릇에 담아 낮에는 햇볕에 쪼이고 밤에는 이슬을 맞히는 것. ②[동의어] 노제(露劑).
노( ) ; [동의어] 머리뼈.
노가지열매 ; [동의어] 두송실, 두송자. 노가지나무과에 속하는 노가지나무 곧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Sieb. et Zucc.)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노간주나무 ; [동의어] 노가지나무.
노감석(爐甘石) ; 탄산아연을 주성분으로 하는 능아연광.
노겁(勞怯) ; [동의어] 허로.
노격(怒膈) ; [동의어] 기격.

노골( 骨) ; [동의어] 상박골(윗팔뼈).
노골개( 骨開) ; 어린이의 머리뼈가 붙지 않는 것.
노골골상( 骨骨傷) ; [동의어] 상박골 골절.
노광(怒狂) ; 성을 잘 내는 광증.
노교( 交) ; [동의어] 수소양삼초경의 노회혈.
노구(老軀) ; [동의어] 늙은 몸.
노구단(爐口 ) ; 동약법제방법의 하나. 비교적 굳지 않은 광물성 동약이나 동물성 동약을 벌겋게 단 노의 입구에 놓아 벌겋게 달구는 것.
노궁(勞宮) ; [동의어] 장중, 오리, 귀로. 수궐음심포경의 혈.
노권(勞倦) ; ①내상병증으로 늘 노곤해 하는 증. ②허손증을 일으키는 병의 원인.
노권내상(勞倦內傷) ; [참조] 노권①.
노권상(勞倦傷) ; [참조] 노권①.
노극(勞極) ; ①[동의어] 노채. ②7정으로 5장이 상한 증.
노근(勞根) ; 허로의 하나. 본래 가지고 있던 허로병.
노근(蘆根) ; [참조] 갈뿌리.
노근산(蘆根散) ; 당뇨병에 쓰는 동약처방.
노근음자(蘆根飮子)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노기(怒氣) ; 성난 기색이나 감정.
노기(勞氣) ; [동의어] 허로.
노년이롱(老年耳聾) ; 늙은이가 잘 듣지 못하는 것.
노단(露丹) ; 어린이의 얼굴이 벌개지면서 포진이 돋는 병증.
노담(老痰) ; ①담음의 하나. 화사가 상초에 작용하여 폐기가 몰리고 진액이 걸어져 갖풀처럼 된
담. ②조담(燥痰)이 오래된 것.
노당골(勞堂骨) ; [동의어] 비골(가는 정강이뼈).
노두(蘆頭) ; 뿌리 동약에서 대가리부위에 줄기가 붙었던 뿌리줄기.
노란각(老爛脚)  ;[동의어] 염창.
노란만병초잎 ; 진달래과에 속하는 노란만병초(Rhododendron aureum Georgi)의 잎을 말린 것.
노란상사화 ; [참조] 상사화. 노랑꽃자리풀 콩과에 속하는 노랑꽃자리풀(Trigonella ruthenica L.)의 옹근풀을 말린 것.
노랑돌쩌귀 ; [참조] 백부자(白附子).
노랑뚝갈나무 ; 노란만병초. [참조] 노란만병초잎.
노랑어리연꽃 ; 조름나물과에 속하는 노랑어리연꽃[Nymphoides peltata (Gmel.) O. Kuntze]의 옹근풀을 말린 것.
노랑원추리 ; [동의어] 저녁원추리.

노력토혈(勞力吐血)  ;[동의어] 노상구혈. 토혈의 하나. 심한 육체적 피로로 경락을 상해서 생김.
노령(老齡) ; [동의어] 늙은 나이.

노록후풍(勞碌喉風)  ;간신음이 허하거나 지나친 피로로 생긴 후풍.
노롱(勞聾)  ; 이롱의 하나. 가신음이 허하거나 기혈부족으로 생긴 난청.
노룡(老龍) ; 경외기혈.
노루귀풀 ; 바구지과에 속하는 노루귀풀(Hepatica nobilis Mill. var. asiatica Hara)의 옹근풀을 말린 것.
노루발풀 ; 노루발풀과에 속하는 노루발풀(Pyrola japonica Klenze)의 옹근풀을 말린 것.
노루뼈약술 ; 관절염, 각종 신경통, 그 밖의 아픔멎이약, 보약으로 쓰는 동약술.
노루피 ; [동의어] 장혈. 사슴과에 속하는 노루(Capreolus capreolus bedfordi) 또는 백두산노루(Capreolus capreolus pygargus)의 피.
노리(勞痢) ; 이질의 하나. 이질이 낫지 않은 데다 정혈이 소모되어 생김.
노림(老淋) ; 임증의 하나. 늙은이에게서 정기가 허하거나 기가 아래로 처져서 생김.
노림(勞淋) ; 임증의 하나. 노권내상으로 신기가 허해서 생김.
노박덩굴줄기 ; [동의어] 남사등. 화살나무과에 속하는 노박덩굴(Celastrus orbiculatus Thunb.)의 줄기를 말린 것.
노발(勞發) ; ①허로병 때에 담이 몰려 생기는 병증. ②[동의어] 허로발열.
노백피산(老柏皮散) ; 밤눈이 어두워서 해가 지면 잘 보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노병(勞病) ; 노채병. 진액 또는 기혈부족으로 몸이 쇠약해진 틈을 타서 노채증이 침입하여 생김.
노복(勞復) ; [동의어] 차후노복. 과로로 병이 도진 것.
노복(蘆 ) ; [동의어] 무.
노복자(蘆 子) ; [동의어] 무씨.
노봉방(露蜂房) ; [참조] 말벌집.
노봉방환(露蜂房丸) ; 치질로 항문 둘레가 가렵고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노부행경(老婦行經) ; 폐경 나이가 지났는데도 달거리를 하는 것.
노부혈붕(老婦血崩) ; [동의어] 연로혈붕.
노사( 砂) ; [동의어] 북정사. 염화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석.
노상(老商) ; 경외기혈.
노상(勞傷) ; ①[동의어] 노권. ②허로로 몸이 약해진 것.
노상간(怒傷肝) ; 몹시 성을 내면 간이 상한다는 말.
노상구혈(勞傷嘔血) ; [동의어] 노력토혈.
노서창(老鼠瘡) ; [동의어] 나력(  ).
노서태(老鼠胎) ; [동의어] 구태.
노석(蘆石) ; [동의어] 종유석.
노성고(露星膏) ; 어린이가 감질로 자주 열이 나면서 몸이 여위는 데 쓰는 동약처방.
노소(勞嗽) ; [동의어] 노해, 허로해소, 주소, 화울소. 해소의 하나. 허로 때 나는 기침.
노소남녀이맥(老少男女異脈) ; 늙은이와 젊은이, 남자와 여자의 맥이 다르다는 말.
노소실음(勞嗽失音) ; 기침을 오래하여 목이 쉬거나 말을 못하는 증.
노손(勞損) ; [동의어] 허로.
노송나무 ; [동의어] 향나무.
노수 ; [동의어] 늙은 남자.
노수( 輸) ; [동의어] 수소양삼초경의 노회혈.
노식( 息) ; [동의어] 노신. 수소양삼초경의 혈.
노신 ; ①[동의어] 신문(숫구멍). ②[동의어] 수소양삼 초경의 노식혈.
노신(老身) ; [동의어] 늙은 몸.
노심(勞心) ; 애를 쓰는 것 또는 불안, 공포, 억울한 일 등으로 고민하는 것.
노심타혈(勞心唾血) ; 지나친 과로나 고민으로 가래침에 피가 섞여 나오는 증.
노심토혈(勞心吐血) ; 토열의 하나. 육체적 과로로 심화가 치밀어서 생김.
노아과(老鴉瓜) ; [동의어] 주먹참외.
노안(老眼) ; 늙어서 시력이 나빠진 눈.
노애(怒 ) ; 애역의 하나. 7정에 상하여 생김.
노야기 ; [동의어] 향유, 석향, 향여. 꿀풀과에 속하는 노야기[Elsholtzia patrini (Lep.) Geke]의 옹근풀을 말린 것.
노양자(老陽子) ; [동의어] 파두.
노열(勞 ) ; 5열의 하나.
노열(勞熱) ; 허로 때 나는 열.
노예(老 ) ; [동의어] 노예내장.
노예내장(老 內障) ; 원예내장의 하나. ①흐려진 정주(렌즈체)의 질이 비교적 굳은 것. ②[동의어] 숙예.
노옹(老翁) ; [동의어] 늙은 남자.
노요(  ) ; [동의어] 수소양삼초경의 노회혈.

노유(老幼) ; [동의어] 늙은이와 어린이.
노유( 兪) ; ①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의 혈. ②[동의어] 수소양삼초경의 노회혈.
노육(努肉) ; [동의어] 노육반정.
노육반정(努肉攀睛) ; [동의어] 노육침정외장, 어육반정, 적근판정. 외장눈병의 하나.
노육침정외장(努肉侵睛外障) ; [동의어] 노육반정.
노인변비(老人便秘) ; [동의어] 노인비결. 변비의 하나. 늙은이가 혈과 진액이 부족해져 생김.
노인비결(老人秘結) ; [동의어] 노인변비.
노인설(老人泄) ; 설사의 하나. 늙은이의 비위허약으로 옴.
노인장대 ; [동의어] 털여뀌.
노자온(  溫) ; [동의어] 대두온.
노자온지(勞者溫之) ; 노권이라 허로로 생긴 기허증은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는 치료원칙의 하나.
노자해(鷺 咳) ; [동의어] 역해.
노장(老壯) ; [동의어] 늙은이와 장년.
노저(爐底) ; [동의어] 밀타승.
노점(勞漸) ; 몸이 점점 수척하고 쇠약해지는 증상.
노제(老薺) ; [동의어] 말냉이.
노제(露劑) ; [동의어] 노. 동약제형의 하나. 약재를 수증기에 증류해 만든 방향성 액체제제인 먹는 약.
노주(勞 ) ; [동의어] 노채.

노주(露珠) ; 대체로 한 달 정도 된 수정란.
노중(怒中) ; 유중풍의 하나. 몹시 성낸 탓으로 갑자기 정신을 잃고 넘어진 것.
노중례(盧重禮) ; 15세기 초엽 우리나라의 이름 난 의학자.
노즉기모(勞則氣耗) ; 과로하면 정기(精氣)가 소모된다는 것.
노즉기상(怒則氣上) ; 노하면 기가 치밀어 오른다는 것.
노증(勞蒸) ; [동의어] 증병(蒸病).
노차병(老且病) ; 늙고 병든 것.
노창(魯瘡,蘆瘡) ; [동의어] 두창(痘瘡).
노창( 脹) ; 머리피부가 번들거리고 이마 양옆이 불어난 병증.
노채(  ,勞 ) ; ①노채충이 폐에 침입하여 생긴 전염성을 띤 만성소모성 질병. ②허손의 중증.
노채충(勞 蟲) ; 노채병을 일으키는 벌레.
노책(努責) ; 이질 때 대변이 잘 나가지 않아 안간힘을 쓰는 것.
노충( 蟲) ; [동의어] 노채충.
노파(老婆) ; [동의어] 늙은 여자.
노파(蘆巴) ; [동의어] 호로파.
노풍(勞風) ; 체질이 허약한 데 지나치게 힘든 일을 하여 주리가 열린 때 풍사를 받아서 생긴 병증.
노학(勞 ) ; ①학질의 하나. 오래된 학질. ②[동의어] 학모.
노학음(勞 飮) ; [동의어] 해학음. 노학으로 옆구리와 배가 뜬뜬한 것이 생겨 아픈 데 쓰는 동약처방.
노한(勞汗) ; 힘든 일을 해서 나는 땀.
노해(勞咳) ; [동의어] 노소.
노호화(老虎花) ; [동의어] 철쭉꽃.
노환(老患) ; [동의어] 늙은이의 병.
노황(老黃) ; 황달의 하나.
노황(勞黃) ; 황달의 하나.
노황태(老黃苔) ; 설태의 하나. 어두운 누런 색을 띠는 혀이끼.
노회(奴會) ; [동의어] 노회.
노회( 會) ; [동의어] 노교, 노요. 수소양삼초경의 혈.
노회(蘆 ) ; 나리과의 노회 곧 알로에(Aloe arborescens Mill.)와 노회속 곧 알로에속(Aloe sp.) 식물의 진을 졸여 말린 것.
노회엽(蘆 葉) ; [동의어] 알로에잎. 노회 곧 알로에와 노회속 곧 알로에 식물의 잎.
노회환(蘆 丸) ; 감질과 헌데 쓰는 동약처방.
노후붕루(怒後崩漏) ; 몹시 성난 일이 있는 다음에 성기부정출혈이 있는 것.
녹각(鹿角) ; 사슴과에 속하는 사슴(Cervus nippon L.)과 누렁이 곧 백두산사슴(Cervus elaphus L.)의 골화된 뿔.
녹각교(鹿角膠) ; 사슴뿔(녹각)로 만든 갖풀.
녹각교환(鹿角膠丸) ; 골위로 다리에 힘이 없어 서기 힘들어 하고 지각이 마비된 데 쓰는 동약처방.
녹각백상(鹿角白霜) ; [동의어] 녹각상.
녹각산(鹿角散) ; 신양, 신정, 기혈의 부족으로 몸이 허약해지는 데와 유정, 몽설, 음위증 등 때 쓰는 동약처방.
녹각상(鹿角霜) ; 녹각으로 녹각교를 만들고 남은 찌꺼기를 말린 것.
녹각환(鹿角丸) ; 신허, 허리 아픈 데, 머리칼이 빠지거나 이빨에 윤기가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녹경근(鹿莖筋) ; [동의어] 녹신.
녹곽(鹿藿) ; [동의어] 칡뿌리.
녹교(鹿膠) ; [동의어] 녹각교.
녹두(錄豆) ; 콩과에 속하는 녹두(Phaseolus radiatus L.)의 여문씨를 말린 것.
녹두죽(錄豆粥) ; 더위를 먹었을 때, 갈증이 심할 때, 뾰두라지가 생겼을 때, 늙은이 부종, 고지혈증, 당뇨병 등에 쓰는 동약죽.
녹로(  ) ; [동의어] 녹로전관.
녹로관(  關) ; 삼관의 하나. 등뼈의 양쪽 옆.
녹로자전(  自轉) ; [동의어] 녹로전관.
녹로전관(  轉關) ; [동의어] 녹로자전. 외장눈병의 하나. 눈알이 불수의적으로 운동하는 병증.
녹미(鹿尾) ; 사슴의 꼬리를 말린 것.
녹반(綠礬) ; [동의어] 홍반, 청반, 흑반, 조반. 황산 제1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광석.
녹반창출환(綠礬蒼朮丸) ; 과산성 위염, 위 및 십이지장 궤양에 쓰는 동약처방.
녹반환(綠礬丸) ; 피부가 윤기가 없으며 몸이 여위면서 맥이 없고 정신이 흐리터분해지는 데, 음식에 체하여 몸이 무겁고
                         헛배가 부르면 입맛이
없고 맥이 없는 데 쓰는 동약처방.
녹백(綠白) ; [동의어] 너삼.
녹백고본환(鹿柏固本丸) ; 정혈부족으로 가슴이 두근거리고 마음이 불안해 잘 놀라고 잠을 못 자는 데 쓰는 동약처방.
녹부탕(鹿附湯) ; 습이 울체되어 온몸이 아프고 발등과 발목이 붓는 데 쓰는 동약처방.
녹수(鹿首) ; [동의어] 마타리.
녹수관동(綠水灌瞳) ; [동의어] 녹풍내장.
녹수관주(綠水灌珠) ; [동의어] 녹풍내장.
녹수범동인(綠水泛瞳人) ; [동의어] 녹풍내장.
녹식설(綠食泄) ; 설사의 하나. 비기가 허약하여 생김.
녹신(鹿腎) ; 사슴과에 속하는 사슴(Cervus nippon L.)과 누렁이(Cervus elaphus L.)의 음경과 고환을 말린 것.
녹약(鹿藥) ; [동의어] 솜대.
녹엽록화초(綠葉綠花草) ; [동의어] 등대풀.
녹용(鹿茸) ; 사슴과 누렁이(Cervus elaphus L.)의 골화되지 않은 어린 뿔을 말린 것.
녹용대보탕(鹿茸大補湯) ; 허로로 얼굴에 핏기가 없으며 정신상태가 우울하고 허리가 시큰시큰 하며 손발이 차고 식은땀이 나며 추위를 타고
                                      유정이 있으며 몸이 허약한 데, 태음인이 몸이 허약하여 추위를 타고 손발이 찬 데, 태음인의 표한증 등에 쓰는 동약처방.
녹용보약(鹿茸補藥) ; 보혈약으로 쓰는 동약처방.
녹용사근환(鹿茸四斤丸) ; 간신허열로 몸에 힘이 없고 힘줄과 뼈가 연약하여 잘 걷지 못하는 데 쓰는 동약처방.
녹용산(鹿茸散) ; 동약처방. 여러 가지 처방이 있다.
녹용환(鹿茸丸) ; 신이 허하여 허리가 아픈 데, 뿌연 오줌을 자주 누며 얼굴색이 거멓고 몸이 여위는 소갈병에 쓰는 동약처방.
녹운고(綠雲膏) ; 나력 또는 마도창 때 외용약으로 쓰는 동약처방.
녹육(鹿肉) ; [동의어] 사슴고기.
녹음경(鹿陰莖) ; [동의어] 녹신.
녹이총(鹿耳蔥) ; [동의어] 산마늘.
녹장(鹿腸) ; ①[동의어] 마타리. ②[동의어] 현삼.
녹제초(鹿蹄草) ; [동의어] 노루발풀.
녹죽(鹿竹) ; [동의어] 낚시둥굴레.
녹총(鹿 ) ; ①[동의어] 박새뿌리. ②[동의어] 원추리뿌리.
녹태(鹿胎) ; 사슴 배 안의 새끼와 태반을 말린 것.
녹태고(鹿胎膏) ; 부인 보약으로 몸이 허약한 데 갱년기장애 등에 쓰는 동약처방.
녹토전(鹿 煎) ; 소갈로 목이 마르고 오줌을 많이 누는 데, 유정, 백탁 등에 쓰는 동약처방.
녹편(鹿鞭) ; [동의어] 녹신.
녹풍(綠風) ; [동의어] 녹풍내장.
녹풍내장(綠風內障) ; [동의어] 녹수범동인, 녹수관주, 녹수관동, 녹풍변화. 오풍내장의 하나. 갑자기 눈동자가 커지고 푸르게 보이면서 잘 보지 못하는 내장눈병.
녹풍변화(綠風變花) ; [동의어] 녹풍내장.
녹혈(鹿血) ; [참조] 사슴피.
농(膿) ; 창양에 생긴 고름.
농(聾) ; [동의어] 듣지 못하는 것(귀머거리).
농가(膿痂) ; 진물과 고름이 함께 말라 붙은 헌데 딱지. [참조] 결가.
농개(膿疥) ; 개창의 하나. 진옴이 감염을 받아 곪은 것.
농과개(膿 疥) ; 옴이 감염을 받아 고름집들이 생긴 것.

농과창(膿 瘡) ; [동의어] 농와창. 농구(膿垢) 이질 때 나오는 곱.
농궤(膿潰) ; 곪아서 터지는 것.
농길리(農吉利) ; [동의어] 활나물.
농루(膿瘻) ; 고름이 계속 흐르는 누창.
농류(膿瘤) ; 유가 오래되어 곪아 고름이 흐르는 것.
농법 ; 안마법의 하나. 두 손바닥 자뼈쪽 면을 서로 마주하여 치료하려는 부위를 쥐고 들었다 놓았다 하는 조작을 거듭하는 방법.
농부(膿腑) ; 옹저 때 피고름이 빠지거나 국한되지 못하고 속에서 장부를 상하게 하는 것.
농비(膿 ) ; 땀띠가 곪아서 누런 색깔의 잔물집들이 생긴 것. [참조] 비자.
농산(弄産) ; 임신 6달부터 9달 사이 2-3일 동안 간헐적인 배아픔이 있다가 혹시 파수되었으나 아직 해산이 시작되지 않은 상태.
농설(弄舌) ; [동의어] 사설, 서설, 사사경. 병으로 혀를 내밀거나 위아래, 좌우로 날름거리는 증.
농설후풍(弄舌喉風) ; 목구멍에 생긴 여러 가지 병으로 혀를 날름거리는 병증.
농아(聾啞) ; [동의어] 암롱. 귀머거리와 벙어리를 겸한 것.
농와창(膿窩瘡) ; 다른 병에 속발성으로 생긴 여러 개의 고릅집 헌데.
농외 ; [동의어] 이롱.
농이(膿耳) ; ①정이의 하나. 귀청 안(고실)이 곪아터져 고름 또는 피고름이 나오는 병증. ②정이 때 붉은 색의 고름이 나오는 것.
농즙(膿汁) ; [동의어] 고름.
농태(弄胎) ; 임신 6달 후나 해산달에 이르러 며칠 동안 배가 아픈 것.
농통(弄痛) ; 임신 후반기 또는 해산할 때에 제대로 해산이 진행되지 않는 것.
농포(膿疱) ; 살갗이나 점막표면에 엷은 피막에 싸여 생긴 고름집.
농포창(膿疱瘡) ; 살갗에 여러 개의 작은 물집이 생겼다가 이내 속에 고름이 차는 피부병.
농혈(膿血) ; [동의어] 피고름.
농혈리(膿血痢) ; 이질의 하나. 피고름이 섞인 대변을 누는 이질.
뇌(腦) ; ①[동의어] 뇌수.
②정수리.
뇌감(腦疳) ; 감질의 하나. 임신중에 풍열을 받았거나 기혈이 부족하여 생김.
뇌개(腦盖) ; ①뇌수를 둘러싸고 있는 뼈. ②[동의어] 족태양방광경의 낙각혈.
뇌개골(腦盖骨) ; [동의어] 두정골(윗머리뼈).
뇌고(腦膏) ; [동의어] 정이(귀지마개).
뇌공(腦空) 족소양담경이 혈.
뇌곽(雷廓) ; [동의어] 관천관. 8곽의 하나. 눈내자의 아랫쪽.
뇌뇨랑(賴尿郞) ; [동의어] 사마귀알집.
뇌뉵(腦 ) ; [동의어] 대뉵.
뇌두(雷頭) ; [동의어] 뇌두풍내장.
뇌두창(癩頭瘡) ; ①문둥병으로 머리에 헌데가 생긴 것. ②머리에 헌데가 생긴 것이 뇌풍(문둥병)과 비슷한 것.
뇌두풍(雷頭風) ; 두통의 하나. 흔히 풍사가 침범하거나 담열로 생긴 풍으로 생김.
뇌두풍내장(雷頭風內障) ; [동의어] 뇌두풍증. 내장눈병의 하나. 머리와 눈이 몹시 아프면서 눈이 어두워지는 병증.
뇌두풍증(雷頭風症) ; [동의어] 뇌두풍내장.
뇌루(腦漏) ; [동의어] 비연.
뇌맥(牢脈) ; 맥상의 하나. 침맥 같기도 하고 복맥 같기도 하면서 세게 눌러 짚으면 실하고 현장(弦長)한 맥.
뇌명(雷鳴) ; [동의어] 복중뇌명, 장중뇌명. 배가 끓으면서 소리가 나는데 장명보다 심한 것.
뇌명(腦鳴) ; [동의어] 천백의. 머리 속에서 벌레 우는 소리 같은 것이 나는 증.
뇌문(腦門) ; ①[동의어] 정수리. ②[동의어] 숫구멍.
뇌발(腦發) ; [동의어] 뇌발저, 옹저.
뇌발저(腦發疽) ; [동의어] 옹저.
뇌병(癩病) ; [동의어] 뇌풍.
뇌봉(腦縫) ; [동의어] 머리뼈들의 맞물림.
뇌봉개열(腦縫開烈) ; 어린이의 머리뼈봉합이 벌어지는 것. [참조] 해로.
뇌붕(腦崩) ; [동의어] 비연.
뇌사(腦砂) ; [동의어] 강뇌사.
뇌사(腦瀉) ; 콧물을 많이 흘리는 것.
뇌삼(腦滲) ; [동의어] 비연.
뇌선(腦宣) ; [동의어] 뇌사(腦瀉).
뇌선(腦旋) ; [동의어] 두선.
뇌수(腦髓) ; 뇌수와 척수를 합해서 이른 말.
뇌수풍(腦髓風) ; 어린이가 뇌에 풍사를 받아 생긴 병증.
뇌역(腦逆) ; 궐역증으로 머리가 아프고 이가 쑤시는 것.
뇌역두통(腦逆頭痛) ; [동의어] 궐역두통.
뇌열(腦熱) ; 머리에 열이 나는 병증.
뇌열주목(腦熱注目) ; 눈까풀이 깔깔해서 눈을 뜨지 못하는 병증.
뇌옹(腦癰) ; 목덜미의 털이 난 경계부의 한가운데에 생긴 옹.
뇌위수지해(腦爲髓之海) ; 뇌는 수가 모이는 곳이라는 말. 뇌유 [참조] 노유.
뇌유(牢濡) ; 뇌맥과 유맥을 합해서 이른 말.
뇌작[표](腦芍) ; [동의어] 후두골.
뇌장두대(腦長頭大) ; 머리가 커진 병증(머리기형).
뇌저(腦疽) ; [동의어] 뇌후발, 항중저. 저의 하나. 목덜미의 털난 경계부위에 생긴 저.
뇌전(腦轉) ; [동의어] 두선.
뇌전이명(腦轉耳鳴) ; 머리가 어지럽고 귀에서 소리가 나는 것.
뇌정풍(腦頂風) ; 어린이가 늘 머리를 흔드는 병증.
뇌증(腦蒸) ; 증병의 하나.
뇌진탕(腦震蕩) ; 뇌수의 기질적 손상 없이 기능적 장애만 있는 병증.
뇌통(腦痛) ; [동의어] 머리아픔.
뇌표[작](腦杓) ; [동의어] 후두골.

뇌풍(腦風) ; 두풍증의 하나. 풍한사가 뇌에 침범하여 생김.
뇌풍(癩風) ; [동의어] 뇌병, 여풍, 대마풍. 살갗에 특이한 헌데가 생기는 만성 전염성 피부병.
뇌풍증(腦風證) ; [동의어] 뇌풍.
뇌한(腦寒) ; [동의어] 비연.
뇌항풍(腦項風) ; 어린이가 늘 머리를 흔드는 병증. [참조] 뇌정풍.
뇌해불합(腦解不合) ; 어린이의 머리뼈가 붙지 않은 것.
뇌호(腦戶) ; ①혈 이름. ②[동의어] 외후두결절부위.
뇌화신침(雷火神針) ; [동의어] 뇌하침. 뜸대뜸의 하나.
뇌화침(雷火針) ; [동의어] 뇌회신침.
뇌환(雷丸) ; 구멍버섯과에 속하는 뇌환균(Omphalia lapidescens Schroet.)의 균핵을 말린 것.
뇌환산(雷丸散) ; 여러 가지 기생충증에 쓰는 동약처방.

뇌황(腦黃) ; 황달의 하나. 뇌회 [참조] 노회.
뇌후(腦後) ; [동의어] 뒤머리부위. 머리의 뒷부분.
뇌후골(腦後骨) ; [동의어] 후두골.
뇌후발(腦後發) ; [동의어] 뇌저.
뇌후정문(腦後頂門) ; 침신(어린이의 뒷숫구멍).
누( ) ; [동의어] 뽕나무뿌리껍질.
누(淚) ; [동의어] 목루, 눈물.
누(漏) ; ①여성성기 부정출혈 즉 붕루와 같은 뜻으로 피가 조금씩 나오는 것. ②눈곱이 계속 끼는 병증. [참조] 누정.
            ③호불남의 하나. 정액이 저절로 나오면서 발기되지 않아 성생활을 하지 못하는 것.
누(瘻) ; 창양이 뚫어져 잘 낫지 않고 진물이 흐르는 병증. [참조] 구루.
누감(漏疳) ; 잇몸이 부어 곪아 낫지 않는 것.
누고(  ) ; [참조] 도루래.
누고루(  瘻) ; 도루래집처럼 생긴 누창.
누고절(  癤) ; [동의어] 선공두. 절의 하나. 여름철에 어린이들의 머리에 생기는 헌데.
누곡(漏谷) ; [동의어] 태음락, 음경. 족태음비경의 혈.
누골(淚骨) ; [동의어] 눈물뼈. 
누공(淚孔) ; ①[동의어] 누당. 눈물이 나오는 구멍.②[동의어] 족태양방광경의 정명혈.
누공(瘻孔) ; 병적으로 생긴 작은 구멍.
누관(瘻管) ; 누창 때 생긴 관.
누규(淚竅) ; [동의어] 누점, 누당, 눈물구멍.
누기(漏氣) ; 음식을 먹으면 게우고 설사하는 병증.
누당(淚堂) ; [동의어] 누규(눈물구멍).
누대(漏帶) ; ①먼저 하혈하다가 다음에 이슬이 계속 흐르는 것. ②대하가 달거리 피처럼 나오는 증.
누력(漏 ) ; 나력이 곪아터져 누공이 생겨 아물지 않는 것.
누로(漏蘆) ; [참조] 뻐꾹채.
누로과(漏蘆果) ; [동의어] 원추리뿌리.
누로산(漏蘆散) ; 기울로 젖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붓고 아프며 멍울이 져 곪으려는 데 쓰는 동약처방.
누로탕(漏蘆湯) ; [동의어] 천금누로탕. 옹저, 등창, 악종 등이 생긴 데 쓰는 동약처방.
누로환(漏蘆丸) ; 어린이가 무고감리로 몸이 여위고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는 데 쓰는 동약처방.
누룩약 ; [동의어] 곡제.
누룩치 ; [동의어] 우산풀.
누리장나무잎 ; [동의어] 취오동엽. 말초리풀과에 속하는 누리장나무(Clerodendron trichotomum Thunb.)의 잎을 말린 것.
누법(縷法) ; [동의어] 악법.
누액(漏液) ; 겨드랑이, 손발바닥, 음낭, 허벅다리 안쪽에 늘 땀이 나 있는 것.
누오색구하(漏五色俱下) ; [동의어] 붕루. 여성성기로부터 여러 가지 색깔의 피가 조금씩 나오는 것.
누음(漏陰) ; 경외기혈.
누점(淚点) ; [동의어] 누규(눈물구멍).
누정(漏睛) ; [동의어] 자루증, 외루. 외장눈병의 하나. 눈구석과 눈귀에 누공이 생겨 고름이 나오거나 누점으로부터 고름이 나오는 병증.
누정(漏精)  ;[동의어] 유정. 정신적 자극을 받아서 정액이 저절로 나오는 것.
누정농출(漏睛膿出) ; [동의어] 규루.
누정창(漏睛瘡) ; 눈구석 정명혈부위가 벌겋게 붓고 곪아터지는 병증.
누창(漏瘡, 瘻瘡) ; 창양 때 고름이 흐르고 냄새가 나면서 낫지 않는 병증.
누치(瘻痔) ; [동의어] 치루.
누치질(瘻痔疾) ; [동의어] 치루.
누태(漏胎) ; [동의어] 태루.
누포(漏胞) ; [동의어] 태루.
누풍(漏風) ; [동의어] 주풍. 술을 마신 뒤에 풍사를 받아 늘 땀을 많이 흘리는 증.
누하(漏下) ; 여성성기 부정출혈.
누하부지(漏下不止) ; [동의어] 붕루. 여성성기로부터 피가 조금씩 계속 나오는 것. 
누한(漏汗) ; 한증의 하나. 표증 때 땀을 지나치게 내 양기가 상하고 위기가 허해져 땀이 멎지 않고 계속 흐르는 것.
눈예(嫩 ) ; [동의어] 눈예내장.
눈예내장(嫩 內障) ; 원예내장의 하나. 흐려진 정주(렌즈체)가 유연해진 것.
눈점 ; [참조] 손침.
눈확 ; 안확, 눈구멍.
눌회(訥會) ; [동의어] 노회. 느러진[늘어진]장대열매 배추과에 속하는 느러진[늘어진]장대(Arabis pendula L.)의 열매를 말린 것.
느릅나무뿌리껍질 ; [동의어] 유근피, 영유, 유피, 유백피.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느릅나무(Ulmus macrocarpa Hance)의 뿌리껍질을 말린 것.
느릅나무열매 ; [동의어] 무이, 무이인, 무고, 전당, 의장, 고유. 느릅나무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
늑(肋) ; [동의어] 늑골.
늑골(肋骨) ; 갈비뼈.
늑골골절(肋骨骨折) ; 늑골이 부러진 것.
늑두(肋頭) ; 경외기혈.
늑저(肋疽) ; [동의어] 협영저, 협형저. 갈비뼈에 생긴 저.
늑초(勒草) ; [동의어] 한삼덩굴.
늑하 ; 경외기혈.
늘어진장대열매 ; [동의어] 느러진장대열매.
늠수(凜水) ; [동의어] 몹시 찬물.
능(菱) ; [동의어] 마름열매.
능각(菱角) ; [동의어] 마름열매.
능각적(菱角積) ; 적의 하나. 마름을 지나치게 먹어서 생김.
능근겁원증(能近怯遠症) ; [동의어] 근시.
능동상 ; 경외기혈.
능동운동법(能動運動法) ; [동의어] 자동운동법. 안마법에서 운동법의 하나.
능동하 ; 경외기혈.
능루 ; [동의어] 멍석딸기.
능리각( 鯉角) ; [동의어] 천산갑.
능리갑( 鯉甲) ; [동의어] 천산갑.
능소(能消) ; [동의어] 으아리.
능소초(能消草) ; [동의어] 현삼.
능소화(凌 花) ; [동의어] 자위, 금등화.
능수석(凌水石)
; [동의어] 한수석.
능실(菱實) ; [참조] 마름열매.
능운골(凌雲骨) ; [동의어] 앞머리뼈의 전두린부위.

능원겁근증(能遠怯近症) ; [동의어] 원시.
능유(陵游) ; [동의어] 용담.
능인(菱仁) ; [동의어] 마름열매.
능쟁이 ; [동의어] 명아주. 능쟁이과에 속하는 능쟁이(Chenopodium album L. var. centrorubrum Makino)의 옹근풀을 말린 것.
능후(陵後) ; 경외기혈.

 

'대체요법 > 동양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체이탈  (0) 2010.06.11
다겁 ~루타  (0) 2010.06.03
한의학 사전 (구 ~귤홍삼하탕)  (0) 2010.06.03
한의학사전 - 고 ~ 교회혈  (0) 2010.06.03
거 ~계흉  (0) 2010.06.03